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8/03 17:38:54
Name 프테라양날박치기
File #1 이_게임_비싸잖아.png (557.6 KB), Download : 68
출처 구글
Subject [유머] 모바일 게임과 PC-콘솔 게임을 하다보면 드는 생각.jpg




PC  게임 하나가 대충 8만원 + dlc 3만원으로 나와서 왕창 욕먹고 있었는데,

마침 당시 제가 하던 모바일게임 커뮤니티에 들어가니 [50만원 과금은 무과금과 같다.] 라는 글이 보이더군요(...)



뭔가 게임 판도 자체가 이렇게 짜여지면서, 과금에 대한 유저들의 심리적 선이 모바일의 경우 압도적으로 위로 올라갔습니다.

업계 문외한(...) 입장에선 이 구도에서 PC 콘솔 게임을 만드는게 돈이 될수가 있는건지 궁금할 정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8/03 17:40
수정 아이콘
거기다 캐릭터만 뽑는게 아니라 장비도 가챠로 뽑아야하니 과금액이 확뛰죠
Sinister
20/08/03 17:40
수정 아이콘
요새 모바겜 과금 천장 한도보면 크킹2는 혜자 겜 같습니다..
20/08/03 17:41
수정 아이콘
스킨 + 10연차를 3만원에 판매 -> 뭐야 스킨을 사면 가챠를 공짜로 주네?? 얘들 뭐 먹고 사냐 덜덜
블레싱
20/08/03 17:43
수정 아이콘
50만원이 실제 무과금과 같은 이유는 실제 손에 들어오는게 없어서...크크크
프테라양날박치기
20/08/03 17:44
수정 아이콘
이거레알. 했던 게임에서 가챠 확률 계산했더니 대략 30%의 유저는 50만원 정도로는 의미있는 템을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는 계산이 나와서 다들 말문이 막힘...
20/08/03 17:43
수정 아이콘
모바일은 과금에 대한 기준이 압도적으로 올라갔죠.
결국 이걸 pc mmorpg로 어떻게 가져올 수 있느냐가 새로운 고민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의 저항감이 상당하다는게 제일 큰 문제지만요 ;;
20/08/03 17:43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 친구들 단톡방에서 돈의 단위를 붕모3게임을 따서 붕X로 부르고 있습니다. 단위의 기준은 돈 제일 많이 박은 놈 과금액수로....
ex) XX 아파트 가격 50붕X 실화냐?
그 친구가 붕모게임은 접었기 때문에 다행히 단위가 늘고 있지는 않은데...
부질없는닉네임
20/08/03 17:43
수정 아이콘
DLC팔이들 욕 많이 먹었는데 가챠에 비하면 이렇게 선녀일 수가
프테라양날박치기
20/08/03 17:45
수정 아이콘
최소한 돈을 내면 뭘 확정으로 주긴 했다는 점에서 엄청난 가산점!

가챠는 50만원을 질러서 쓰레기만 남을 확률이 수십%에 달하는 게임 널리고 널림...
마감은 지키자
20/08/03 17:44
수정 아이콘
저는 그래서 모바일 게임을 안 합니다. 예전부터 그랬는데, 가챠에 돈 쓰는 건 정말 못하겠더라고요.
빠독이
20/08/03 17:51
수정 아이콘
저도... 망전 할 때도 키트는 손도 안 댔는데 모바일 게임은 과금 체계 보면 할 마음이 안 들더라고요.
COC나 퍼즐겜 정도나 하고 가챠 겜은 안 하게 됩니다.
20/08/03 17:45
수정 아이콘
2K같은곳 보면 1년에 한번 내는 스포츠 게임에서 과금시스템 넣어서 돈 오지게 긁어먹고 있죠.
인물들의재구성
20/08/03 17:49
수정 아이콘
그래서 모바일겜은 좀 귀찮거나 돈들어도 리세계 들고 하는게 중장기로 이득인경우가 많아요.. 돈으로 들이박아서 뽑으려 들면 진짜 한도 끝도 없고.
나름 익숙해지면 소과금패키지+월정액으로 소소하게 즐기는 방식을 터득합니다
프테라양날박치기
20/08/03 17:49
수정 아이콘
이거는 진짜 맞는말인게, 전 언젠가부터 모든 모바일게임은 리세계를 구입하든지 리세를 하고 시작합니다.
인물들의재구성
20/08/03 17:51
수정 아이콘
물론 이 만화의 페그오 같은 경운 얄짤 없습니다 크크
20/08/03 17:49
수정 아이콘
모바일게임은 왜이리 저항감이 낮은건지..
주변에 지르는사람들보면 왜저러지 싶기도해요
몬헌이나 배그 스위치는 그렇게 고민하고 또 고민한 뒤에 샀으면서
프테라양날박치기
20/08/03 17:52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인데, 모바일 게임의 저항감이 낮은것도 맞고, PC-콘솔게임에 대한 과금 저항감은 반대로 너무 높다고 생각합니다.

모바일 게임 말고 다른 장르와 비교하더라도, 예컨대 2~3시간의 즐거움을 주는 영화나 콘서트에는 다들 몇만원을 아깝지 않게 쓰는데, 잘 고르면 수백시간을 즐겁게 해주는 PC-콘솔 게임에 10만 언저리가 그렇게 비싼 돈인가? 이런 생각을 하게 되더군요. 물론 제 사견입니다.
20/08/03 18:29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20/08/03 18:31
수정 아이콘
플탐 차이에서 오는 가성비 계산 때문이죠.
모발겜은 자동까지 12시간씩 붙잡고 있는 사람도 있는 방면 콘솔, pc겜은 10~20시간이면 스토리 결말은 보니까요.
전 자동으로 100시간 돌린 모바일이 속 빈 플탐이라 생각하는데 무과금으로 500시간 돌렸을때랑 과금 후 500시간 돌렸을 때 결과물보면 돈 쓸 맛 나죠.
20/08/03 22:02
수정 아이콘
문명 : ???????
FM : ??????
멸천도
20/08/04 10:24
수정 아이콘
가챠라는 시스템이 무과금으로도 강력한 아이템이나 캐릭터를 먹을수있다는 점에서 [내가 운이 좋으면 되]라는 심리가 깔리고
또 돈을 쓰는 사람은 한두푼 써서는 안되니까 화끈하게 질러서 상대를 이겨먹으려고 하고
그렇게 화끈하게 쓰는 사람들을 보면서 저정도에 비하면 이정도는 질러도 되겠지라는 중간급 흑우가 생겨나면서
사람들의 저항이 단계적으로 내려갔다고 생각합니다.
고물장수
20/08/05 11:56
수정 아이콘
그걸 좋아하는 사람들만 즐겨 하는 시장이죠.
웃음대법관
20/08/03 17:51
수정 아이콘
콘솔게임도 히트하면 어마어마하게 벌긴 하더라고요
블록버스터 영화급 제작비를 출시일 당일에 다 회수한다든가...
크레토스
20/08/03 18:05
수정 아이콘
블록버스터 영화급 제작비라는게 문제죠 크크 실패하면 그게 날아가는거라
시린비
20/08/03 17:51
수정 아이콘
모바일에, 그것도 가챠 하나에도 몇십 몇백 들이기도 하는 걸 보면
풀프라이스라고 욕먹는 패키지게임들이 불쌍해지기도 하고..
우리는 하나의 빛
20/08/03 17:52
수정 아이콘
50만원 과금(의 결과)은(는) 무과금과 같다.
혹은, 더많이 쓰는 사람들이 넘쳐서 50만원은 과금 축에도 못든다.
20/08/03 17:55
수정 아이콘
구글플레이로 돈주고 라이브러리 채워가는걸 이해 못하는 동생이 있어서 뜻밖의 꼰대질을 했습니다.
'넌 모바게 가챠를 하며 딱꾸짤을 모으고 토렌트로 공짜영화를 보고, 난 조금 더 저렴하게 마블영화 딱꾸질을 한다'
프테라양날박치기
20/08/03 17:57
수정 아이콘
비슷한? 맥락에서 예전에 누나가 명품백 산다고 돈 쏟아붓고 할때 왜 저런데 돈을 낭비하냐고 뭐라 했는데...

근래에 크게 깨달았습니다. 아니 명품백은 최소한 이쁜 가방이라도 남지 가챠는 까딱하면 데이터 쓰레기만 남고 수십만원 날라감. 이제 와서 보니 명품백 사는게 훨씬 현명한 소비같더군요.
정어리고래
20/08/03 18:18
수정 아이콘
심지어 나중에 중고로 팔수도 있어요...
프테라양날박치기
20/08/03 18:21
수정 아이콘
게임은 2년넘게 한적도 거의 없고 접으면 수십 들여서 뽑은거 다 무의미해지는데 가방은 수명도 훨씬 길기도 하죠... 생각할수록 가챠보다 가성비 1000배 나음.
아이군
20/08/03 20:12
수정 아이콘
그리고 랜덤으로 구매되지도 않음...

구찌가방에 1000만원 내면 구찌 가방이 나옵니다. 만원 내면 보세에서 구찌까지(물론 구찌는 0.000001퍼센트)랜덤으로 오지 않습니다.
월급네티
20/08/03 17:56
수정 아이콘
저도 모바일에 돈 쓰는게 이상하게 쉽더라고요.
월정액이 왜케 혜자같아보이는지
잉여신 아쿠아
20/08/03 17:59
수정 아이콘
3만원짜리 스팀 겜 사는 건 고민하지만
10만원짜리 보석은 그냥 결제죠 ㅠㅠ
Horde is nothing
20/08/03 18:00
수정 아이콘
pvp 없으니까 확챠말고 지른게 없어서 ...
스카디 안나왔으면 접을거 같긴하지만 --
20/08/03 18:03
수정 아이콘
전 그래서 모바일겜에 과금 안합니다
차라리 예전 리니지할때처럼 현질한거 제값 받고 팔수라도 있음 모를까 그것도 힘들고요

무과금러로 대충 바닥깔아주면서
열심히 하거나 운좋으면 무릎, 혹은 허리까지 올라가게 해주는 밸런스면 무과금이나 (가성비 혜자인)소과금 정도 정말 소액 합니다

오히려 스팀게임, 플스게임 오지게 지르네요 크크
롤 스킨이랑
여행가요
20/08/03 18:06
수정 아이콘
돈 쉽게 버는 방법
- 주식 안하기, 모바일 게임 안하기
거울방패
20/08/03 18:11
수정 아이콘
사실 모바일이 그런게 아니라 유료 게임에 대한 저항감이 높은거죠.

모바일 유료 게임도 사람들 비싸다고 안하잖아요...
반대로 피파 같은거 매년 PC/콘솔로 새 시리즈 출시해서 가챠로 돈 긁어모으는거 보면 그냥 부분유료화 가챠 자체에 대한 저항감이 낮습니다.
20/08/03 18:24
수정 아이콘
Pc게임 구입을 가챠로...

??? : 하 이번에 삼국지 15 구입 가챠에 300 질렀는데
정품은 안나오고 황건적의 난만 7개, 삼고초려3개 뜨고 꽝이네

?? : 1.5만질렀는데 삼국지15에 후속dlc시즌패스까지뜸 개꿀 크크크
stoncold
20/08/03 18:31
수정 아이콘
Pc게임에 돈쓰는 것에 대한 저항이 이상하리만치 높은데는 뭐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주변사람들을 보며 깨달은 이유 하나는 이겁니다.
‘그거 토렌트로 받아서 할 수 있는데?’
영화나 음악도 마찬가지죠.
Rorschach
20/08/03 18:31
수정 아이콘
해보기 전에 일단 돈을 지불해야하는 것과 하다가 필요한 부분에 돈을 지불하는 차이도 있겠고,
실제로 플레이하는 시간과 기간에도 차이가 있겠고...

뭐 그렇다고는 해도 실제 지불비용이 너무 크게 차이나긴 하지만요 크크

전 모바일게임에 웬만하면 돈을 쓰지말자는 주의였는데 1-2년 정도 전부터는 1-2주 정도 플레이해보고 한두달은 즐겁게 할 수 있을 것 같으면 패키지 가격 정도는 질러주자는 마인드로 게임 합니다 크크
CastorPollux
20/08/03 18:40
수정 아이콘
모바일은 지문만 대면 바로 결제가 되서...
바보왕
20/08/03 18:51
수정 아이콘
(아이마스)
개발괴발
20/08/03 19:07
수정 아이콘
유료게임: 시간이 지나면 중고값 계속 내려감
가챠게임: [왠지] 내가 뽑은 아이템은 가치가 유지될거라고 느낀다. (실제로는 아니지만)
Lord Be Goja
20/08/03 19:08
수정 아이콘
모바일은 무과금인 유저층도 많이 있지만 ,피씨나 콘솔은 정식사용자면 다 과금유저라 가격저항을 가진사람이 그만큼 나오죠.(무단 복제로 즐기는 사람이야 게임가격 비싸다고 항의할리가 없고)
20/08/03 19:40
수정 아이콘
모바일 게임이 가챠류에 딱 정착하게되면서 pc와는 다른노선으로가버렷죠 피시라도 이렇게 유지해주는게 혜자인거같습니다
뒹굴뒹굴
20/08/03 19:43
수정 아이콘
그래서 클래시 로얄 같은 정상적인 게임말고는 모바일 겜 끊었습니다.
이게 아무리봐도 게임이 아니에요.
너구리만두
20/08/03 20:00
수정 아이콘
가챠게임을 초반에 하다가 이건 아니다 싶어서 안하는데 프리코네를 월정액만 투자하고 지금 까지 하고 있네요 미내시 때문에 가능한게 큰듯;;
던파망해라
20/08/03 20:19
수정 아이콘
요새 모바일 과금액을 보고와도 코에이테크모는 비싸요..
고란고란
20/08/03 20:57
수정 아이콘
카트라이더 러시 플러스 하고 있는데, 대장차 한 대 뽑으려면 최소 55000, 최고 몇십만원은 질러야 되더군요.
다시마두장
20/08/03 21:02
수정 아이콘
언젠가 나겜 직원...어느분이셨는진 기억이 나질 않지만, 70만원 들여 원하는 캐릭터를 뽑았을 때 주위 반응이 되게 인상깊었어요.
딱 정가 주고 샀다고 크크크.
오즈마
20/08/03 21:10
수정 아이콘
가챠질 해본건 밀리언아서와 신데마스 둘인데 원하는걸 뽑는다라는 욕심은 진짜 밑도 끝도 없더군요.
다행히 신데마스를 끝으로 가챠겜은 쳐다도 안보게 됐습니다.
20/08/03 22:08
수정 아이콘
도박 중독의 라이트 버전이죠.
In The Long Run
20/08/03 22:32
수정 아이콘
모바일게임 보석을 토렌트로 크랙 다운받아서 실행하면 10000불어치씩 충전할 수 있었으면 지금의 pc게임 시장과는 비교도 안되게 망했을걸요 크크 pc게임 시장, 특히 AAA급 pc게임 시장은 불법이지만 공짜로 편하게 다운받는 토렌트가 있다는걸 잊어서는 안되죠.
볼리베어
20/08/04 00:47
수정 아이콘
가챠가 진짜...
페그오에 200만원 정도 쓴거 같은데, 지금은 접다시피 해서 더 안하지만... 이제야 뒤늦게 아깝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근데 지를 당시에는 신기하게도 아깝다는 생각이 거의 안듬. 그것보단 (워낙 천장이 없다보니;) 제발 원하는 캐릭이 나와주길 바라는 마음만 컸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1871 [유머] 다메다네 다메요 다메나노요 [13] 손금불산입11438 20/10/26 11438
401825 [유머] 롤드컵 이슈가 묻히는 커뮤니티 [9] 끄엑꾸엑11032 20/10/25 11032
401780 [유머] 커뮤니티 사이트를 떠나는것 [8] 파랑파랑7959 20/10/25 7959
401246 [유머] 가장 무서운 손님 [16] CoMbI COLa9549 20/10/20 9549
401105 [유머] 젊고 열려있는 피지알 [29] KOS-MOS11102 20/10/19 11102
399226 [유머] 조선을 지원한 만력제에 대해서 의외로 알려지지 않은 사실.jpg [22] TWICE쯔위10974 20/10/02 10974
397737 [유머] 커뮤니티를 많이 하면 재미없는 이유 [9] 퍼플레임8514 20/09/16 8514
397681 [유머] 바람의 나라 근황 [8] 파랑파랑9348 20/09/15 9348
397428 [유머] 돈 보내주면 하고싶은말 올려주는 유튜버 근황.jpg [10] Star-Lord10617 20/09/13 10617
397289 [유머] (분노주의)실제상황입니다. 소방본부가 임대청사(?) [22] 유명한그분12870 20/09/11 12870
397138 [유머] 국가자격시험 59.999…점은 합격? 불합격? [22] Pygmalion10893 20/09/10 10893
396460 [유머] 결혼가치관으로 헤어졌는데 힘드네요 [53] 뜨와에므와16299 20/09/04 16299
396263 [유머] 최근 커뮤니티 중립기어 특징.gif [8] 삭제됨10330 20/09/02 10330
396120 [유머] 이론상 3개로 충분한거.jpg [26] 꿀꿀꾸잉11040 20/08/31 11040
396018 [유머] 커뮤니티를 접으라고 권유하는 디씨인 .txt [16] 불행10320 20/08/30 10320
394504 [유머] '리플리 증후군'으로 들통난 어떤 유튜버 [48] 라면18352 20/08/11 18352
393778 [유머] 모바일 게임과 PC-콘솔 게임을 하다보면 드는 생각.jpg [54] 프테라양날박치기9724 20/08/03 9724
393303 [유머] 어떤 커뮤니티가 친목질을 허용하는 이유.jpg [28] VictoryFood12711 20/07/29 12711
392424 [유머] 커뮤니티는 신나게 하면서 지네가족은 뭘 하는지도 모름 [11] 이호철10325 20/07/20 10325
390814 [유머] 우주 개그 [8] 퀀텀리프7780 20/07/03 7780
390623 [유머] 은근히 커뮤니티에서 좌파 우파 갈렸던 사안 [77] 길갈13870 20/07/01 13870
388948 [유머] 인터넷 커뮤니티 성향이 정해지는 과정.jpg [25] 파어12283 20/06/13 12283
388769 [유머] [발암주의] 그들은 사라지지 않는다. [40] 항즐이11702 20/06/12 117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