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8/31 13:53:50
Name 興盡悲來
File #1 7ba61d9a28026f0e98282dbc7f3ed94273701fc8.jpg (311.2 KB), Download : 84
File #2 c61c6acf86d1ba50755e43382035989b561fd7fe.jpg (399.1 KB), Download : 65
출처 도탁스
Subject [유머] 처음 알게되면 대부분 '진짜??' 라는 반응을 보이는 사실





국가 or 대륙간의 인터넷은 해저로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진다는거.....

저도 처음 들었을 때는 진짜 태평양 밑에 저게 미국까지 깔려있다고?? 라고 생각했었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8/31 13:55
수정 아이콘
이것도 옛날얘기고 요즘은 블루투스로 통신합니다.
20/08/31 13:56
수정 아이콘
저 케이블로 상어가 이갈이 한다죠..
잠만보
20/08/31 18:51
수정 아이콘
이 얘기 처음 들었을 때 신종 농담인가 싶았습니다 크크크
산이염
20/08/31 13:56
수정 아이콘
저선 아직도 우리나라에서 미국 직통선 없이 일본 선에서 라인 따오나요?
-안군-
20/08/31 14:31
수정 아이콘
직통으로 거제도로 들어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OnlyJustForYou
20/08/31 13:57
수정 아이콘
언제더라 작년인가 sk 해외망 느렸던 걸 저 핑계 대지 않았나요 케이블 문제 있다고 뭐..
거짓말쟁이
20/08/31 14:00
수정 아이콘
작년 뿐만 아니고 SK 해외망 이슈는 꾸준했습니다. 패오액 등 외국서비스 게임 하는 분들한테 오랫동안 악명이 높았죠... KT회선이랑 핑차이가 너무 나니까... 유튜브 속도 이슈도 있었고요
OnlyJustForYou
20/08/31 14:04
수정 아이콘
아 그쵸 sk해외망은 꾸준했는데.. 아 올해 코로나 초장기였나 트래픽 증가해서 이슈되니 핑계를 저걸로 댔던 기억이..
20/08/31 13:58
수정 아이콘
무선이 많이 상용화된 시대여서 광케이블이 존재감이 떨어지지요.

하지만 사실 요즘 동네에 전봇대가 없어졌다고 해서 유선이 무선이 되었다는 게 아니라 그냥 눈에 안 보이게 땅 속에 잘 묻었다는 뜻 밖에 안되지요 흐흐흐
Lord Be Goja
20/08/31 13:59
수정 아이콘
스타링크 붐은 온다...
그런데 스타링크도 대륙간망은 필요한거죠?
Faker Senpai
20/08/31 13:59
수정 아이콘
호주기준으로 중간에 태평양 어디쯤 지진나면 한국 사이트 접촉 엄청 느려지고 그럽니당 ㅠ.ㅠ
주익균
20/08/31 14:03
수정 아이콘
아니 케이블 깔린 수심까지 다이버가 내려갈 수가 있나...
산밑의왕
20/08/31 14:21
수정 아이콘
저도 단순히 케이블 깐다 까지는 알고 있었는데 사실 생각해 보면 바닥에 깔려면 천해는 그렇다 치고 심해구간은 어떻게 하는건지 궁금하네요;;
고물장수
20/08/31 21:01
수정 아이콘
바닥에 안 깔고 둥실둥실 중간에 있어요
DownTeamisDown
20/08/31 14:04
수정 아이콘
저 위에선은 통신선이 아니라 전력공급선이긴 합니다. 진도~제주를 연결하는 고압 송전선이라고 보시면 되요
스타본지7년
20/08/31 14:11
수정 아이콘
전신통신선 1880년대에 깔린거 생각나네요.
Bartender
20/08/31 14:11
수정 아이콘
진짜??
20/08/31 14:13
수정 아이콘
안속아~~~~
20/08/31 14:14
수정 아이콘
광케이블, 특히 해외쪽에서 SK랑 KT가 차이가 어느정도 나는건 실제 보수관리쪽에서 KT가 더 빡세게 하는 것도 있습니다.
KT는 케이블 관리 선박;;; 이 있어서 그쪽으로 정기선을 돌리면서 수리를 하는데, SK는 그쪽이 상당히 부실한 편이라..
몽쉘군
20/08/31 14:36
수정 아이콘
들은적이 있긴합니다.
아버지가 아무리 타통신사가 좋은걸 걸어도 KT를 쓰라고하셨던 기억이 있네요.
드라고나
20/08/31 14:15
수정 아이콘
이걸 모르는 사람이 많다는 게 놀랍네요
20/08/31 14:22
수정 아이콘
지구가 평평하니까 가능하죠
머리부터발끝까지
20/08/31 14:23
수정 아이콘
저러면 케이블의 유지보수는 어떻게될까요??
일반상대성이론
20/08/31 14:25
수정 아이콘
감히 무선통신 따위가 광케이블한테 덤비다니... 크크
타임러스
20/08/31 14:32
수정 아이콘
와이파이로 연결되있는거 아니었나여??
나물꿀템선쉔님
20/08/31 14:34
수정 아이콘
진지하게 본문 사진은 사실인거죠???
저도 [저도 단순히 케이블 깐다 까지는 알고 있었는데 사실 생각해 보면 바닥에 깔려면 천해는 그렇다 치고 심해구간은 어떻게 하는건지 궁금하네요;;] 이게 너무 궁금... 유지보수까지....
덴드로븀
20/08/31 14:41
수정 아이콘
나물꿀템선쉔님
20/08/31 16:27
수정 아이콘
이해가 될듯 말듯 재밌는 기사네요. 링크 감사합니다 흐흐흐흐
-안군-
20/08/31 14:36
수정 아이콘
저거 까는거 다큐멘터리로도 나왔던 것 같은데... 폭풍이 몰아치는데 쇠사슬로 몸을 선체에 묶고 작업하고...
단순하게 생각해봐도, 빛이 1초에 지구를 7바퀴 반 도니까. 지구 반대쪽이랑 통신하려면 아무리 빨라도 1s/7.5 하면 대략 133ms 쯤 됩니다.
더 간단하게, 초당 7.5 프레임 이상의 속도는 못 낸다는 얘기에요. 브라질에 있는 유저랑 격투게임을 한다고 생각해보시면...
그런데, 만약 위성 같은걸 이용하면 그 거리는 더 길어지겠죠? 대기권 밖까지 신호가 갔다가 와야 하니... 저게 최선의 방법입니다.
츠라빈스카야
20/08/31 14:46
수정 아이콘
문제는 광섬유 내에서 광속은 더 느려져서....한 3~40%정도 느려진다는군요. 그거 감안하면 상황에 따라 위성통신이 좀 더 나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물론 위성에서 중계하는 과정에서 시간을 많이 먹을거라 그닥 이득은 없을 것 같긴 합니다.
찾아보니 광섬유 내에서는 지구 한바퀴에 200ms정도 걸린다는군요.
-안군-
20/08/31 14:48
수정 아이콘
게다가 무선의 S/N 비도 생각해야 해서... 무선통신 기술의 80% 가까이는 노이즈 검출이나 에러체크인지라...
닉네임을바꾸다
20/08/31 14:52
수정 아이콘
위성을 촘촘히 깔면 와리가리 칠 거리를 줄일 순 있을려나요 크크
츠라빈스카야
20/08/31 14:59
수정 아이콘
위성에서 받아서 재송출하는데 걸리는 시간 손해가 더 클 겁니다 아마...ㅠㅠ
20/08/31 15:09
수정 아이콘
위성 통신의 경우 날씨에 따른 노이즈 처리가 관건일겁니다. 이게 생각보다 쉽지 않아요.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의 경우 빛이 직선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느려지긴 하지만 일단 유선이기 때문에 노이즈 처리가 위성 무선 통신에 비해 말도 안되게 쉽습니다.
20/08/31 16:07
수정 아이콘
칼라로 연결된 거 아니었어?
지르콘
20/08/31 16:41
수정 아이콘
롤 초창기 북미섭 하던 사람이라면 대부분 알것 같은 이야기내요

인터넷은 kt라던가 뭐 그러던 시절이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96286 [유머] 설정이 1에서 10까지 하나도 이해가 안되는 드라마 [62] 동굴곰12209 20/09/02 12209
396285 [기타] rtx3080발표기념 다시보는 용산민국 [26] 사람은누구나죽습니다13704 20/09/02 13704
396284 [스타1] 민속놀이 근황 [7] 미카엘10505 20/09/02 10505
396283 [기타] 헹! 헹! 헹! 두두두두두두!.gyf [43] RFB_KSG11382 20/09/02 11382
396281 [LOL] 쵸비 이렐리아 근황.JPG [37] 살인자들의섬11501 20/09/02 11501
396280 [LOL] DRX 칼럼 표식 평가 [12] 카루오스9824 20/09/02 9824
396279 [기타] 의외로 엔비디아가 타사보다 뛰어난 분야 [35] Lord Be Goja10602 20/09/02 10602
396278 [기타] 저번에 온 바비와 지금 오는 태풍비교.9MB [29] Lord Be Goja11530 20/09/02 11530
396277 [기타] Rtx 3080의 국내 초기 출시가격은 약 150만원으로 예상. [35] 삭제됨11033 20/09/02 11033
396276 [유머] Rtx 3090..요구 파워..jpg [45] 꿀꿀꾸잉12495 20/09/02 12495
396275 [LOL] 각도와 조명빨의 중요성 [19] KOS-MOS10415 20/09/02 10415
396274 [기타] 8시 현재 전국 비구름 레이더 상황.jpg [18] VictoryFood13022 20/09/02 13022
396273 [게임] 포켓몬 마스터즈 EX 참사 [8] 이호철6660 20/09/02 6660
396272 [유머] 유비소프트 근황.jpg [22] VictoryFood10819 20/09/02 10819
396271 [유머] 아디다스 이지부스트 카니예 웨스트X데릭로즈 신상샘플.jpg [17] 삭제됨8482 20/09/02 8482
396270 [유머] 이시각 중고나라..창과 방패의 싸움..jpg [32] 꿀꿀꾸잉14999 20/09/02 14999
396269 [LOL] 가장 불쌍한 팀 Equalright7385 20/09/02 7385
396268 [기타] 혼란을 틈타 발표된 갤럭시 폴'드'2 [33] Lord Be Goja12344 20/09/02 12344
396267 [기타] 장기 집권후 퇴출.. [10] Lord Be Goja11765 20/09/02 11765
396266 [동물&귀욤] 고양이가 사냥한 걸 주인에게 주는 이유 [3] 이호철7540 20/09/02 7540
396265 [기타] 이 시각 최단퇴.. [5] Lord Be Goja10039 20/09/02 10039
396264 [게임] 신작 갓겜 크킹3 상황 [3] MiracleKid11220 20/09/02 11220
396263 [유머] 최근 커뮤니티 중립기어 특징.gif [8] 삭제됨11737 20/09/02 117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