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5/19 04:40:58
Name Vesta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D1eBM4e-13U
Subject [LOL] 4강전 직후 SKT 인터뷰.txt (수정됨)

김정균 감독
-매경기 운영 싸움이 치열했다. 4, 5세트 승부처에서 집중력이 상대보다 부족했다는 점이 아쉬웠다.
-오늘 풀세트 치르면서 저와 선수들 모두 느낀 점, 배워가는 점들이 많았다. 오늘의 경험이 약이 될거라 생각한다.
-불리한 상황에서 따라잡는 장면이 많이 나왔는데, 그 이후에 집중력이 흐트러지면서 확실한 역전을 못하는 등 전반적인 흐름이 아쉬웠다
-상대 픽은 오늘 경기에 나온 픽, 안나온 픽 모두 고려했었다. 경기에서 어떻게 풀어나길지도 이야기했었는데, 잘 풀리지 않아서 아쉽다.
-탑 파이크 픽은 예상했었다. 5세트에서는 파이크가 그렇게 경기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가장 아쉬운 점은, 세트가 거듭될 수록 선수들에게 좀 더 좋은 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었는데 그걸 못해준 것이다.
-이번에 처음 국제대회 나온 선수들도 있었는데, 오늘의 경험을 토대로 더 나은 팀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유럽, 북미는 메타, 챔프면에서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하는 편이다. 패치도 영향이 있지만 상향평준화가 롤씬 전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듯 하다.



-탑 픽이 전체적으로 다 비슷비슷했다. 탑 파이크 등 특이픽에 대해서 예상하긴 했는데 플레이로 대처하는 부분에서는 미진했다고 본다.


클리드
-첫 국제대회인데 4강에서 탈락한게 아쉽지만 오늘의 경험을 바탕으로 더 잘할 수 있는 계기로 삼겠다.


페이커
-전체적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경기력이 잘 나오지 않았다. 한가지 이유를 꼽기보다는 좀더 분발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크다.
-이번에는 3 대 2로 아쉽게 패배했지만 오늘 경험을 바탕으로 더 열심히 한다면 다시 정상의 자리를 되찾을 수 있다고 본다.
-파이크는 그룹스테이지에서 만나봤고 충분히 예상한 픽이었다. 패배의 이유는 밴픽보다는 플레이면에서 부족해서다.
-TLvsG2는 섣불리 예상하긴 힘들다. 미드는 캡스가 이번 대회에서 보여준게 많긴 하지만 결승전 변수가 있어 예상은 어렵다.
-G2의 밴픽이 독특하긴 하지만 플레이를 잘했다면 충분히 파훼할 수 있었다. G2는 플레이도 독특한 면이 있다는 점이 강점이라고 생각한다.
-캡스는 오늘 전반적으로 잘한 것 같다. 다음에 만난다면 내가 충분히 이길 수 있다고 본다.
-공격적인 것과 계산적인 것은 별개라고 생각한다. 물론 어느 정도 겹치는 부분은 있을 수 있겠지만. 우리팀은 계산적이면서도 공격적으로 하려고 했고, 이번 MSI에 공격적인 성향의 팀들이 많긴 했지만 그 팀들을 따라간다기보다는 우리가 추구하는 방향대로 경기하려고 했다. 최근 패치가 스킬 매커니즘이 복잡해지기도 했고 그런 면들이 계산적인 성향보다는 공격적인 성향에 더 도움을 준 것도 있는 것 같다.


테디
-긴장은 안했는데 팀 전체적으로 집중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패배했다고 생각한다.
-첫 국제대회인데 저희가 좀더 잘했다면 결승에 올라갔을텐데 아쉬운 결과가 나와서 기분은 별로지만, 좋은 경험이 되었다.
-바텀 신드라픽은 그냥 그랬는데, 갱 압박은 좀 받았던 것 같다.
-더 잘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고 그러지 못한 점이 아쉽다.


마타
-개인적으로는 옛날보다는 많은 팀들이 뭉쳐서 싸우는 비율이 늘어난 것 같다. 전투를 즐기는 운영방식이 많아진 것 같고, 패치도 전투를 유도하는 쪽으로 가는 것 같다. 신규 챔피언들도 싸움에 용이한 방향으로 스킬 매커니즘이 나오는 것 같다. G2 같은 경우는 초반부터 그런면에서 장점이 있다고 보고 TL은 버티는 운영에서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듯 하다.









표정을 보니 마음이 아프지만, 시련없는 성공은 없는 법이죠. 다들 힘내서 서머, 롤드컵까지 잘 해내길 응원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19 04:51
수정 아이콘
다음 국제 대회가 기대됩니다.
다음 MSI는
조금 더 긴 기간으로 이뤄졌으면 좋겠어요
다레니안
19/05/19 05:36
수정 아이콘
5세트 핵심은 파이크가 아니라 신드라 미리 뽑아서 르블랑살법 유도한뒤 리산드라받아치기 당한거였죠. 크크...
19/05/19 05:47
수정 아이콘
파이크가 5킬먹으면서 엄청 잘크긴 했는데 그 뒤로 한타에서 skt이 따라잡으면서 점점 썩고 있던건 맞았죠. 뒤로 가면 갈수록 할게 없어지고 있었는데...
19/05/19 07:27
수정 아이콘
근데 만약 미래보고 와서
다시 밴픽한다면 신드라 나왔을때
뭐 뽑아야하나요?

당연히 지투도 르블랑 말고 딴거 나올때
5픽 바꿀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요
다레니안
19/05/19 07:59
수정 아이콘
리산드라를 SK가 가져갔다면 어땟을까 싶습니다.
저 리산드라란 카드가 단순 르블랑을 카운터 친 것 뿐 아니라 존야생략한 극딜템트리로 광역딜 퍼부어 파이크가 날뛸 각을 만들어줫으니까요. 만일 리산드라를 SK가 픽했으면 G2가 어떤 선택을 했을지도 궁금해지기두 하구요. 크크
라방백
19/05/19 05:55
수정 아이콘
마지막에 밴픽 상관없었다고 이야기하지만 자기들도 파이크가 얼마나 강할지 짐작못하고 있었다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사실 칼바람 하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이런 파이크를 경험할일이 많을것 같지도 않구요. 그 불확실함이 조급함을 불렀고 바론을 치는 선택으로 이어진거죠. 잘큰 파이크는 거의 반응이 불가능한 수준의 한타력을 가지고 있어서 아마 힘들었을것 같습니다만..
야부리 나코
19/05/19 05:59
수정 아이콘
파이크보단 리산드라에서 끝났죠...
다음엔 더 잘하면 좋겠네요..
대관람차
19/05/19 06:22
수정 아이콘
파이크5킬은 결과고 원인은 리산드라가 맞죠.
의지박약킹
19/05/19 07:20
수정 아이콘
밴픽이 아니라 못하고 집중 안해서 진거 맞죠. 밴픽 다 버텨내고 역전 중이었으니까.. 바론 왜 갔는지 물아보지 ㅠㅠ
19/05/19 07:28
수정 아이콘
저도 바론 아니었으면
조금씩 따라잡아서 역전하지 않았을까 싶어요
페스티
19/05/19 07:37
수정 아이콘
계속 끌려가는 중이라 기회가 왔을 때 조급함에 판단이 흐려진 것 같아서 아쉬웠어요
반반치킨
19/05/19 07:42
수정 아이콘
칸이 할말은 아닌듯 합니다.
제이스밴으로 카드낭비 사일러스미드강제로 더좋은 그림을 못 만들었는데 ..할수있다고 강하게 어필을 하던가요
블리츠크랭크
19/05/19 08:01
수정 아이콘
스스로 못했다고 하잖아요
Mephisto
19/05/19 07:47
수정 아이콘
게임내내 SKT가 따라잡는 구도였습니다.
그리고 바론한타전에도 잘싸운거지 완벽한 전세역전으로 이겨야할 싸움을 이긴게 아니었구요.
원딜없어서 갈수록 SKT가 유리해질거란 생각은 틀리지 않았지만 실제로 플래이 중에선 한번도 역전한적이 없었어요.
바론도 사실 엄밀히 따지면 리산드라 신드라의 누킹때문에 SKT가 쉽게 먹기 힘든 상황이었고 몇번의 슈퍼플래이를 통해 겨우잡은 실마리라 리스크있는 플래이를 시도했다가 결정타를 얻어맞은거라고 생각합니다.

파이크랑 리산드라를 통해 초반에 주도권을 잡고 신드라 스노우 볼을 굴려서 리산드라의 CC와 광역딜링 신드라의 누킹과 광역 딜링을 통해서 파이크가 후반에도 SKT의 코어를 순삭할 수 있어서 후반부에도 힘이 안빠지는 조합이에요.
바루스가 풀템가기전까진 SKT가 확실하게 전세역전이라 말 할 수 없는 게임이었기에 전 이 인터뷰 정말 이상해요....
19/05/19 09:54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지투의 조합이 대지용이 없는 이상 바론 트라이는 거의 불가능하고(완전히 에이스를 띄운 경우가 아니면요) 템이 나올 수록 평타딜러의 dps가 스킬딜러를 압도하는것과 점치 방템이 나오면서 파이크의 킬 견적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후반에 몇번만 따라잡힌 것만으로도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고 볼 여지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물론 전세 역전이라 도장 찍을 정도는 아니었다고 보지만요
Mephisto
19/05/19 10:46
수정 아이콘
파이크 킬견적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면요....
그게 가장 큰 오해였던것 같아요.
파이크가 각잡을때 가장 필요한게 CC를 통한 안정적인 스킬 적중률과 딜량인데 SKT의 조합상 아무리 튼튼하게 준비해도 리산드라+신드라의 CC+누킹이후 처형은 거의 확정타 수준입니다. 심지어 신드라 궁극기도 필요없었었다고 봅니다.
AD원딜은 후반으로 갈수록 교전내내 꾸준하게 딜을 꼽아넣을 수 있기에 후반 캐리력이 높은건데 누킹딜보다 유효딜을 더 꼽기도 전에 교전이 끝나버리면 AD원딜은 그 효용성이 바닥을 치게 되는거죠. 적어도 그 효율성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시점에선 전세역전이 가능하다는건데 5라운드 상황에서 그 정도 되려면 아예 신발까지 팔고 딜량 끌어올려서 지속딜이 아닌 누킹수준의 평타딜링이 가능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19/05/19 11:20
수정 아이콘
뭐 저도 지투가 11킬 냈을때 뇌절 좀 만 덜했어도 훨씬 일찍 지투가 경기 마무리했으리라 생각은 합니다만 어쨌건 슼은 아쉬울 수밖에 없죠. 끝까지 정신줄을 잡은 지투가 이기는건 당연한거고요
Mephisto
19/05/19 12:13
수정 아이콘
뭐랄까 한마디로 표현하기 애매하긴 하지만....
밴픽의 우위를 통해서 큰실수를 몇번해도 여유가 있는 쪽과 큰실수 한두번 하면 게임이 터져버리는 쪽으로 갈려버린 그런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19/05/19 07:50
수정 아이콘
선수들도 인지는 하고있나보네요. 근데 칸은 오늘 제이스 셀프밴하고 탑 니코, 사일러스 안되는 점에서 마이너스 점수가 엄청 많다고 보는데... 그리고 탑파이크 솔직히 PLAN으로 볼떄 어떤게 대처였는지 의문인게 파이크가 라인설때 파해는 지난번 제이스-엘리스처럼 초장에 죽여놓든지, 라인미는게 엄청 빠른 챔피언을 하든지 했어야하는데 케넨이 적절픽인지가 의문.
19/05/19 08:13
수정 아이콘
자르반 동선도 그렇고 르블랑 텔도 그렇고 탑보단 바텀 신드라를 공략하겠다는 전략이었던거같은데 실패했죠...
19/05/19 11:51
수정 아이콘
저도 르블랑 텔이 제일 아쉽더라고요. 물론 이해는 됩니다. 처음 파이크만났을 때 파이크 기동력으로 순간 머릿수 싸움에서 찍어 누르는게 많았고 비원딜 더트려서 봇에서 스노우볼 굴리는게 시나리오였을 텐데 2랩갱으로 플뺀이후에 이득을 못봤고 미드 6랩 이후 정화 없으니 확정 CC로 3데스하면서 게임 터졌죠.
교자만두
19/05/19 08:23
수정 아이콘
근데 저번 럴드컵처럼 암울하진않아요. 확실히 집중력떨어진게 4.5세트에서 보였고 이긴경기는 아주쉽게 . 진경기는 끝까지 따라가기는 한걸보면 체급차이가 나진않고 lck식 운영도 통하는거 같고ㅡ 지투가 더잘해서 이긴것같네요
19/05/19 08:32
수정 아이콘
확실히 경기 양상이 첨예했으니까요. 밴픽과 MSI 메타적응도(방법론이 아닌)는 G2가 우월, 한타는 SKT가 좀더 나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SKT는 한타기량으로 G2의 대전략을 뒤엎는데는 힘이 조금 모자랐고, 가지고 있는 카드의 수가 G2가 확실히 여유가 있었죠. 소나타를 거르고도 변화무쌍한 카드를 내면서 밴픽 구도를 주도하는 한편, 집중력에서도 SKT를 앞질렀습니다. 적이지만 매우 훌륭했어요. 예전 15 MSI 때 EDG에게 지긴 했지만 그때도 이런저런 아쉬움은 남아도 후회는 없었는데, 이번에도 비슷한 느낌입니다. 가지고 있는게 무엇이고, 보완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국제대회 기준에서 잘 알 수 있었음.
교자만두
19/05/19 08:51
수정 아이콘
그런데 어떻게 퐁부는 g2를 걍이겼을까요..
19/05/19 08:57
수정 아이콘
G2가 좀 만만하게 본 점도 있고 퐁부가 G2의 예상보다 더 공격적으로 나온거라고 봐야겠죠. 이게 원래 강팀들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그림을 우선시하지 상대의 변수를 우선시하는 경우는 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다보니 예상을 벗어나면 당황하는거죠. 단판은 다전제와는 또 다르니까요. FW도 도깨비처럼 LCK 잡기도 했고 와카팀 중에서도 LCK나 다른 지역 최상위팀 잡기도 하고 그랬잖아요 크크

사실 이런 점에서 참 아쉬워요. 좀더 상체 라인전 주도권에 힘을 싣는 밴픽을 했으면 했는데 2, 4세트는 탑 미드 라인전 주도권이 없었거든요. 복기방송 둘러보다보니 확실히 초반 주도권 없는 밴픽에 대해서는 많이 까이긴 하더라구요 크크크... 그런 점에서는 대 G2전 대전략을 잘못 짜온 면도 있고 여기에 G2가 더 넓은 챔프폭으로 대응하니까 더 꼬였죠. 이런 부분도 단순히 우실줄만 잘했다면 이겼을 수도 있지만, 판단 미스도 분명 있다고 봅니다. 상대가 좋아하는 흐름으로 대전략을 짠 것도 패인의 하나라고 봐요. 안그래도 맞라인전에서 확실하게 상대를 제압하는 구도도 아닌데 스스로 초반에 힘들게 가니까... 사실 탑의 무력이 있긴 해도 G2도 극초반 라인전부터 터뜨리는 팀은 아니라서 좀더 라인전 단계에서 거세게 몰아부치는게 더 좋았을거라 생각하는데 여러모로 아쉽죠.
기사조련가
19/05/19 09:37
수정 아이콘
칸이 제로스보다도 라인전이 약한데 상체위주겜을 할 수가 없죠.
19/05/19 09: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갓로스님께선 세체탑 후보이신 원더님도 두들겨패신 분이십니다
기사조련가
19/05/19 10:06
수정 아이콘
그래놓고 대만탑솔한테 라인전 짐..

알수없는 롤의 세계 크크크
19/05/19 10:12
수정 아이콘
그건 긴장해서 그러신 겁니다
아무튼 긴장임
19/05/19 10:08
수정 아이콘
그래서 미드정글 위주로 게임을 풀었으면 했던거죠. 그런데 이부분 말로 결과론이고 말씀하신 기량문제도 있어서 사실 하고 싶었는데 못했던 걸수도 있음 크크
기사조련가
19/05/19 10:14
수정 아이콘
솔직히 경쟁력이 아니라 lck 1라운드부터 칸은 국제대회 경쟁력 없다고 느꼈어서요... 메타 바뀌어도 메타챔은 못하고 챔프폭도 별로인 선수라서...
19/05/19 10:17
수정 아이콘
현재까지 보여준 모습은 그런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긴 합니다. 개인적으로 앞으로 더 잘할 거라 팬으로서 믿어주고 싶네요. 본인도 극복하기 쉽지 않고 참 힘들겠지만, 재능이 있는 선수니만큼 결국 그 노력의 보상을 받을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기사조련가
19/05/19 10:19
수정 아이콘
칸이 탑그라가스는 세체급으로 잘하긴 하는데...그라가스 버프해주면 다시 잘해질지도..(..)
19/05/19 10:23
수정 아이콘
기사조련가 님// 사실 4세트에서도 칸이 과감하게 꺼낼 수 있는 픽들은 있었어요. 근데 뭐랄까... 전체적으로 더 확실하고 안전한 승부의 길을 도모하려다보니 피오라, 리븐 이런 것들을 꺼낼 생각도 안하고 사일러스도 안하고 좀 스스로 제한한 느낌마저 들었죠. 그러면서 2세트는 아칼리, 4세트는 라이즈를 풀었으니... 좀 더 과감한 선택을 하지 못했다는 것은 결국 상대를 확실히 제압할 수 있다는 확신이 없으니까 나온거라 봐서 더 아쉽더군요.
19/05/19 11:55
수정 아이콘
저도 g2가 퐁부를 너무 만만하게 봤다고 생각해요. 실제로 퐁부가 g2전 2 승찍고 한 인터뷰에서 대충한다? 라는 느낌이 들었다고 말할 정도니까요. 그런데 그걸 떠나서도 탑 후드러 패고 우리가 불리하니까 싸워서 변수를 만들자는 미친 난타 유도에 g2도 많이 당황했을꺼라 생각합니다. 분명 g2 머리에는 ig skt같은 운영쪽을 대비하는 연습을 더 많이 했을테니까요.
티모대위
19/05/19 11:30
수정 아이콘
맞아요 이번엔 팀 클라스가 한끗 모자란게 아니라 집중력이랑 판단 부족이란게 눈에 보여서, 이번 소환사의 컵은 그리 멀어보이지 않네요.
황제의마린
19/05/19 08:39
수정 아이콘
전 르블랑 나오고 그걸 리산드라가 받아치는 장면에서
15 MSI 폰의 모르가나가 떠올랐습니다 되게 불안했죠

그리고 실제로 결과도 패배로 끝나더군요

전체적으로 참 뭔가 안 풀린 게임이였다고 생각합니다
19/05/19 08:48
수정 아이콘
전 불판에서도 4세트때만 말수가 급격히 늘었는데 사실 이번 시리즈는 4세트에서 못잡으면 진다고 생각해서... 말그대로 불안감의 표출... 그탓에 스프링 시즌동안에도 여러번 언급된 라이즈-르블랑 상성도 잊고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고... 사실 이건 라이즈를 풀면 안되는건데, 저는 4세트에서 무조건 리신/자르반/렉사이 + 르블랑으로 초반에 미드 정글 라인전 잡고 가는 그림으로 주도권을 잡아서 끝내는 그림을 봤거든요. 5세트는 밴픽에서 이미 챔프풀이 밀리는 느낌이라 그때 못 끝낸게 너무 아쉬웠죠. 탑 사일러스에 미드 르블랑이면 최선이었다 보지만 이미 라이즈가 나온 상황이라 그것도 안되고 정글 스카너 나왔는데 탑 빅토르 나온건 사실 2세트 모르가나 나왔는데 바이 쓴거와 비교해도 훨씬 심각한 밴픽이었음... 이건 팀차원에서 견적을 완전히 잘못본게 맞죠. 2세트 아칼리, 4세트 라이즈 풀고 2세트에서는 모르가나-바이 / 4세트에서는 스카너-빅토르... 잘못된 밴 선택과 셀프카운터 픽을 했는데 챔프풀에서 G2가 앞섰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더군요. 여러모로 한끗한끗씩 어긋나긴했죠. 2세트 바텀에서 바이가 플 판단을 잘못해서 역으로 망한거나 4세트에서 기적의 한타를 하고서도 킬이 아슬아슬하게 덜난다거나. 하지만 결국 그 한끗이 실력차고 챔프풀에 있어서는 압도당했으니 이런 점에서 깨닫고 배울건 배워야겠죠.
고스트
19/05/19 09:17
수정 아이콘
인터뷰가 사실 요약하면 그냥 우실줄이네요 우실줄하면 이겼는데 못했다.
19/05/19 09:19
수정 아이콘
마지막 바론판단 아니었으면 경기 몰랐으니까 우실줄이 맞죠
G2가 호구도 아니고
독수리의습격
19/05/19 09:47
수정 아이콘
오늘은 그런 얘기 해도 납득이 좀 가는게, 4경기 애쉬 텔포는 진짜 그 실수 아니었으면 몰랐습니다. 바론 트라이는 몰라도.....
스카피
19/05/19 09:53
수정 아이콘
실수가 말해선 안되는 단어도 아니고 어제경기는 나올만 했죠.
R.Oswalt
19/05/19 12:10
수정 아이콘
4세트 사일러스의 5인 나르궁 직전 바루스 Q에 체력 3/4 가진 애쉬가 플래시로 스킬샷 피한 것, 그 텔레포트 같은 실수가 연달아 나오지 않았다면 모르는 거라 진짜 우실줄 맞긴 합니다 크크
반성맨
19/05/19 09:36
수정 아이콘
Lck 언제시작하나요?
기도씨
19/05/19 09:40
수정 아이콘
예전에 경솔하게 김정균 감독 비난했던 것을 반성하게 만드는 인터뷰입니다. 졌지만 재미있는 대회였어요. 계속 날아올랐으면 좋겠습니다. 선수에 대한 투자와 영입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장기적으로 계속 크게크게 질렀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기인선수만 잡으면 거의 완벽해 보입니다.
저격수
19/05/19 12:37
수정 아이콘
네 lck의 나머지 9팀은 skt를 위한 선수 팜일 뿐이죠
기도씨
19/05/19 13:13
수정 아이콘
팬으로써 응원하는 팀보고 좋은선수 잡으라고 하는건데 뭐가 그렇게 꼬이신건가요.
그리스인 조르바
19/05/19 09:58
수정 아이콘
그만 좀 배워...1년 내내 배우고 있다 지금
Faker Senpai
19/05/19 10:04
수정 아이콘
선수들 수고하셨습니다.
19/05/19 10:16
수정 아이콘
알면서 왜 그렇게 하지 못했나.. 아마추어 아니잖슴
19/05/19 10:17
수정 아이콘
msi가 뭐 인생의 골도 아니고 지면 지는거죠. 롤드컵 액땜이라 생각하면 될 것 같고 4강도 충분히 잘했다 봅니다.
소셜미디어
19/05/19 17:41
수정 아이콘
4강 못 갔으면 리그가 거의 박살난 점늑이랑 신흥시장인 퐁부 밑인데 충분히 잘했다구요? 응원은 할 수 있는데 그건 아닌거 같아요
19/05/19 18:14
수정 아이콘
좋은 성적으로 4강 갔잖아요. 빌빌대면서 간 것도 아니고 4강에서도 졌잘싸니까.. 전 나쁘지않다봅니다
교자만두
19/05/19 10:49
수정 아이콘
롤드컵만 먹으면됨
작년의 RNG를 보면알수있음..
책 읽어주세요
19/05/19 11:10
수정 아이콘
skt 뿐 아니라 lck 팀 대부분 엉덩이 뒤로 빼고 라인전 하는게 몸에 배서
상대가 너무 편하게 게임하는거 같아요.
가을의전설
19/05/19 13:32
수정 아이콘
인터뷰 할때마다 우실줄 하던대 이쯤되면 그냥 실력이죠.
소셜미디어
19/05/19 17:41
수정 아이콘
우린 실력이 줄었어의 줄임말입니다
나비아스톡스
19/05/20 00:49
수정 아이콘
빅토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6480 [LOL] 이번 리프트 라이벌즈 팀별 나이 정리 [14] 다크템플러7632 19/07/01 7632
356444 [LOL] 리라 참가팀들의 대 중국전 상대 전적 [10] Leeka7194 19/06/30 7194
356136 [LOL] 논란의 마타 발언 [71] 수분크림15541 19/06/26 15541
355586 [LOL] 슼vs담원전 요약 [45] 리자몽9540 19/06/19 9540
355316 [LOL] 위기에 빠진 SKT T1을 구원할 유일한 희망... [26] 내일은해가뜬다10832 19/06/15 10832
355308 [LOL] 마타 교체당한 이유.jpg [21] 천재소녀박수영10902 19/06/15 10902
355205 [LOL] LCK팀이 직접 뽑은 서머시즌 경계순위 [14] Leeka7496 19/06/14 7496
354773 [LOL] 구단별 서머로스터기준 평균나이 [10] 삼겹살에김치6666 19/06/08 6666
353698 [LOL] 그리핀 선수들이 레딧에서 뽑은 라인별 최고의 선수 [41] Leeka10424 19/05/24 10424
353425 [LOL] 더 펜타 MSI 4강~결승 [8] Leeka6362 19/05/21 6362
353388 [LOL] 목표를 이룬 마타 [25] 달빛한스푼9031 19/05/20 9031
353271 [LOL] 4강전 직후 SKT 인터뷰.txt [58] Vesta11285 19/05/19 11285
353157 [LOL] 결과적으로 여전히 역대 대 LCK의 최대 빌런으로 남은 팀.JPG [30] 신불해11368 19/05/18 11368
353036 [LOL] 페이커, 마타, 임팩트 [5] 니나노나7466 19/05/17 7466
352822 [LOL] 깨알 주문력 자랑하는 페이커 [7] MiracleKid9136 19/05/15 9136
352598 [LOL] 어제 경기 후 마타 인터뷰 [38] 타케우치 미유11962 19/05/12 11962
352549 [LOL] MSI 그룹스테이지 2일차 티저 (페이커 vs 루키) [11] 비역슨7050 19/05/11 7050
352230 [LOL] SKT 선수들 베트남 슈퍼계정 아이디.JPG [19] 아지르10201 19/05/07 10201
351707 [LOL] 최강 E스포츠 감독을 이긴 선수 [8] roqur8519 19/05/01 8519
350974 [LOL] 마타가 스파이인 이유 [11] Leeka7694 19/04/23 7694
350903 [LOL] 칸이 말하는 SKT 팀원들의 놀라웠던 순간 [4] pioren9422 19/04/22 9422
350762 [LOL] 페이커 19 LCK 스프링 결승전 복기방송.txt [15] Vesta14702 19/04/21 14702
350509 [LOL] 이쯤에서 다시보는 나물방송 이적시장 평가 [14] Vesta10572 19/04/18 105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