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7/25 00:10:20
Name 이호철
출처 루리웹
Subject [스포츠] 바둑 랭킹 변천사 (수정됨)

초반에는 일본밖에 없는데 어느순간 순위에서 보이지도 않는군요.
16be6bebb0b13dd43.png
현재는 거의 중국판이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뻘건거북
19/07/25 00:18
수정 아이콘
이창호야 워낙 유명하지만 조치훈의 위상이 저정도 였는지는 몰랐네요.
화씨100도
19/07/25 00:20
수정 아이콘
이창호 15년
19/07/25 00:20
수정 아이콘
이건 한국이 어떻게든 계속 1위자리 쥐고 있는게 신기하네요. 아직까지도 바둑 인재풀이 유지가 되는게 희한합니다.
19/07/25 00:25
수정 아이콘
이창호는 진짜 압도적이었네요.
19/07/25 00:28
수정 아이콘
알파고가 1위가 아니라니
닉네임을바꾸다
19/07/25 01:42
수정 아이콘
은퇴했거든요
다람쥐룰루
19/07/25 00:29
수정 아이콘
한국 바둑은 참 대단하네요
1위자리 내어줄 만도 한데 저 엄청난 돈차이를 극복하고...
신진서 선수가 어리다고만 생각했는데 어느새 저렇게 됐네요
19/07/25 00:32
수정 아이콘
겨우겨우 버티는 한국바둑...
탕웨이싱이 랭킹 내에도 없는것에 한번 놀라고, 천야오예가 아직 랭킹에 있다는것에 놀라고 크크크
Ethereum
19/07/25 00:34
수정 아이콘
알파고 이후의 선수들은 참.. 뭐랄까 구글이 원망스러울거같네요 커제가 제일 피해자인듯.. 알파고등장할때 앞길이 창창한 18살이었는데 말이죠
루치에
19/07/25 00:42
수정 아이콘
신진서가 국내랭킹 1위긴 한데, 아직 국제기전 우승이 없다는게 아쉬워요. 본인도 슬슬 조급한 마음이 들듯. 아직 만 19세로 어리긴 하지만, 커제는 만 17세에 백령배 우승했죠.
19/07/25 00:46
수정 아이콘
조지훈 선수가 꽤 오래 살아남은게 놀랍네요. 아직 한국 국적인데, 일본기원 소속이라 일장기를 달았나...(Cho Chikun)
Philologist
19/07/25 00:52
수정 아이콘
이세돌 선수는 뭔 경기를 저렇게 많이 했나요 헐
19/07/25 00:52
수정 아이콘
천일이상 장기집권자가 집권 순서대로
카토 마사오(1200일) 조치훈(2900일) 이창호(5600일) 이세돌(1900일) 이네요.
(괄호안은 10의자리 버림한 연속 1위 집권일수)
모나크모나크
19/07/25 00:59
수정 아이콘
워.... 괜히 이창호가 아니네요.
아마데
19/07/25 07:45
수정 아이콘
5600일;;

소설로 쓰면 먼치킨 쓰레기 소설이라고 버려질 소리네요. 저게 말이 되나..
퀀텀리프
19/07/25 10:58
수정 아이콘
15년간 세계 1위..흐흐
애플주식좀살걸
19/07/25 01:00
수정 아이콘
와 역시 인구가
레가르
19/07/25 01:11
수정 아이콘
영국국기와 함께 알파고 등장이 인상깊네요 크크..
그리고 최택사범님 어디있는겁니까!! 너무 잘해서 순위에 담을 수 없었나 보군요
아카데미
19/07/25 01:46
수정 아이콘
구글 알파고 5살 덜덜;;
냥냥이
19/07/25 01:53
수정 아이콘
중간에 한국과 중국으로 넘실넘실일 때 혜성처럼 나타난 일본 Cho U는 누구인가요?
아무리봐도 일본이름 같지는 않고....
루치에
19/07/25 02:01
수정 아이콘
장쉬 9단입니다. 대만계인데 일본기원 소속이고 일본식으로 발음하면 Cho U라는 듯 하네요
솔로14년차
19/07/25 02:3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이거 역순으로 하면 어떨지 궁금합니다.
19/07/25 03:04
수정 아이콘
두 조씨의 위엄이네요
도들도들
19/07/25 08:33
수정 아이콘
조치훈 집권기는 세계대회가 만들어지기 전이라, 의문의 여지 없이 세계최강이었던 이창호와는 위상이 다릅니다.
물론 그 당시는 일본바둑이 세계 최고였다는 데 모두 동의하고 있지만, 아마도 최강이었을 것과 실제로 다 뚜드려잡고 최강이었던 것은 다르죠. 1980년대 말 최초의 세계기전 응창기배에서 실제로 패를 까보니 일본기사도 아니고 중국 최강 섭위평도 아닌, 변방 한국의 조훈현이 우승한 것만 봐도 말이죠.
19/07/25 08:44
수정 아이콘
이창호는 뭔 1990년에 올라가서 2006년에 내려오네...
겜돌이
19/07/25 09:02
수정 아이콘
이런 류 많이 봤는데 역시 원조인 바둑 랭킹만큼 찰진 맛이 없어요.
미카엘
19/07/25 09:39
수정 아이콘
이거 중국겜 아닌가요?? 왜 초반엔 일본밖에 없죠..
묘이 미나
19/07/25 10:06
수정 아이콘
중국 문화대혁명으로 바둑계 다 작살낸걸로 알고있습니다 .
한국화약주식회사
19/07/25 11:10
수정 아이콘
70년대부터 시작인데 그때 중국 한창 문혁때죠. 바둑 다 파괴되던 시절...
카바라스
19/07/25 12:03
수정 아이콘
바둑의 기원은 중국 현대바둑의 기원은 일본입니다
19/07/25 14:20
수정 아이콘
응씨배 준우승자 녜웨이핑는 청년시절 문혁때문에 돼지우리에서 똥치우고 있었죠.
솔로14년차
19/07/25 17:44
수정 아이콘
데이터가 별로 없어서 그렇습니다. 응씨배 이전까지는 그냥 버려도 무방한 데이터예요.
어떤 의미에선 어뷰징으로 올라간 점수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실제 규모나 관심면에서 일본이 최고라는 평가를 받기는 했었지만요.
19/07/25 10:08
수정 아이콘
이창호의 위엄만 다시금 느끼네요
이츠씽
19/07/25 10:12
수정 아이콘
김지석 구단 좋아하는데 항상 랭킹이 애매해서 슬프네요
19/07/25 10:36
수정 아이콘
지금 세계기전이 죄다 속기바둑인데 일본 대회들 돌아가는 꼬라지 보면 답 나오죠. 이야마 유타가 세계대회 많이 나가면 국내대회에 안 나와서 국내대회 흥행이 안 된다고 일본기원에서 이야마 유타의 세계대회 출전 제한 걸어버린 거 보면 이뭐병 소리가 절로 나옵니다.
서쪽으로가자
19/07/25 10:42
수정 아이콘
근데 조훈현(1:43), 이창호 (1:49) 9단은 뭔가 등장부터 갑작스레 등장이네요... 전적이 0-1인데 갑자기 랭킹 2위,5위로 나타나고...
솔로14년차
19/07/25 17:46
수정 아이콘
알파고 등장과 비슷하게, 등장시점에서 세계 최강자들을 때려잡아서 그렇습니다.
서쪽으로가자
19/07/25 10:45
수정 아이콘
조치훈 9단 위엄이.... 근데 나이가 생각보다 젊으시군요. 외모에서는 훨씬 들어보이시는데..
콩탕망탕
19/07/25 12:03
수정 아이콘
20대의 조치훈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새삼 느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7780 [스포츠] 중국이 스포츠에서 비겁한 짓을 한다구요? [16] 말랑10768 22/02/07 10768
447777 [스포츠] 중국 대회가 라인 변경에 민감한 이유.gif [2] Silver Scrapes9790 22/02/07 9790
447744 [스포츠]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중국 피겨를 선택한.. [15] League of Legend10312 22/02/07 10312
447711 [스포츠] 중국 축구 한장 요약 [4] 葡萄美酒月光杯8753 22/02/07 8753
429256 [스포츠] 중국에서 야구인프라를 위해 한국에게 요청한 것 [28] Starlord10369 21/08/03 10369
429217 [스포츠] 중국킬러 일본 탁구여제 이토 미마 5살때 예능출연 [19] Demi12766 21/08/03 12766
420604 [스포츠] 일본에 13살 192cm 여중생이 아시아 농구에선 빡센 이유.JPG [9] insane11864 21/04/25 11864
396584 [스포츠] 중국 젠쯔하오 uzi선수의 출사표 [19] Lord Be Goja8746 20/09/05 8746
385095 [스포츠] 김민재의 소속팀 베이징 관련 인터뷰 발언에 중국팬의 댓글.jpg [18] 살인자들의섬9845 20/05/05 9845
382485 [스포츠] 불패의 마이클 조던 [12] 그10번9733 20/04/09 9733
377891 [스포츠] K리그에서 1년 4억짜리 선수였던 내가 라리가에선 2년 6개월 계약? [37] 신불해11581 20/02/21 11581
377657 [스포츠] 세계 최강 중국축구 최전성기 [22] roqur7454 20/02/18 7454
374653 [스포츠] 3패 탈락한 중국 축구 근황.jpg [22] 손금불산입11494 20/01/20 11494
371999 [스포츠] 한돌보다 세돌이 많지 [13] 아지매9131 19/12/18 9131
369133 [스포츠] 어제 중국 자책골.gif [30] TWICE쯔위11801 19/11/15 11801
365336 [스포츠] 중국머니가 무서운 이유 [21] 카루오스13147 19/10/07 13147
358556 [스포츠] 바둑 랭킹 변천사 [39] 이호철10979 19/07/25 10979
352039 [스포츠] 中쇼핑몰서 '태권도 vs 무술' 집단 난투극···쓰러진 건 누구? [19] Notorious9494 19/05/05 9494
349327 [스포츠] 중국 마라톤 근황 [28] MiracleKid10924 19/04/03 10924
344661 [스포츠] 아시안컵 이후 중국 축구 팀 근황... [20] 이호철12367 19/01/30 12367
343655 [스포츠] 중국 무술 근황 [27] 인간흑인대머리남캐14029 19/01/17 14029
343647 [스포츠] ??? : 고개를 들어라 중국!!.jpg [11] 光海10532 19/01/17 10532
338044 [스포츠] 중국의 월드컵 진출 해법을 찾은 히딩크 감독.jpg [5] 23년째솔로7525 18/11/02 75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