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4/25 12:39:43
Name SKY92
출처 https://blog.naver.com/chldlfdnd123/100206044324
Subject [스타1] 박태민이 이제동을 주목하게 된 경기 (수정됨)


2006년 서울 시청에서 붙은 프로리그 경기인데, 박태민선수는 당시 이제동선수가 아직 듣보 시절이라 확실히 이겨주겠다고 각오를 다지고 경기에 나섰다가 오히려 압살당해서 그때부터 이제동선수의 재능에 주목했다고 하네요....

2006년 SKY 프로리그 전기리그 이제동선수의 데뷔시즌이기도 합니다. 전기리그에서 준수한 성적으로 신인상을 받은뒤 후기리그에서 다승왕까지 수상한 이제동 덜덜.... 저 아카디아 맵에서 왠만한 저그들을 다 연파하고 다녔죠. 40초부터 양 선수의 프로리그 전적도 나오네요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25 12:45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 데뷔경기에서 지고 에결에 나와서 또 지고 2패로 시작한 선수가 어느새 프로리그 역대 다승 1위가 되었으니...
고진감래
20/04/25 13:05
수정 아이콘
전 프로리그에서 오영종에 가려져서 크게 주목 받지 못했을때 게임/눈빛보고 필이 오더군요 나중에 쟤가 저그 탑이 될거같다 그리고 탑이 되더라고요.
Chasingthegoals
20/04/25 13:51
수정 아이콘
222
개인리그에서는 07년초 대진운이 안 좋아서 아쉬웠던 때가 있었어요. 하필이면 반좌 모드였던 마씨 만나서 떨어지고...07년말부터 개인리그에서도 기량 만개했죠. 블루스톰에서 이제동 경기는 대부분 압살하거나 명경기였어요....하나를 꼽자면 곰TV 시즌4 32강 김택용과의 대결은 그 때 이제동의 폼을 보여준 경기였다고 생각합니다.
20/04/25 13:28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가 잘하긴 했는데
이 게임은 박태민 선수가 너무 못해서 진겜...
서린언니
20/04/25 13:33
수정 아이콘
팀 다큐 플러스 시절 항상 랭킹전 1위라고 나왔죠 얼마안가 데뷔를 하게되고
20/04/25 14:39
수정 아이콘
해설진 평가도 뒤돌아보니 적절하네요. 어찌보면 그냥 데뷔초의 동족전 1경기인데도 큰 선수로 거듭난거다, 챔버에서 공1업 한거다 등
율곡이이
20/04/25 14:58
수정 아이콘
이때가 이제동선수가 곰티비 천하무적대회? 출전하기전인가요? 그때 처음듣는선수인데 왜이리 사람들이 고평가하지 그랬는데 우승인가 결승갔던거 같은데...
20/04/25 15:50
수정 아이콘
곰티비는 아니고 256강 토너먼트로 드래곤볼 천하제일무술대회와 같은 포맷으로 진행됐던 서울 국제 e스포츠 페스티벌에서 우승한게 이제동 선수 개인대회 첫 우승이고 그 시기쯤 해서 이제동이 저그 유망주 원탑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저 대회 우승한게 07년도 후반인데 이미 06시즌 후기 프로리그 다승왕에 07년 르카프를 오영종과 같이 하드캐리 중이었기 때문에; 개인리그 성적이 없다 뿐이지 말도 안되게 잘한다는 느낌은 다들 갖고 있었어요. 위의 경기는 그보다 1년도 전인 이렇다할 활약이 있기 전 완전 듣보시절 이제동의 경기인 것 같네요.
곤살로문과인
20/04/25 16:13
수정 아이콘
이건 그냥 대줬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4873 [스타1] 'ASL 본선행' 전태양, "재미 삼아 참가했는데 본선 가서 신기했다" [9] insane8641 24/02/07 8641
472037 [스타1] 스타크래프트에서 시작된 여러 인터넷 밈 [68] 김재규열사18145 23/01/20 18145
469796 [스타1] 역사상 최고의 마인 역대박.avi [20] ELESIS12837 22/12/20 12837
415601 [스타1] 2007년 마지막 경기를 치르는 임요환 [4] SKY929692 21/03/07 9692
405158 [스타1] 스타크래프트 스토리 만화 7편 - 저그 3편 [2] 캬옹쉬바나7274 20/11/25 7274
398900 [스타1] 민찬기 근황 [19] 카루오스11324 20/09/29 11324
395793 [스타1] 스타크래프트 스토리 만화 6편 (저그편 2화) [5] 캬옹쉬바나8330 20/08/27 8330
394955 [스타1] 임요환이 뽑았던 공군시절 기억남는 경기들.avi [8] SKY9211634 20/08/17 11634
392235 [스타1] 스타크래프트 스토리 만화 5편 (저그편 시작) [7] 캬옹쉬바나8039 20/07/18 8039
388151 [스타1] [마읍읍, JQN 주의] 장윤철의 쭉터뷰 (차재욱 편) [11] 캬옹쉬바나11049 20/06/05 11049
387644 [스타1] 정종현 vs 도재욱 MSL 32강 최종전 in 투혼 [4] SKY927119 20/05/31 7119
387620 [스타1] 김정우의 공식 개인전 데뷔전 SKY927463 20/05/31 7463
387614 [스타1] MSL 진출을 위해 갈고닦은 저그전 빌드를 꺼내드는 구성훈 [3] SKY927770 20/05/31 7770
385611 [스타1] 스타크래프트 스토리 만화 [20] 캬옹쉬바나11994 20/05/09 11994
383987 [스타1] 박태민이 이제동을 주목하게 된 경기 [9] SKY9210105 20/04/25 10105
380685 [스타1] 박성준 vs 오영종 프로리그 에결 in 네오 레퀴엠 [12] SKY926886 20/03/23 6886
380557 [스타1] 이주영 vs 장용석 in 카트리나 [3] 승률대폭상승!6373 20/03/21 6373
380147 [스타1] 역대 최고의 마인역대박은? [30] ELESIS10628 20/03/17 10628
373748 [스타1] 2019년에도 현존하는 오래전 스1 유물 [9] style10583 20/01/09 10583
355433 [스타1] 황효진(BJ소닉), 스베누 ‘횡령혐의’ 2심 무죄 [26] 긴 하루의 끝에서14045 19/06/17 14045
325808 [스타1] 2004 SKY 프로리그 3라운드 오프닝 공개의 순간 [17] 키스도사9207 18/04/17 9207
313713 [스타1] 명량해전 이순신 장군의 용기를 이어받은 선수.avi [1] 저글링앞다리6336 17/10/06 6336
313416 [스타1] [피쉬서버] 점검 시간 연장되었다고하네요 [2] 우리집개6082 17/09/29 60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