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7/22 21:30:25
Name TWICE쯔위
출처 펨코
Subject [기타]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getImage.do?atchFileId=MONEY_00000000002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getImage.do?atchFileId=MONEY_00000000002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사실이다


1972년 처음으로 만원권을 발행하기로 결정했을 당시에는 석굴암 본존불상이 앞면에 그려져 있었다

또한 뒷면에는 불국사가 그려져 있었다

1972년 4월 4일 시제품 지폐에 박정희 대통령이 서명하면서 이 도안으로 최종 확정되는 듯했다

그러나...

IE001233349_STD.jpg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기독교계

"특정 종교만 두둔하는 거냐!!!"


?fname=http%3A%2F%2Fsimg.donga.com%2Fugc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불교계

"지폐에 어딜 신성한 부처님을 넣느냐!!!"



기독교계와 불교계 양쪽에서 항의가 들어온 것이다


결국 정부는 도안을 바꾸기로 하였다


이로 인해 1972년 오천원권 지폐와 동시에 발행하려던 계획도 덩달아 무산되었다


getImage.do?atchFileId=MONEY_00000000000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석굴암 본존불상이 있던 앞면에는 (지금과는 모습이 다른) 세종대왕이



getImage.do?atchFileId=MONEY_00000000000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불국사가 있던 뒷면에는 경복궁 근정전이 들어갔다


이 첫 만원권 지폐는 1973년 6월 12일 비로소 세상에 풀리게 되었다




TMI 1


참고로 1972년에 먼저 발행된 오천원권은...


getImage.do?atchFileId=MONEY_00000000000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웬 서양인이 들어갔나 싶겠지만 율곡 이이 맞다(...)



당시 한국조폐공사는 지폐 원판 제작 기술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오천원권 지폐의 원판 제작을 영국 데라루(De La Rue)사에 맡겼다


(위에 나온 만원권 지폐는 일본에서 원판을 제작했다)



하지만 당초 율곡 이이의 표준영정을 그릴 예정이던 김은호 화백이 당시 투병중이었던지라 그림을 그리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결국 율곡 이이의 초상화까지도 영국에서 대신 그리게 되었고, 이로 인해 서양인 얼굴의 율곡 이이가 탄생하고 말았던 것이다


getImage.do?atchFileId=MONEY_00000000000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뒷면은 한국은행 본관



TMI 2


의외로 천원권 지폐가 오천원권, 만원권보다 더 늦게 발행되었다!


getImage.do?atchFileId=MONEY_00000000000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getImage.do?atchFileId=MONEY_00000000000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앞면에는 퇴계 이황이, 뒷면에는 도산서원이 그려진 첫 천원권 지폐는 1975년 8월 14일에야 발행되었다



TMI 3


P20180731_134207625_76997ED9-ABBD-4BF1-B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201710131616335535_l.jpg 당초 만원권 지폐의 도안은 세종대왕이 아니었다?

참고로 신권 발행을 확정할 때는 시제품에 대통령이 서명한다

일종의 결재인 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7/22 21:32
수정 아이콘
한번 봐드립니다

TMI 4 빨리 올리세요
치열하게
20/07/22 21:36
수정 아이콘
돈에 낙서 하고 싶었으면 대통령 하는 건데 별로 낙서 하고 싶지 않아서 가만히 있습니다.
20/07/22 21:36
수정 아이콘
유게에 있기는 아깝네요
20/07/22 21:41
수정 아이콘
1000원짜리 지폐 뒷면 서원 그림 보면 머슴이 마당쓸고 있습니다.
20/07/22 22:01
수정 아이콘
아 방금 들어감 ㅡㅡ
파아란곰
20/07/22 21:42
수정 아이콘
모자 종류 여러개 보여주려고 이황이랑 이이 했다는게 학계의 정설
20/07/22 21:50
수정 아이콘
유교로 대통합!
20/07/22 21:58
수정 아이콘
저 2천원짜리 지폐 기념품 삼아 몇 개 샀는데 어디 쳐박아뒀나 모르겠네요 크크
소금사탕
20/07/22 22:13
수정 아이콘
옛날 천원짜리 추억돋네요
Janzisuka
20/07/22 22:18
수정 아이콘
환국 지도 박자?!
발대지마
20/07/22 22:20
수정 아이콘
근데 저 불상이 들어가 잇는 만원 짜리는
어렷을때 언젠가 한번은 본것같은 느낌적인 느낌은 뭘까여?
이쥴레이
20/07/22 22:40
수정 아이콘
동전 괴담 생각 나네요. 어릴때... 크크
10원짜리 50원짜리 100원짜리 500원짜리 전설...
지니팅커벨여행
20/07/23 08:12
수정 아이콘
천원짜리에 min과 만원짜리에 JI는 진짜 소름돋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92661 [스포츠] 이제는 역사속으로 사라질 짤 [16] 살인자들의섬9335 20/07/23 9335
392660 [유머] 하승진 인성 논란.gif [23] 삭제됨10368 20/07/23 10368
392659 [기타] 토이스토리 엔딩크레딧(엔드게임 버전) [2] 니나노나6897 20/07/23 6897
392658 [유머] 수술한 가슴 만져본 사람 있어? [31] 길갈13351 20/07/23 13351
392657 [유머] 일본이 선진국인 이유 [16] 짱구10724 20/07/23 10724
392656 [기타] 미국 5대 기업 수익구조... [55] 우주전쟁12789 20/07/23 12789
392655 [기타] 대한민국 인터넷 문화의 한 이정표 [16] BTS11454 20/07/23 11454
392654 [서브컬쳐] 픽사 영화중 최고의 오프닝 씬 [26] Anti-MAGE9743 20/07/23 9743
392653 [서브컬쳐] 대중을 타깃으로 하는 작품을 만드는 사람이 가지면 안되는 마인드 [34] 타카이9905 20/07/23 9905
392651 [유머] 나중엔 추억으로 남을지도 모르는 물건..jpg [67] 꿀꿀꾸잉12314 20/07/23 12314
392650 [기타] 뜻밖의 환승 [10] 물맛이좋아요11545 20/07/23 11545
392649 [기타]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가장 여려운.. [51] 물맛이좋아요14320 20/07/23 14320
392648 [기타] 예조판서의 논리구조 [17] 독수리가아니라닭12085 20/07/23 12085
392647 [스포츠] 올해 나이 55살 된 아저씨 근황.GIF [16] 살인자들의섬14517 20/07/23 14517
392646 [스포츠] 싱글벙글 1958년 월드컵 아시아축구 [6] 키류10157 20/07/23 10157
392645 [유머] 야스 동영상 유출을 방지하는 방법 [19] 키류13399 20/07/23 13399
392644 [유머] 파맛첵스를 먹은 영국인 [13] 키류10406 20/07/23 10406
392643 [유머] 배달의 민족 리뷰 레전드 [16] 키류11834 20/07/23 11834
392642 [게임] 한달만에 4500만원 번 중학생 [12] 키류15842 20/07/23 15842
392641 [유머] 가짜사나이 물들어올때 노 젓는 디스커버리 코리아 채널.youtube [7] valewalker11783 20/07/22 11783
392640 [유머] 마스크를 써야하는 이유를 천조국 스타일로 설명해보자.jpg [15] TWICE쯔위11191 20/07/22 11191
392639 [스타1] 토스가 좋아 죽는다는 [21] ELESIS11507 20/07/22 11507
392638 [기타] (392633 관련) 자식 이름은 무조건 평범하게 지어야 하는 이유 [45] 김티모10600 20/07/22 106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