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8/27 11:20:47
Name 미메시스
File #1 CcAUW_1.jpg (2.09 MB), Download : 45
File #2 CcAUW_2.jpg (2.36 MB), Download : 28
출처 루리웹
Subject [유머] 유럽 젊은이들이 미국을 선망하는 이유.jpg




남의 떡이 커보이는건 만국 공통인듯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8/27 11:22
수정 아이콘
일본에 환상을 가졌던 한국 느낌
19/08/27 11:24
수정 아이콘
개인락커는 진짜 별로인데... 냄새 쩔고... 크크크

근데 저도 미국에는 살고 싶은데 유럽은 별로 살기 싫음..
19/08/27 11:26
수정 아이콘
돈많으면 한국이 살기 좋다는말 괜히 나온말은 아니죠.
19/08/27 14:19
수정 아이콘
돈없어도 한국이 나쁘지 않죠..
미국에서 돈없으면 보험도 없고.. 거주하는 곳의 치안도 불안하고.. 학교에서 체험학습, 급식도 못먹음..
19/08/27 14:50
수정 아이콘
저도 한국이 살기 좋은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본문에 세금 왕창 내야하는 복지국가 이야기 나오기에 우리나라는 저정도는 아니라서 부자들이 더 살기 좋은나라 라고 한거에요. 제 댓글의 뉘앙스가 돈없으면 한국이 살기힘들다로 오해소지가 있군요.
19/08/27 11:26
수정 아이콘
처음 내용을 보니까 논스톱을 보면서 대학 생활에 환상을 느낀게 생각 나네요.
우리는 하나의 빛
19/08/27 12:23
수정 아이콘
이거리얼이죠. 크크크..

뭐 같은 느낌으로 실장님류 드라마들도 그런건가 싶기도 합니다.
19/08/27 14:57
수정 아이콘
이거레알.. 실제 대학생활을 황해 컷으로 비교한거 짤 생각나네요.
19/08/27 15:05
수정 아이콘
저희 삼촌은 사랑이 꽃피는 나무를 보고 대학생활에 환상을 느꼈다고 하네요. 흐흐
티모대위
19/08/27 11:27
수정 아이콘
이런거 보면 한국이 문화적으로 제법 선진국인게 느껴집니다.
유럽 젊은이들은 물론 자기들이랑 미국인들이 닮은 점이 많아서도 있겠지만, 저렇게 미국 문화에 완전히 빠져들었는데
우리나라는 일단은 자국 문화물이 대부분 우선이니까요. 아무리 할리우드 영화가 성적이 좋아도, 역대 천만영화의 대부분은 국산영화죠.
드라마는 말할 것도 없고. 아무리 유명한 해외 드라마도 안보는 사람이 대다수.. 반면에 당대 톱급의 한국 드라마는 안보는 사람도 대충 내용은 알정도로 인기가 많고
19/08/27 11:31
수정 아이콘
언급하신 문화적 동질성 문제가 큰거 같아요. 아예 경제규모가 안 되는 나라야 다른 나라의 문화컨텐츠에 종속되는게 흔하지만 유럽을 보면 영,프,독 이런 나라들도 자기들컨텐츠보다 미국컨텐츠가 동아시아쪽보다 훨씬 비중이 큰 느낌이라..

아무래도 동양인 입장에선 서양컨텐츠는 재밌는건 재밌는건데 이질성이 크다보니 자국문화수요가 더 발생하기 쉬운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한국은 또 국민들이 스포츠에 대한 열정이 유럽,남미인들에 비해 훨씬 떨어지죠. 경제력에 비해서 스포츠산업이 썩 크지않고 그 리소스가 문화산업으로 가고 있지 않나 싶네요
티모대위
19/08/27 11:42
수정 아이콘
그쵸 우리나라는 여가시간을 거의 대부분 문화생활에 때려박는 터라.. 인구수 대비 문화산업의 시장규모도 큰듯하네요
크레토스
19/08/27 11:32
수정 아이콘
영어도 잘 못하고..문화,인종이 다른 점에서 미국 대중문화가 주류 되기엔 장벽이 크죠
일본도 마찬가지라 자국문화가 득세하고요
뭐 대중문화만 갖고 얘기하기엔 고급문화에선 아직 유럽 영향력이 막강하지 않나요
티모대위
19/08/27 11:43
수정 아이콘
그래도 대중문화가 고급 문화보다는 비중이 크니까요. 고급문화를 한두 나라가 지배하고 있으면 모르겠는데 유럽 각국이 나눠 갖는 측면도 커서... 이걸 가지지 못했다해도 문화적 선진국이 아니라고 할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19/08/27 12:07
수정 아이콘
딱히요. 선진국이랑 예시를 넣은 내용이랑은 관련 없다고 느껴집니다.
티모대위
19/08/27 13:10
수정 아이콘
?? 문화 선진국이랑 저 내용이 관계가 없나요?
문화적 자립성이 굉장히 높은 편이라는 얘긴데요. 문화산업 수출에 대한 얘기는 안했지만 우리나라가 꽤나 상위권이고요.
19/08/27 15:56
수정 아이콘
별로 그렇게 생각안됩니다.
허구한날 국뽕예능에 두유노우김취? 우리나라 문화 맛보니까 좋지 양놈들아?? 이런게 얼마나 수두룩한데요.
티모대위
19/08/27 17:05
수정 아이콘
그건 저도 별론것 같은데
https://www.yna.co.kr/view/AKR20170411152600073
이런 자료 보면 한국이 문화강국이라 생각 못할것도 없죠.
달과별
19/08/27 12:19
수정 아이콘
북유럽과 네덜란드는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으니 해외 프로그램을 즐겨 봅니다. 근데 이게 프랑스나 스페인 같이 자국 언어가 세계적 지위를 가진 나라들에도 해당이 되느냐면 아니거든요.
타츠야
19/08/27 21:25
수정 아이콘
독일은 모르겠습니다. 자기들 컨텐츠가 없는 것은 아닌데 미국 드라마, 영화, 코미디 등 엄청 틀어주네요
19/08/27 11:31
수정 아이콘
국뽕같지만 돈좀있고 미세먼지만 없으면 한국이 최고같아요.
지켜보고있다
19/08/27 11:33
수정 아이콘
10대청년인데,,,나이먹고보니,,한국이최고입니다..!!!11
Chandler
19/08/27 11:42
수정 아이콘
우리..동년배들...다 한국이..최고라고한다,,,
모리건 앤슬랜드
19/08/27 11:48
수정 아이콘
욕망의 거세라.....
루트에리노
19/08/27 12:03
수정 아이콘
으 저는 미국 살기 싫어요...
총맞을까봐 겁나요 머리도 커서 표적지도 크고
스토너 선샤인
19/08/27 19:37
수정 아이콘
괜찮습니다 제 머리가 더 큽니다
안프로
19/08/27 12:04
수정 아이콘
미혼 입장에선 한국은 초부자 아니어도 꼭 대기업 안다녀도 꽤 괜찮게 살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결혼하고 아이 키워야 하는 입장은 또 다르겠지만
초코타르트
19/08/27 12:11
수정 아이콘
이것도 유튜브 인가요. 확실히 유튜브때문에 해외에 대한 인식이 많이들 달라지고 있는것 같기도 합니다.
예전엔 좋은점만 보였다면 그 좋은점이 더 크게 보일수도 있고 몰랐던 나쁜점이 보이기도 하고 저런거 보면 재밌더라구요
카미트리아
19/08/27 12:13
수정 아이콘
딴 소리인데...
뉴요커 6명이 카페에서 노가리 깐다는 드라마..

프랜즈 같은데
프랜즈 맴버들 일하는 장면 나오는데요.
돈 없어서 빌리거나 하는 장면도 종종 나왔고요..
Chandler
19/08/27 12:40
수정 아이콘
우리친구동년배들....다들..열심히일하면서산다...
Faker Senpai
19/08/27 14:57
수정 아이콘
뭐 섹스인더 시티도 종종 일하는장면 나오긴 하죠. 노는장면이 90%라 그렇지.
반복해서 보면 실상은 다를거라는거 논리적으로 아는데 환상을 가지게 되는거 같아요.
달과별
19/08/27 12:17
수정 아이콘
미국은 월세가 싼 줄 알아서 저러는 겁니다. 흐흐흐흐. 이봐, 코펜하겐 렌트비는 미국에서 괜찮다는 소리 듣는 애틀랜타 수준이라고!! 비싸다고 하면 공감 못 받는다는걸 알려주면 가만히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빛
19/08/27 12:21
수정 아이콘
6명, 뉴욕.. 식스앤더시티?
Chandler
19/08/27 12:39
수정 아이콘
프렌즈일거같습니다(진지)
카미트리아
19/08/27 13:0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챈들러 직업이...
Chandler
19/08/27 13:04
수정 아이콘
트랜스포스터입니다
19/08/27 13:08
수정 아이콘
That's not even a word!!!
19/08/27 13:44
수정 아이콘
볼륨 조절 좀 부탁드립니다. 모니카 목소리가 넘나 커서 사무실에서 깜짝 놀랐네요.
Concentrate
19/08/27 13:26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크
스토리북
19/08/27 12:51
수정 아이콘
맨유는 왜 까요 ㅠㅠ
우리는 하나의 빛
19/08/27 13:01
수정 아이콘
아..'섹스앤더시티'죠;;
왜 자연스럽게 식스가..
펩의 맨시티를 제일 싫어하는데 말이죠. 크크
구라쟁이
19/08/27 14:45
수정 아이콘
저보단 괜찮은 실수군요...
어릴적 영어 처음배울때 six를 sex라고 당당하게 읽었던......
던져진
19/08/27 12:26
수정 아이콘
그냥 화려한 삶에 대한 동경인거 같네요.

그런데 저 친구들이 몰라서 그렇지

유럽 부자들도 미국 부자들 못지않은 화려한 삶을 살고 있을 텐데...
유유히
19/08/27 12:36
수정 아이콘
어릴 때 대학문화에 가진 환상이 생각나네. 그땐 몰랐죠. 한국에 남자셋 여자셋에 나오는 하숙집따윈 없다는걸.
Lord Be Goja
19/08/27 12:48
수정 아이콘
예전 청춘시트콤들이나 청춘영화 보면서 대학환상 키우다 실망한 아재들도 여기에 많으실텐데, 비슷할거같군요.
매일푸쉬업
19/08/27 12:59
수정 아이콘
돈 많으면 총 없는 한국이 더 살만 하죠.
유럽이나 미국에 비해 세금도 더 적게 내고
19/08/27 13:04
수정 아이콘
배가 불렀네
긴 하루의 끝에서
19/08/27 13:06
수정 아이콘
문화적 동질성이라는 게 좋게 작용할 수 있으면서도 이런 점 보면 한편으로는 나쁘게 작용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동질성을 갖는 집단 내에서 영향력이 더 큰 쪽으로 집중 및 흡수되기 상대적으로 쉬운 환경이라고 할까요? 물론 언어가 완벽히 같은 것은 아니니 어느 정도 한계는 존재하지만 문화적, 정서적으로 공유하는 부분이 많은 만큼 취약점도 분명히 존재하는 것 같아요. 중화권이라고 불리는 거대 문화권만 봐도 그렇고요.
19/08/27 14:21
수정 아이콘
아는 분 아들이 대학가서 자취한다고 노랠부르더니 자취방 몇군데 돌아보고는 그냥 집에서 다닌다고..
19/08/27 15:47
수정 아이콘
하이틴 미드나 영드의 소소한 법칙 중 하나죠.

주요 등장인물들은 모두 사물함 윗칸을 씁니다. 아랫칸 쓰는 거 한 번도 못 봄.
고물장수
19/08/27 20:02
수정 아이콘
드라마만 보면 한국도 어마어마하죠. 문화의 힘이란....
pppppppppp
19/08/27 21:39
수정 아이콘
그래도 미국이 좋은 것 같아요. 하는 만큼 대우는 받으니
19/08/28 15:07
수정 아이콘
돈이 있든 없든 한국에서 태어났으면 전세계 상위 5% 안에는 드는지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1419 [유머] A : 야 머리로 문짝 부술 수 있다니까 [17] 카루오스11259 19/08/27 11259
361418 [유머] 인싸들의 어벤져스 어셈블 [26] swear14601 19/08/27 14601
361417 [스포츠] 운동 좀 했다고 깝치는 중딩.jpg [17] 아지르13168 19/08/27 13168
361415 [유머] D의 의지 [22] swear9494 19/08/27 9494
361414 [동물&귀욤] [약혐주의] 사마귀 vs 말벌 싸움 [4] swear7612 19/08/27 7612
361413 [유머] 깔창보다 보니 발열 깔창 대박이네요 [46] Secundo11146 19/08/27 11146
361412 [게임] [wow] 클래식 호드와 얼라 차이 [11] 수분크림8385 19/08/27 8385
361411 [게임] 이 쯤에서 올려보는 추억의 플래시게임 [3] Farce9185 19/08/27 9185
361410 [게임] [wow]클래식.. 얼라 시작 풍경.gif [22] 삭제됨8357 19/08/27 8357
361409 [LOL] ??? : 감독님.. 오메가.. 뭐요? [29] 스위치 메이커9132 19/08/27 9132
361408 [게임] [WOW] 클래식 전용 모니터 등장 [11] 쎌라비8313 19/08/27 8313
361407 [동물&귀욤] 갓냥이의 하루.gfy [8] 낭천7050 19/08/27 7050
361406 [유머] 코노하센뿌~! [21] 삭제됨8617 19/08/27 8617
361405 [유머] PC방 3대 빌런 [51] swear17445 19/08/27 17445
361404 [유머] [계층주의] 곤인장 [3] roqur4762 19/08/27 4762
361403 [게임] ??? : 클래식 와우 흥행은 당연 [3] 스위치 메이커6781 19/08/27 6781
361402 [유머] 시어머니 모시기, '배임'이 답이다 [50] 삭제됨10173 19/08/27 10173
361401 [게임] 이쯤에서 다시 보는 시네마틱 [3] Bemanner6390 19/08/27 6390
361400 [LOL] 2019 별수호자 스플래시 아트 공개... 충격 [37] 스위치 메이커7305 19/08/27 7305
361399 [기타] 공통 과학 .gif [23] Lord Be Goja8365 19/08/27 8365
361398 [유머] 브라질 입장에서 억울한 이유.jpg [13] 김유라10612 19/08/27 10612
361397 [기타] 중소기업 다니는 남자의 소개팅 후기 [68] swear14262 19/08/27 14262
361396 [스타1] ASL 역대 총 상금순위 [7] 허니드링크8450 19/08/27 84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