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8/31 19:11:04
Name 불행
File #1 9d630601025428838e098d595c4ba5f8.jpg (500.3 KB), Download : 54
출처 https://www.dogdrip.net/277746080
Subject [기타] 초등학교 4학년에 인생이 결정되는 독일.JPG


그래서 더 찾아보니 독일은 6년제인 베를린이나 브란덴부르크 등 몇몇 주를 제외하고 많은 주가 초등학교를 4년제로 채택하고 있다고하네요.
때문에 대부분의 독일 학교에서 4학년은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처럼 인문계와 실업계로의 진학을 결정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학년이라고 합니다.
우리처럼 단순히 초등학교를 졸업하면 중학교 입학을 하는 차원이 아니라 인생에 가장 중요한 대학을 가느냐 못가느냐가 여기서 결정된다고하네요. 물론 실업계로 간다고 해도 학교를 옮기거나 진로를 바꿀 수 있지만 진로결정에 가장 중요한 기준은 성적이 아니라 선생님의 판단이라고 합니다.


독일 최대 광역권인 라인-루르지역(쾰른, 뒤셀도르프, 본)
공무원의 경우 월급이 중졸 1769유로(약240만), 고졸 1897유로(약280만), 전문대졸 2287유로(약320만), 대졸 3712유로(약520만)부터 시작한다고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이고배야
20/08/31 19:12
수정 아이콘
인생에서 대학이 가장 중요한지 안한지는 모르는거긴 한데, 너무 일찍 정하는 경향, 본인의 의사가 반영되기엔 너무 어린 나이인거 같긴 하네요
Lord Be Goja
20/08/31 19:16
수정 아이콘
이걸 능력은 유전되는거라(신체적+경제적 포함) 일반인들은 일찍 포기할수록 좋다고 포장하는분들도 계시더군요.
정말로 그게 그렇게 잘 유전되면 똑똑한분들이 자식 좋은대학 보내겠다고 입시부정을 저지를 이유가 없는데..

그냥 계급을 물려주기 좋은 사회를 좋아하는거 아닌지..
20/08/31 19:18
수정 아이콘
저긴 욕심이 별로 없나봐요
타츠야
20/08/31 21:33
수정 아이콘
아뇨 독일도 요새는 장난 아닙니다.
던져진
20/08/31 19:21
수정 아이콘
아무리 그래도 초4는 너무 어린데
동년배
20/08/31 19:23
수정 아이콘
물론 실업계쪽으로 진로를 정해도 생애소득 차이가 크지 않으니 가능한거지 안그랬다면 저런 제도가 가능하지 않죠.
wish buRn
20/08/31 19:24
수정 아이콘
이게 좋은 제도라고 소개된 적도 있었죠.
비오는월요일
20/08/31 19:28
수정 아이콘
특성화 학교가 이런 제도를 벤치마킹한건데...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고 뭐 그렇죠.
헤븐리
20/08/31 19:31
수정 아이콘
초6때까지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 몰라서 가가가양미가 욜케 맞았었는데 중학교 때 적당히 공부하니 성적이 괜찮게 나오던 저로선 독일에서 태어났으면 답이 없었겠네요;
20/08/31 19:34
수정 아이콘
벤츠 나 bmw 취업하는데 유학파가 유리한가요 자국명문대학출신이 유리한가요
방향성
20/08/31 19:48
수정 아이콘
독일기업은 영어말고 독일어를 잘해야된다고 들었습니다
타츠야
20/08/31 21:32
수정 아이콘
독일 내에서 근무하려면 개발쪽은 영어도 상관 없습니다만 그 밖의 직무로는 독일어 못 하면 안 됩니다.
펠릭스30세(무직)
20/08/31 19:3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진보분들의 이상향이 요기에 있네?

물론 자기 자식들은 죄다 특목고지만.
맥크리발냄새크리
20/08/31 19:49
수정 아이콘
시험 한번도 안보고 의사도 되더라구요
병장오지환
20/08/31 20:19
수정 아이콘
벌써 됐나요?
셧더도어
20/09/01 00:14
수정 아이콘
슬슬 졸업하고 국시 볼 때이긴 하죠
이른취침
20/09/01 00:29
수정 아이콘
국시에서 결판나겠죠.
쿠크다스
20/08/31 19:54
수정 아이콘
진로결정에 가장 중요한 기준은 성적이 아니라 선생님의 판단..
포도맛폴라포
20/08/31 21:23
수정 아이콘
다른 서양권 문화는 모르겠지만, 무한 경쟁을 존중하는 미국같은 나라도 성적은 하나의 "참고"자료일 뿐입니다. 오히려 (학교나 그 선생이 누군가에 따라 달라지지만) 담임 선생이나 지도교수의 판단(추천서)이 더 강하게 작용할 때가 많죠. 심지어 대학 입학에 있어서도 SAT나 GRE성적은 그저 참고 자료일 뿐이죠. 위 경우도 극단적으로 이야기 했을 뿐 선생이든 누구든 당연히 성적을 참고는 하겠죠.
20/08/31 19:59
수정 아이콘
부모들이 김나지움 안 보내도 괜찮다고 생각할 정도면 좋은 거 아니에요? 한국과는 다른 거 같은데...
오리수달
20/08/31 20:17
수정 아이콘
공무원을 비교하니 그렇지
기술직이나 전문직을 하면 왠만한 사무직보다 더 법니다
잉크부스
20/08/31 20: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의 급여편차가 한국처럼 크지 않습니다.(요즘 점점 벌어지는 추세긴 하지만 아직 그겝은 미국이나 한국처럼 크지 않아요)
그 크지 않은 편차도 고소득에 대한 살벌한 세금 연금 요율로 다시 낮아집니다.
그리고 블루칼라는 화이트칼라보다 훨씬 일찍 돈을 벌기 시작합니다.(한국으로 치면 고1부터 벌기 시작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블루칼라도 마이스터라는 엘리트 패스가 존재합니다. 한국으로 치면 기능장 쯤 된다고 보시면 되고 대우는 매우 좋습니다.
물론 당연하게도 화이트칼라의 평균 임율은 블루칼라의 평균을 상외합니다.

독일에 기본적으로 깔린 마인드는 누구나 공부해서 성공하라는게 아니고.
될놈될 마인드 입니다. 기본적으로 공부에 재능을 보이는 아이를 김나지움으로 보내며 혹여 모르고 레알슐레나 하웊트 슐레로 간 재능있는 아이는 다시 김나지움으로 보내는 정책도 있습니다.
물론 김나지움으로 가더라도 재능이 안보이고 과목 낙제 두번하면 레알슐레로 강제로 내려갑니다.(다시 김나지움에 다닐 수 없습니다.)
독일은 무상교육이기 때문에 재능이 없는 아이를 억지로 고등교육시키는 것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그런이유로 부모들도 재능이 없는 아이를 어거지로 김나지움에 보내지 않습니다.(어차피 낙제하고 실업계로 옮겨야 함으로)
어찌저찌 김나지움 졸업하고 대학가도 과낙 두번이면 그 과목 다시는 못듣습니다. 전필일 경우 전공을 변경해야 하거나 중퇴해야 합니다. 예 살벌하죠.
대학 졸업하고 회사에 취업해도 자기 재능 수준에서 멈출 수 있습니다. 평생 사원,대리,과장 등이 가능한 곳이죠.
내 능력이 대리가 끝이면 대리로 정년을 갑니다. 물론 급여 상승은 거기서 멈춥니다(연상승률은 별도)
그래도 회사에서 짜르거나 압력을 주지 않습니다. 왜냐면 대리 급여로 대리급 업무 숙달도가 극한이 되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서도 반가운 일이죠

좋게 보면 재능을 초과하는 성과를 강요하지 않고 재능에 맞게 사는 사회라고 봐야겠죠.
조국이 말한 가붕개들도 그럭저럭 살만한 세상이고 꼭 용이되어 하늘로 승천하도록 강요하지 않는 사회
한국 부모 입장에선 이해하기 힘든 사회.. 애들 입장에선 뭐 나름 행복한 사회죠.
아이군
20/08/31 21:19
수정 아이콘
어느쪽이 좋다고 딱 말하기가 힘들긴한데 저쪽도 나름 묘하죠

스웨덴 노르웨이는 엄청난 복지는 유명한데 악명높은 세금도 유명하죠. 말괄량이 삐삐의 작가가 세금 102퍼센트를 낸것도 유명하고...
한국으로 말하면 의사 월급이 300만원(from 나무위키)......
타츠야
20/08/31 21:41
수정 아이콘
물론 김나지움으로 가더라도 재능이 안보이고 과목 낙제 두번하면 레알슐레로 강제로 내려갑니다.(다시 김나지움에 다닐 수 없습니다.)
-> 그렇진 않습니다. 한 과목 성적 안 좋아도 다른 과목 성적 좋으면 괜찮습니다. 독일어, 영어, 수학 이 3과목이 제일 중요한데 2과목 성적이 좋으면 됩니다. 다른 과목은 낙제한다고 해도 크게 영향 안 받습니다. 그리고 레알로 내려갔다가 다시 김나지움 갈 수도 있습니다.

독일은 무상교육이기 때문에 재능이 없는 아이를 억지로 고등교육시키는 것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이건 주의 정책이라 주마다 경우는 다릅니다. 예를 들어, 헤센주 같은 경우엔 학교에서 레알이나 하웁트로 추천하더라도 부모가 김나지움 보내달라고 하면 부모 뜻에 따라 보내야 합니다. 대신 김나지움 과정에서 성적 3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잉크부스
20/08/31 22:05
수정 아이콘
타츠야님 반갑습니다. 잘지내시죠?
제가 안내받기로는 학년말에 과목중에 5등급이 두개 이상이거나 6등급이 하나라도 있으면 유급이라고 안내받았는데 제가 잘못 이해한걸까요?
그리고 비재능자의 고등교육 허락 여부는 롱텀이냐 숏텀이냐에 따른거지 원칙은 같다고 봅니다.
헤센주의 경우 입학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어차피 평균 이상의 성적을 유지해야 지속이 가능하니까요.
그래서 헤센주 김나지움 1학년 수업이 특히 어렵다는 소문도 있더라구요. 빨리 걸러버릴려고.
타츠야
20/08/31 22:13
수정 아이콘
잉크부스님 잘 지내시는지요? 회사는 재미 있으신가요? ^^
말씀드린 3과목 성적이 제일 중요해서 5, 6 있어도 학교장이나 학년 주임 선생님 역량에 따라 유지도 해줍니다. 대신 그럴 경우, 학부모 불러서 상담해줄겁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데로 헤센주에서 1년 만에 내려가는 아이들 많더라구요. 말씀 드린 데로 일단 학부모가 원하는데로 일단 입학은 시켜주니. 반대로 김나지움 성적인데 부모 이혼으로 공부에 흥미 잃어서 자진해서 내려가는 경우도 있더군요.(저희 둘째 친구네)
바이에른주는 헤센주랑 많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말씀드린데로 주마다 정책이 달라서.
잉크부스
20/08/31 22:46
수정 아이콘
회사는 노잼 노스트레스 입니다.
재미는 없는데 스트레스도 없네요
타츠야
20/09/01 00:27
수정 아이콘
저보다 나으신데요 저는 노잼 스트레스 만빵입니다 크크 코로나 시국에도 프랑스 다녀오라는 회사 크크. 이직 준비하고 있어요.
지니팅커벨여행
20/08/31 22:49
수정 아이콘
독일도 역시 국영수 위주네요
타츠야
20/09/01 00:27
수정 아이콘
네 여기도 저거 3개 잘 해야 선생님들이나 교장 선생님이 알아줍니다.
도들도들
20/09/01 05:07
수정 아이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어차피 모두가 변호사 의사가 될 수는 없는 노릇이고, 인서울대학으로 진학하는 7퍼센트+@ 외에는 모두 열패자로서 가슴에 자격지심 하나쯤 품고 살아가는 우리나라보다는 더 좋은 제도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소금사탕
20/08/31 20:25
수정 아이콘
꼴찌해도 4년제 대학가야 사람취급 조금이라도 받는 이곳보단...
그 닉네임
20/08/31 20:26
수정 아이콘
출산율높이는데는 저 제도가 훨씬 좋을듯
홍준표
20/08/31 20:39
수정 아이콘
싱가포르는 저기에 매운맛을 첨가해서 초등학교 성적에 따라 국가가 아예 진로를 강제하지요.
ComeAgain
20/08/31 20:40
수정 아이콘
인건비가 비싸지는 대신 다른 물가가 내려가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가능할까 싶네요.
우리도 땅을 들어옮겨 유럽이냐 아메리카대륙에 편입한다면...?
20/08/31 21:08
수정 아이콘
유럽:으아아악 크레이지 군국주의자들이 나타났다
-안군-
20/08/31 21:23
수정 아이콘
어느날 60만 군사대국이 유럽땅에 나타난 건에 대하여
잉크부스
20/09/01 05:33
수정 아이콘
독일은 거의 모든 물가가 한국보다 비싸고 식료품만 저렴합니다.
엄청난 세금과 건강보험료 연금료등을 납부해야 하고 또한 집렌트비가 살벌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저축하기가 거의 불가늘 합니다.
같은 연봉일때 한국에서 훨씬 여유롭게 살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에서 가장 무서워하는 두가지가 없는데
직장불안정성이 G20중 가장 낮고
교육비 부담이 매우 낮습니다.
ComeAgain
20/09/01 14:45
수정 아이콘
좋은 댓글 감사드립니다. 제 사촌이 그곳에 살며 하는 말과 거의 같네요.
그리고 한국의 직장안정성과 교육비는 결국 연결되는 것이겠죠...
포도맛폴라포
20/08/31 21:14
수정 아이콘
너무 일찍 결정된다는 감은 있지만, 어차피 사회가 모두에게 자리를 제공해주지도 못하는데, "희망"이라는 단어로 가능성 없는 학생을 경쟁 속에서 인생을 낭비시키는 것보다 일찍 자기 자리에서 행복을 찾는 게 더 낫다는 생각이 드네요. 위 글은 너무 극단적인 듯 하고, 아마 4학년 이후에 발현된 그 학생의 재능에 따라 진로가 달라지기도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아이군
20/08/31 21:21
수정 아이콘
은근히 과학적인 근거가 빵빵한게, 아이의 재능이 50퍼센트는 유전, 30퍼센트는 자궁환경, 20퍼센트만 노력... 이라고 보거든요.
1세 미만 유아의 자극 반응 속도로 아이의 재능을 측정가능하다면 말 다했죠......
몽쉘군
20/08/31 21:21
수정 아이콘
나도 초등학생땐 100점 만점중 1문제 틀리고 그랬는대...
20/08/31 21:29
수정 아이콘
가붕게가 진짜 살만한 개천이면 상관없습니다

대한민국은 개천이 개판인데 가붕게로 살라고 하니까 문제인거죠.
포도맛폴라포
20/08/31 21:31
수정 아이콘
왜냐하면 대한민국에서 개천은 낙오자들이 모인 곳이라 생각하니까요. 사람들의 인식부터 그러니 개천이 좋은 대접을 받을리가요.
20/08/31 22:56
수정 아이콘
애초에 조국의 워딩은 그 개천을 살기 좋게 만들어야 한다는 거였죠..
본인 행적이 어마무시해서 문제지..
20/08/31 23:02
수정 아이콘
저도 그 당시엔 그 글에 되게 감동 받았었습니다.

+ 그...기회는 평등 경쟁은 공정 뭐 그거까지요

그거랑 대선전에 안철수 출사표까지....
20/08/31 23:05
수정 아이콘
누군가는 가붕게가 될 수 밖에 없으니 결국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힘쓴다는 것이 현실적인 방향이긴 했죠
정말 그럴 생각이 있기만 했다면...
20/08/31 23:07
수정 아이콘
그럴 생각이 있었는데 무능했다.
애초에 그럴 생각이 없었다.

뭔진 모르겠지만 안타깝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1084 [기타] 독일국적 vs 종교적 신념 [18] 톰슨가젤연탄구이9530 20/10/19 9530
400401 [기타] 한국에서도 나타난 전세 대기줄 [32] NoGainNoPain13591 20/10/13 13591
400200 [기타] 프랑스에게 전쟁 선포하던 시절 히틀러의 인기...... [57] TWICE쯔위15431 20/10/11 15431
398742 [기타] [약간 공포] 독일 노동자의 점심도시락.jpg [8] 삭제됨11422 20/09/27 11422
397658 [기타] 홍차를 먹었는데 살려버린 프랑스와 스웨덴, 독일 [11] Chasingthegoals10341 20/09/15 10341
396754 [기타] ??: 이 사람을 욕하지 마세요 [2] 블랙번 록7585 20/09/07 7585
396135 [기타] 초등학교 4학년에 인생이 결정되는 독일.JPG [48] 불행13124 20/08/31 13124
395810 [기타] 1930년대 동아일보의 Q&A 코너.txt [42] 피잘모모15680 20/08/27 15680
395606 [기타] 나치 군복이 멋있는 이유 [19] 퍼플레임10048 20/08/25 10048
392042 [기타] 앞으로 볼 수도 있는 세입자 모집안내문 [13] 피쟐러8143 20/07/16 8143
390882 [기타] 2차대전의 대포들 [6] TWICE쯔위9803 20/07/04 9803
388250 [기타] 인종차별에대한 어느 독일인의 생각 [80] janajana14234 20/06/06 14234
387781 [기타] '카이에 뒤 시네마' 선정 2010년대 영화 TOP 10 [11] 실제상황입니다9149 20/06/01 9149
387773 [기타] 2차 세계대전 영국의 활약 [15] 치열하게8762 20/06/01 8762
387534 [기타] 세계 3대 동계 전투 [33] TWICE쯔위12368 20/05/30 12368
385661 [기타] 차두리 독일어 클라쓰 [12] 라붐팬임10161 20/05/10 10161
381737 [기타] 무능한 리더와 유능한 부하의 조합 결과 [12] 치열하게11746 20/04/01 11746
380441 [기타] 등애 못지 않은 독일의 등산가 [5] 치열하게8675 20/03/20 8675
380395 [기타] 2020 세계에서 제일 혁신적인 국가는 독일 [19] 불행10075 20/03/20 10075
380036 [기타] 독일, 독일행 급행열차 출발합니다.jpg [32] 낭천9048 20/03/16 9048
376586 [기타] 러시아 국민들이 뽑은 러시아의 인물 TOP 50.TXT [45] 비타에듀10650 20/02/09 10650
375491 [기타] 3대에 걸친 노력에도 불구하고 2위에 그쳐... [20] Lord Be Goja8976 20/01/30 8976
374346 [기타] 2019년 국가, 기업브랜드 순위.jpg [22] 파랑파랑9791 20/01/16 97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