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12/04 11:28:53
Name 낭천
출처 https://www.fmkorea.com/best/1425820771
Subject [기타] 암드 vs 인텔 근황
Jd4yQly.png


독일의 판매사이트 마인드팩토리 통계.

여름부터 암드 점유율이 슬슬 오르더니 가을부터 그래프의 상태가??

전설속에서나 존재하던 암드의 시대가 드디어 오나요.




jepkpBB.png

빛 그자체 리사 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전자수도승
18/12/04 11:30
수정 아이콘
갓사 수! 갓갓 갓!
修人事待天命
18/12/04 11:31
수정 아이콘
뽀아두네!!!
ChojjAReacH
18/12/04 11:32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EIPggCgYK38
AMD! harder faster better
AMD! and It's cheaper
18/12/04 12:19
수정 아이콘
진짜 이노래가 현실이 되가다니.... 하긴 90년대 이후 Apple이 다시 살아날줄은 전혀 생각도 못해봤는데... 지난 10년을 지배 했죠.
우중이
18/12/04 11:33
수정 아이콘
친구가 2700x 빼다가 핀나가서 개고생하는거 보고 거름
18/12/04 11:35
수정 아이콘
아 저도 그것때문에 청소해야되는데 넘나 겁나는것.. 손을 못대겠음..
타카이
18/12/04 11:35
수정 아이콘
amd는 엔간하면 조립맡겨야
18/12/04 11:42
수정 아이콘
헐 지금 2700x오고있는데...혼자 조립해야되는데 무섭습니다
어랏노군
18/12/04 11:49
수정 아이콘
쿨러 떼실때 바로 떼지 마시고 비틀듯이 떼시면 됩니다.
18/12/04 11:59
수정 아이콘
비틀듯이 떼면은 핀 휘지 않아요?
18/12/04 12:22
수정 아이콘
살살 달래듯 때면 괜찮아요. 너무 한번에 하려고 힘을 쓰면 문제가 되고요.
냉이만세
18/12/04 13:55
수정 아이콘
저도 1600X 빼다가 핀 나가고 메인보드 핀 망가져서....결국 둘 다 AS 받았죠. 깊은 공감이 갑니다.
이 문제가 결국 쿨러를 빼다가 CPU까지 딸려나오면서 손상이 가는건데....
AS센터에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물어보니.... 답변이 쿨러를 교체할때 바로 빼지 말고
컴퓨터를 어느정도 돌려서 CPU를 달군 다음에 쿨러를 빼라고 하더군요....
진인환
18/12/04 16:03
수정 아이콘
원래 돌려서 써멀 좀 녹이고 빼는거아닌가요? 전 계속 그렇게 했는데; 헤어드라이어 쓰기도 했고요
냉이만세
18/12/04 16: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들은 바로는 먼저 컴을 구동한 후 열을 발생해서 CPU와 써멀구리스간의 접착력을 없앤다음에 쿨러를 빼라고 했습니다.
쓰고 보니 같은 이야기군요 ~결론은 귀찬다라는 거죠 ㅠ ㅠ
그리고 제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인텔 CPU를 쓰면서 쿨러를 바꿀때는 이런 경험이 없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경험해봐서 좀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성비가 좋아서 2600X로 바꿔서 계속 사용하고 있죠 ^^;;
18/12/04 11:35
수정 아이콘
인텔물량 부족도 한건 했지만, 서밋릿지는 부족했던 부분들이 피나클릿지에서 많이 개선되었고 가성비가 잘뽑혔죠.
아이지스
18/12/04 11:37
수정 아이콘
암드코인 간드아
루크레티아
18/12/04 11:37
수정 아이콘
내 컴터를 암드에 ㅜㅜ
몽키매직
18/12/04 11:39
수정 아이콘
이건 리테일 시장이고 독일 한정이긴 한데, 확실히 예전보다 점유율 많이 높아졌죠.
서버/워크스테이션 시장을 뚫느냐 마느냐가 진짜 싸움인데 서버시장도 무섭게 파고들고 있음...
18/12/04 11:41
수정 아이콘
아까 다음에서 기사를 보긴했는데 AWS쪽에서 인텔 코어수급 문제때문에 고려중이다라는걸 보긴함
몽키매직
18/12/04 11:46
수정 아이콘
서버/웍스 는 안정성/호환성이 중요해서 실제로 고려하더라도 채택되는 경우가 아주 많지는 않을 겁니다. 여태까지 모든 것이 인텔 CPU 중심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어서 AMD 로 바꿀 경우 무슨 문제가 언제 튀어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바꾸는 쪽에서 부담이 상당합니다. 서버용 가성비는 라이젠 1세대부터 진작 차이가 벌어져 있었는데 아직 까지 바꾼 곳이 별로 없는 것도 그것 때문이죠...
샤르미에티미
18/12/04 11:40
수정 아이콘
둘이 경쟁해서 가격 내리는 걸 바랄뿐이죠. 둘이 타협해서 가격 맞추면 답 없음...
18/12/04 11:43
수정 아이콘
가격 얘긴 보통 인텔유저분들만 하지 않나요. 암드쓰는분들 중 가격때문에 불만 있다는분 거의 못봤는데.
오오와다나나
18/12/04 11:43
수정 아이콘
킹사수!!!!!
오오와다나나
18/12/04 11:45
수정 아이콘
집에는 게임 하느라 인텔쓰지만

회사에 새로 맞추는 사무용컴 20대 모두 AMD로 맞추었습니다

본사에 차장님이 여성분인데 인텔 AMD 잘 모르고 업체측에서 인텔 추천하길래

나서서 인텔것도 예전 모델에 가격도 크게 부풀렸다고 따지면서 AMD로 하라고 협상해서 가격도 거품 빼내니깐 속이 시원하더라구요
몽쉘군
18/12/04 11:56
수정 아이콘
회사에서 컴잘알 인증하면 컴터수리공으로 본직이 바뀔꺼같아서 쉽게 못꺼내겠던대요 ㅜ..
만주변호사
18/12/04 12:00
수정 아이콘
아니 왜 위험한 행동을...ㅠ
한글날
18/12/04 12:09
수정 아이콘
혹시 비용 아꼈다고 포상같은거 주시던가요??
18/12/04 12:23
수정 아이콘
일 더시키는 것이 업계의 포상입니다.
복슬이남친동동이
18/12/04 11:46
수정 아이콘
컴퓨터 바꿀 때 게이밍 용도로는 인텔이 낫고 암드가 별로라고 해서 인텔 달았는데...
메가트롤
18/12/04 11:46
수정 아이콘
gap is .... 어?
18/12/04 11:51
수정 아이콘
세계최강인줄 알았던 내가 갑자기 4부리그에?
뻐꾸기둘
18/12/04 11:51
수정 아이콘
암드 붐은 옵니다.
18/12/04 11:54
수정 아이콘
처음으로 amd로 조립pc 구했습니다.
18/12/04 11:59
수정 아이콘
빛사수
Thursday
18/12/04 12:04
수정 아이콘
제 몸 안에는 붉은 피가 흐릅니다. A! M! D!
Lord Be Goja
18/12/04 12:18
수정 아이콘
인텔이 게이밍에 좋다는것도 똑같이 고급 브가달았을때 이야기지...올여름에 프리미엄 잔뜩붙은 8700k가겠다고 브가 1060 3기가 달고 앉아있는 사람 도무지 못말리겠더군요.
18/12/04 12:25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AMD로 가고 그냥 그픽카드 한단계 급을 높히는 것이 프레임 방어에 더 좋을듯 한데...
Finding Joe
18/12/04 12:19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에 라이젠 노트북을 맞추려다가 주변에서 너무 평이 안 좋을 걸 보고 일단 보류했습니다.
몇몇 암드 모델이 그래픽 드라이버가 1년 넘게 업데이트가 안 되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암드가 "내년부터는 제조사와 협력해서 최소 반기에 한 번은 업데이트를 하도록 노력해보겠다"라고 하는데 이것도 확답이 아니라서...

데탑은 안전하려나요.
김티모
18/12/04 12:33
수정 아이콘
암드 노트북은 좀 비추천입니다. 오래전에 한번 샀다가 너무너무 안좋은 기억이... HP꺼였는데 산지 1년 만에 부품 없음 수리 불가 뜨더라고요 크크크크 사설갔더니 다행히 보드문제가 아니고 어댑터가 망가진거여서 어떻게 해결을 보긴 했는데... 그 다음에 진짜 고장났을때 하드 파기하고 고물상에 던져버렸죠.
타카이
18/12/04 13:25
수정 아이콘
저는 에이서꺼 잘 쓰고 있습니다
초반에 그래픽 문제있었는데 바이오스 업뎃하고 멀쩡해졌습니다
물논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업뎃이 최신을 못따라가고 있습니다...
Liberalist
18/12/04 13:46
수정 아이콘
노트북은 암드로 갈 수 있는 선택지가 아직은 없는 걸로... 암드 노트북은 안정성 면에서 떨어지는게 눈에 보입니다.
김티모
18/12/04 12: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2700x 드래곤볼 오는 중입니다. 때마침 마이크론 1기가가 아마존에서 세일을 해가지고 한국보다 한 3만원은 싸게샀네요. 쪽지로 도와주신 횐님 너무 감사하고요...

이제 1070ti만 어디서 줏어오면 되는데 썩 매력적인 매물이 없어 970이 좀 더 수고를 해줘야할듯 합니다.
18/12/04 13:06
수정 아이콘
보수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암드가 잘팔려도 게이밍쪽으로 잡음이 있는지 없는지 최소 1년정도는 지켜보시고 구매하는걸 권장합니다
아주 오래전 이야기긴하지만 암드 듀얼코어 샀다가 여기저기서 호환성문제가 툭툭 불거져나오더군요;
새로산 컴터가 때마다 프리징 걸려서 전원버튼으로 껐다켰다하는 경험은 암드에게 아주강한 선입견을 심어줬습니다....
그리고 이쪽계열에도 변질된 팬덤문화가 정착되어있기에 이러저러한 정보와 이야기들은 걸러서듣고 걸러서 이해하시는 습관이 필요할듯합니다
데로롱
18/12/04 16:53
수정 아이콘
라이젠 나온지 2년이나 되었어요 ㅠㅠ
진인환
18/12/04 19:18
수정 아이콘
그냥 님 선입견인데요..
18/12/04 13:11
수정 아이콘
암드 했다는 농담이 요즘 인텔 했다는걸로 바뀌고 있더군요 크크
오클랜드에이스
18/12/04 13:12
수정 아이콘
리싸~!쑤!
pppppppppp
18/12/04 13:39
수정 아이콘
암드 좋아욤
물맛이좋아요
18/12/04 14:12
수정 아이콘
비슷한 성능의 CPU를 달면 AMD가 더 싸죠. 그 차액으로 그래픽카드를 업그레이드하면 훌륭한 게이밍 컴터가 나오는거죠.
아이즈원
18/12/04 14:27
수정 아이콘
암드의 시대가 오겠어요
애플주식좀살걸
18/12/04 14:44
수정 아이콘
zen2만 믿습니다 쿠쿠쿠
닭장군
18/12/04 14:57
수정 아이콘
어림도있다 임드 아암드
18/12/04 16:15
수정 아이콘
현재 과학연산용으로 쓰레드리퍼(2950X)를 쓰고 있는데 만족합니다.
인텔로 동급 성능 내려면 100만원은 더 드는 상황이었으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2184 [기타] (국뽕주의) 독일 오디션에서 한국어 노래가? [15] 낭천9432 19/05/07 9432
351878 [기타] 1분만에 보는 2차 세계대전 유럽 전선.GIF [47] 비타에듀9164 19/05/03 9164
349729 [기타] 인류를 구했는데 인지도 없음 류 甲 [41] 미메시스11196 19/04/09 11196
348895 [기타] 독일의 비밀 지하기지가 한국에서 발견 [20] Lord Be Goja9525 19/03/30 9525
348564 [기타] 독일의 회사문화 [35] 톰슨가젤연탄구이11452 19/03/26 11452
348213 [기타] 독일에서 운전면허증 따려면.jpg [48]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살인자들의섬9481 19/03/22 9481
346042 [기타] 러시아 내각회의 중.gif [29] 낭천11454 19/02/21 11454
345738 [기타] 이스라엘 유대인에 대한 한 오해 [14] 치열하게12070 19/02/17 12070
344888 [기타] 전세계 국방력 순위.jpg [31] 매일푸쉬업15085 19/02/03 15085
340731 [기타] 한눈에 보는 2차 세계대전 전개 [19] 낭천8282 18/12/05 8282
340626 [기타] 암드 vs 인텔 근황 [53] 낭천13370 18/12/04 13370
336464 [기타] 독일 국민들이 뽑은 위대한 독일인 TOP20.TXT [22] 비타에듀8976 18/10/13 8976
336332 [기타] 1937년 미국 고교생들이 뽑은 현시대 최고의 위인 TOP 10 [5] Misaki Mei7220 18/10/12 7220
336328 [기타] 러시아 국민들이 뽑은 러시아의 인물 12인.TXT [22] 비타에듀7771 18/10/11 7771
334194 [기타] 독일군이 벙커에서 버티기 시전했던 사연. [23] 표절작곡가10589 18/09/09 10589
334029 [기타] 병역면제되던 음악 콩쿠르 목록 ver.2010 [68] 모아16247 18/09/06 16247
333943 [기타] 중세 전투의 프로가 되는 길 [31] 더 잔인한 개장수15808 18/09/04 15808
333039 [기타] ??? : 저 독일 다녀왔습니다 [19] 마징가Z7343 18/08/22 7343
333020 [기타] 한국풍 화장품 [23] Lord Be Goja9259 18/08/22 9259
331871 [기타] 독일보다 한국에서 더 잘팔리는 독일 [18] 내일은해가뜬다8125 18/08/03 8125
331755 [기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찾은 국가 TOP 30 [36] 한박12873 18/08/01 12873
331147 [기타] 베를린 가서 음식 함부로 먹으면 안되는 이유 [22] 치토스13753 18/07/23 13753
329879 [기타] 독일 공대생이 만든 스마트폰 안전 케이스 [34] La La Land14296 18/06/29 142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