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2/13 08:52:26
Name 이호철
출처 본문에 있음
Subject [서브컬쳐] 작가님 만화 잘 봤어요!
1차 출처 : twitter.com/bisekai1/status/954705861682774016
2차 출처 : http://bbs.ruliweb.com/family/211/board/300067/read/30571466
sYYfLDcR_o.jpg1_.jpgwfaPyLzW_o.jpg

러브히나/네기마/UQ홀더등의 작가인 아카마츠 켄이
내 만화가 일본 잡지에 실리는거보다 마루마루에 먼저 올라오더라고 하던 이야기가 생각나는군요.
2월 초, 중국어로 만화를 번역해 올린 일본 내 중국유학생들이 체포되었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2/11, 만화가들이 불법사이트 성명서를 발표했다는데...
NHK 뉴스에서 "[불법사이트]에서 보는건 위법이 아닙니다"라 언급해 논란이 되고있다네요.

불법사이트 이용자 연령대
10대 - 42%
20대 - 14%
30대 -  5%
40대 - 21%
50대 - 19%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와이
18/02/13 08: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방법이 없는거 같아요. 이익이 민감할 네이버나 다음 웹툰이나 일본 만화 업계들이 손 놓고 있는거보면 방법이 없다는거죠. 대여점 때문에 망한다고 치고 받고 싸우던게 십년 전인데 이제 좀 나아지나 싶더니 다시 그대로네요. 아니 그때보다 심한가...
이호철
18/02/13 09:01
수정 아이콘
뭐 대여점은 최소한 대여점 주인이 사기라도 한다는 점에서 사이트보단 낫겠죠.
카와이
18/02/13 09:06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그 당시 대여점이 한 오천곳 정도 있어서 만화든 판무든 오천권 팔리는걸 전제로라도 시장이 존재 했는데 무료사이트는 아주 시장 자체를 허물어버리겠네요.
DogSound-_-*
18/02/13 09:03
수정 아이콘
공짜 좋아하니까 본문에서도 대머리 되었잖아요
람머스
18/02/13 09:35
수정 아이콘
대머리에 대한 혐오를 멈춰주세요. ㅠㅠ 나도 아버지도 할아버지도 원해서 대머리가 된게 아니라구욧!!
솔로13년차
18/02/13 09: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여점 때는 유명 작가들은 힘들었지만 만화출판사들은 크게 벌었습니다.
대여점들이 고정적인 매출을 감당해주니, 만화를 마구 생산했지요.
기본적인 매출을 바탕으로 연재잡지를 늘리고, 연재되는 작품은 웬만하면 단행본이 출간되구요.
일본에서 단행본으로 발행되는 수준의 만화는 거의 한국어판이 나왔는데, 정식 계약에 의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번역이 형편없는 것들이 꽤 있었죠.

만화잡지사들이 대여점에 대해서 캠페인 공세를 보여준 건 대여점 인기가 한풀 꺾인 다음이었습니다. 문닫는 대여점들이 생기면서 개업하는 대여점들이 그 헌책으로 구비하는 경우가 많아졌거든요. 그럼 판매는 신간만이 가능해지는데, 이미 일본의 과거 명작들까지 싸그리 발매한 시점이라 신간이 나올만한게 없어졌죠. 그 시점에 일본만화도 르네상스가 접어들고 있었구요.

대여점 때문에 큰 돈을 벌 수 있었던 몇몇 유명작가들이 돈을 못 벌게 됐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대여점 덕에 데뷔하고 연재하고 단행본을 낼 수 있었던 작가들이 분명 많았겠지만, 각자 본인들은 해당되지 않는다고 생각할테니 이해합니다.
하지만 최소한 출판사들은 공범이었고 가장 많은 이득을 본 집단입니다. 그들이 만화업계랍시고 대여점 탓에 앞장서는 것은 정말 가증스럽죠.
하지만 그 출판사들의 책을 지금도 사주고 있다는 게 함정.
18/02/13 11:13
수정 아이콘
이때 수준미달의 만화들이 꽤나 범람했었죠

특히 소년점프를 매주(후에 격주로 바꼈지만) 구독했던 저로서도 이건 뭔 재미로 보는지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는 작품들이 수두룩 했습니다

어느새 잡지보단 단행본 사서보는게 훨 낫게 되었죠
18/02/13 09:14
수정 아이콘
4,50대가 40프로라는게 놀랍네요..
MissNothing
18/02/13 09:43
수정 아이콘
어릴때는 부모님의 힘이...
18/02/13 09:53
수정 아이콘
상당수가 10대의 세컨드 아이디가 아닌가 싶은데 모르겠네요...
opxdwwnoaqewu
18/02/13 09:16
수정 아이콘
처벌을 강하게 하면 단속이 되겠지만
단속하겠다고 아무데나 형량을 왕창 때리는 것도 안좋으니까...
고스트
18/02/13 09:18
수정 아이콘
애니플러스로 동시진행작 볼 때마다, 넷플릭스로 동시 개봉작 못 볼 때마다 느끼는 건데 돈 내고 보는 게 더 편하고 빨라야 하는 데 더 불편하고 느리죠...
RainbowWarriors
18/02/13 09:19
수정 아이콘
인식이 저렇게 박혀버리면 망한거 같아요. 저보다 훨씬 똑똑한 분들이 기가막힌 해결책을 낼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
18/02/13 09:20
수정 아이콘
웹툰은 밤토x 등등 사이트가 포털 순위에 들정도로 기승

일본 한글번역 단행본도 구글 검색하니까 마루xx 등등 엄청 많더라구요

사실상 공짜로 다 볼수가 있네요
헤나투
18/02/13 09:25
수정 아이콘
인터넷 공짜문화를 가장 강하게 겪은 30대가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비중이 낮군요.
미혼 직장인의 힘일까요?
18/02/13 09:29
수정 아이콘
바쁜데 돈은 벌고 있으니 귀찮게 공짜 찾아다니는 것 보다 그냥 돈내고 보자는 생각이 크지 않을까요. 게임도 마찬가지고
타네시마 포푸라
18/02/13 13:55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불법사이트가 유료로 구하는것보다 훨씬 빠르고 쉽습니다. 일반적으로 일본잡지에 올라오면 이걸 번역해서 올리는것으로 알고있는데, 한글로된 잡지는 나오지 않고 단행본의 경우 텀도 길어서 정발기다리다가 스포당한적이 한두번이 아니에요. 게임만해도 불법공유되는것들은 무설치에 좋은 모드들에 한글패치같은거 쭉 깔려있는데 정품사면 일일이 손으로 해야하는것도 많고 한국에서 한국꺼 사는게 아니라면 보통 불법사이트에서 나도는게 더 편한거같아요.
18/02/13 14:01
수정 아이콘
불법쪽 루트를 어느정도 알고 있는 사람은 그런데, 생각보다 그런 쪽을 아예 모르는 사람도 많아서요. 이런 경우엔 제 주변에서는 공짜로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도 굳이 찾아보려 하진 않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애초에 그런거 찾아서 받는 것 자체를 진입장벽으로 느낀달까요?
다람쥐룰루
18/02/13 16:22
수정 아이콘
애니플러스 년단위로 정액제로 보고있습니다만
어쩔수없을때가 있습니다... 수입을 안해주면 볼 방법이 없어요...
티모대위
18/02/13 09:35
수정 아이콘
현재 30대가 무형 문화에 대한 저작권 의식이 가장 강한 세대라고 생각합니다. 와레즈 시대가 끝나고 지금 공짜문화가 다시 범람하기 전, 그 중간지점에서 20대를 보낸 사람들이죠.

그리고 이건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인데요... 지금 2~30대 사람들이 그 앞뒤 세대보다 도덕관념이 좀더 바르게 자리잡은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헤나투
18/02/13 09:40
수정 아이콘
현 30대가 와레즈 직격세대아닌가요? 와레즈 이후에 각종 공짜 p2p사이트를 겪으면서 성장한거 아닌가요?
티모대위
18/02/13 09:51
수정 아이콘
그렇게 성장했는데, 20대를 거쳐 경제력을 갖추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공짜 문화들이 많이 사그라들었던 것 같습니다.
p2p나 토렌토 같은것들이 여전히 있었지만, 현 30대가 10대~20대 시절부터 주로 향유했던 문화가 게임인데 이걸 돈주고 사는 쪽이 더 편리하고 빠르다는 인식이 커졌고, 이 지점부터 현 30대가 어느정도 경제력을 갖추게 되었다고 보거든요. 고생고생해서 크랙 뚫고 호환성 맞추고 하느니, 그깟 몇만원 쓰고말지가 된거죠.
비연회상
18/02/13 10:02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제가 지금 30대이고 그야말로 와레즈, p2p, 웹하드의 세례를 받은 세대인데 특별히 지식재산권에 대한 도덕관념이나 준법의식이 바르게 자리잡았다는 얘기에 전혀 공감이 안되네요. 법규님 말씀대로 돈 벌 나이가 되었고 인터넷에서 불법사이트 찾아다닐 시간도 없고 귀찮아서 그냥 돈을 쓰는것에 불과하다고 봅니다.
티모대위
18/02/13 10:15
수정 아이콘
사족을 괜히 붙였네요. 도덕관념 얘기는 그냥 제가 주변에서 느낀 경험에 불과하니 잊어주시고요, 저는 수중에 돈이 생길 무렵에 게임 등을 구매하는 수단이 굉장히 편해졌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거든요. 10대~20대 때는 불법으로 다운받는 것도, 돈주고 사는것도 불편했다면, 30대 되어서는 돈주고 사는게 훨씬 편한 케이스가 부쩍 많아졌습니다. (ex: 스팀) 그래서 이렇게 생각했던 건데, 전반적으로는 법규님 댓글내용이 더 큰 이유 겠죠.
솔로13년차
18/02/13 09:37
수정 아이콘
저건 이용자 연령대라. 단순히 30대가 가장 만화 볼 시간이 없을지도 모릅니다.
혹은 가족이 쓰는 컴퓨터거나 평소 부모의 주민번호를 자주 사용해서 4,50대로 판단되는 10대들일 가능성도 있구요.
세인트루이스
18/02/13 09:41
수정 아이콘
22 통계상 40-50대는 대부분 부모님 컴퓨터/계정으로 접속하는 10대라고 강하게 의심합니다
헤나투
18/02/13 09:42
수정 아이콘
하긴 딱맞아 떨어지네요.
달달한고양이
18/02/13 09:39
수정 아이콘
대여점(...)도 없고, 그렇다고 불법사이트를 찾아 나서기엔 시간도 아깝고 찝찝하고 해서 사서 읽습니다. 근데 그러다보니 보던 것만 보고 새로운 작품이나 작가에 도전하기 힘들더군요. 너무 비싸...
18/02/13 09:49
수정 아이콘
솔직히 귀찮고 광고 짜증납니다. 그까짓거 돈주고 보면 되지 컴퓨터 바보 만들기도 싫구요.
사악군
18/02/13 11:45
수정 아이콘
지재권 개념은 있고, 돈도 있는 세대라. (시간은 없고)

10~20대는 지재권 개념은 있는데 돈이 없어서 (시간은 많아서) 그렇지 않을까 합니다.
이영나영2
18/02/13 09:2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레진에서 돈주고 웹툰봤었는데
가격이 싸다고는 안느꼈네요
뭐 가격이야 정해진건아니지만...
18/02/13 09:32
수정 아이콘
30대인데 만화, 판타지, 무협 다 좋아하는데 볼 시간이 없어요.
돈벌어야지, 애키워야지, 술먹어야지, 피지알해야지 응?
그냥 요즘은 만화는 웹툰으로 판타지 무협은 카카오페이지에서 한편씩 기다려 보던가 아니면 소액 결제해서 보던가 해요.
VrynsProgidy
18/02/13 09:33
수정 아이콘
스팀같은 합리적인 통합 플랫폼이 생겨야 해결될것 같네요.

저런 불법사이트 이용은 안하지만 정당하게 내돈주고 만화보는것도 고생이라 걍 안보거든요. 최훈 삼국전투기 돈내고 다시볼라다가 이건 보라고 만든 시스템이 아니구나하고 때려쳤습니다.
티모대위
18/02/13 09:36
수정 아이콘
저도 불법사이트 추천하는 친구들한테 그런거 제발 보지말라고, 거지냐고 갈구고 그러는데...
그와 별개로 돈내고 만화보는게 그닥 편하지 않아서 안 보게 되네요.. 돈은 분명 있는데도 귀찮습니다.
VrynsProgidy
18/02/13 09:46
수정 아이콘
게임때도 그랬지만 불법 사이트들 대부분 해외서버에 광고떡창으로 붙여야 되기 때문에 공식 컨텐츠 제공이 유료여도 합리적인 가격과 편리한 결제방식과 빠른 속도만 보장해줘도 유저층 상당수가 넘어와서 돈주고 볼겁니다.

완결 웹툰 다시보기 보는데. 댓글도 못 봐 핸드폰 인증하고 가입해야돼, 편수만큼 로딩해야돼서 로딩도 300번 해야돼, 근데 가격은 12만원인데 대체 그걸 누가 돈내고 봐... ㅡㅡ
Jon Snow
18/02/13 09:54
수정 아이콘
아이폰으로 신작 미리보기 할래도 엄청 귀찮습니다 뭐 달러주고 비싸게 결제하면 되긴하는데 바가지 쓰는 느낌이라...
네이버 앱-> 웹툰 카테고리-> pc모드로 전환-> 쿠키결제(2개는 안되서 1개씩 두번삼, 캐쉬가 없다면 따로 충전)-> 쿠키로 미리보기 결제-> 미리보기 하면 북스앱으로 연결되서 감상
성세현
18/02/13 10:08
수정 아이콘
다음 웹툰은 그런 면에서는 합리적이죠. 안드로이드면 앱 내에서 바로 결제해서 볼 수 있으니깐요. 아이폰은 웹페이지에서 결제해야되는 귀찮음이 있어서 카카오페이지를 열었지만 다음 웹툰이랑 연동이 잘 안되는거 같아 아쉽고...
Jon Snow
18/02/13 09:50
수정 아이콘
가격은 둘째치고 레진에서 돈주고 사면 서재 채우는 재미라도 있었는데 메갈사태 이후로 탈퇴를 해버려서.. 그냥 안보고 마네요
분해매니아
18/02/13 10:05
수정 아이콘
일본 사는데 몇주에 한번씩 제본된 부분이 잘린 만화 뭉텡이를 어느 멘션에서 봤는데 불법업로드를 위한 스캔작업물이 아닌가.. 이런 생각을 했었죠.
18/02/13 10:06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서도 원피스 최신화 내용은 몇 번 올라오던데요.

원서로 봤다면 할 말 없다만...
18/02/13 10:16
수정 아이콘
귀찮아서 죄다 돈 내고 보는 30대 여기요 크크
18/02/13 10:25
수정 아이콘
처벌만 강하게 하면 다 될것을 의지의 차이죠
소라넷 사건만봐도...
18/02/13 10:26
수정 아이콘
만화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방송들 넷플릭스에 많이 들어와줬으면..
18/02/13 10:27
수정 아이콘
불법을 안 보는건 좋은거긴 하지만 준법정신이라기때문보다는

왠지 힘들게 사느라 만화를 못보고 찾아보기 귀찮아서 돈내고 볼것같고 그럴거 같은... 힘내라 30대!
Arbitrator
18/02/13 10:35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출판만화 시장 갈아마신지 얼마나 됐다고 저런 사이트들이 범람해서 작가들 피를 말리는건가요..
보영님
18/02/13 10:40
수정 아이콘
피시방 가보니 게임 중간중간에 대놓고 보는 사람들 많더군요;;
다이어트
18/02/13 10:44
수정 아이콘
책 이북으로 많이 사 모으기는 하는데 언제부턴가 웹툰 같은거 권으로 안 팔고 몇회 이런걸로 팔아서 넘 불편하더라고요 ㅠㅠ
겨울삼각형
18/02/13 10: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리나라는 다행히(?) 현재 메인 플렛폼이 웹툰으로 변해서 플렛폼쪽(네이버, 다음, 레진) 쪽에서 국내 해외 불법업로드를 어느정도 대응을 하고있지만,

아직 잡지출판이 주류인 일본은 중국-> 한국 -> 일본순으로 역수출되는 불법 스캔본대응이 늦어질수록 시장파괴가 극심해지겠지요.

우리나라가 다행이라고 한건,
우리나라는 출판만화시장 경쟁력이 워낙 낮은상황이라.. 10여년전 불법스캔본이 나오면서 그냥 망해버렸죠.(교육용 만화정도만 살아남음..)
그 폐허속에서 그나마 웹툰이 부활한 상황..
1perlson
18/02/13 11:31
수정 아이콘
는 그것도 요즘 아닐 것 같은게 얼마전에 올라왔던 소식처럼 트래픽양에서 네이버 웹툰보다 불법 사이트 트래픽이 늘었다고 하죠. 우리나라라고 예외가 아닐듯 싶습니다.
겨울삼각형
18/02/13 11:33
수정 아이콘
불법사이트에 우리나라 웹툰이 올라오나요?
1perlson
18/02/13 11:4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유료웹툰 성인웹툰 가리지 않고 선결제웹툰 다 올라옵니다. 저도 여기서 소식을 접하고 들어가서 놀랐지만 솔직히 그런 소식을 전해서 알게된 사람들도 결국 거기가 편해서 계속 이용할까 싶어서 소개가 꺼려지는데

트래픽이 네이버웹툰을 넘어섰다는 소식을 듣고 그런식으로 가려봐야 소용 없겠다 싶을 정도로 엄청난 규모더군요.
다다다닥
18/02/13 11:53
수정 아이콘
심각한 수준입니다. 유무료 가릴 것 없이 안올라오는 작품이 없다고 봐야해요.
겨울삼각형
18/02/13 11:54
수정 아이콘
흠 좀 무
그렇군요.

웹툰업체가 대응안하고있는게 신기하군요.
1perlson
18/02/13 12:02
수정 아이콘
못한고 있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엄청 심각하게 생각하고 저기 내용도 링크타고 보면 더 자세한데 훨씬 더 중요산업일 일본에서도 때리는대로 맞고 있는 형국이라..

딱히 답이 없어요. 어쨌든 자료 자체가 외국에 있다고 생각하면 말이죠.
카바라스
18/02/13 15:54
수정 아이콘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8&aid=0002396443

최후의성채라던 일본만화단행본 판매량도 해적판사이트가 기승을 부리면서 두자릿수 이상 꺾였다네요. 원래 온라인으로 보는 웹툰은 더 답이 없을겁니다..
18/02/13 11:04
수정 아이콘
궁금한데 본문의 독자처럼.
자신의 불법사이트에서 읽은걸 제대로 인지못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18/02/13 11:13
수정 아이콘
대다수는 합법/불법이라는 생각 자체를 해 본적이 없거나, 불법이라 하더라도 자신에게 실질적으로 피해가 오지 않기 때문에 크게 상관하지 않습니다.
카와이
18/02/13 11:15
수정 아이콘
많지 않을까요? 나이가 좀 어리면 네이버 웹툰이나 다음 웹툰에서 보는거나 불법 사이트에서 보는거나 하는 건 똑같으니 인지하기 어려울꺼에요.
겨울삼각형
18/02/13 11:20
수정 아이콘
벌써 10여년전 이야기인데,
만화작가 이메일로 지금 연재중인 만화 재미있게 잘보고 있다면서

다음화는 [어디가야 다운받을수 있냐]는 메일은 받았다는 이야기가 있죠.

만화를 불법사이트통해 처음 접해서 그게전부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수 있고, 만화에 유료결재가 아까워서 찾아보는 사람도 있을수 있죠.
1perlson
18/02/13 11:30
수정 아이콘
요즘 애기들이 TV보다 유튜브로 영상매체를 인지하듯 웹툰으로 만화를 접한 세대는 돈을 내야 한다는 개념이 잡히지 않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안군-
18/02/13 11:39
수정 아이콘
네이버 웹툰도 다음화 결재가 있긴 하지만, 어쨌거나 연재분은 그냥 공짜잖아요. 독자 입장에선...
그러니, 네이버나 다음 같은 플랫폼이나, 마루XX 같은 플랫폼이나 거기서 거기라고 인식할 수고 있긴 하겠죠...
어차피 클릭 한번으로 만화 보는 건 매한가진데, 둘이 뭐가 다른가에 대한 깊은 고찰 따위는... 귀찮잖아요;;
화려비나
18/02/13 16:01
수정 아이콘
유투브에서 별 생각없이 찾아듣곤 하는 노래들도 사실 많은 경우 저작권에 위배되지만 별로 인지못하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네오크로우
18/02/13 11:30
수정 아이콘
제가 대여점 하는데... 가끔 만화 추천해달라 해서 이런 저런 거 소개해주면 '아~ 그건 다운 받아서 다 봤어요. 인터넷에서 봤어요.'라고
그냥 너무 아무렇지 않게 말하는 경우 종종 있습니다. 크크크
18/02/13 11:37
수정 아이콘
웹툰은 무료공개분으로 광고수익을 벌어들인다는데서 출판보다는 상황이 낫지만

여기저기 플랫폼을 옮겨다니지 않아도되고, 유료공개분까지 다 볼수 있다는 편리함에 맛들이면 불법사이트 죽돌이가 시작되는거죠.
18/02/13 11:40
수정 아이콘
게임이랑 마찬가지로, 불법이용하는 사람들이 나쁜놈인건 그냥 상수로 깔고 가는건데, 이런 사람들이 다 흑백으로 나누어지는것도 아니라는걸 알아야죠.

뭔짓을 해도 불법만 보는사람, 불법으로 못 보면 걍 안보는사람 / 아무리 불편해도 돈내고 보는사람, 돈내고 볼 루트가 없으면 아예 포기하는 사람

이런사람은 전체 10~20%나 될까 하네요. 옛날엔 다 양심이 없어서 불법복제하고 지금은 착해서 정품사는거 아니거든요. 언제까지 잡지내고 책으로만 먼저 볼수있게할런지.
밀크공장공장장
18/02/13 11:43
수정 아이콘
30대 남으로써 정말 필요한 정품은 구매합니다... 플4dl이라든가(한글화를 더 해다오!)
FM(다만15이훈 쉬고있..),애플앱...블쟈 게임등
다만 일본만화는 사실 이젠 한국 웹툰만한 재미를 느낀 만화도 없고...(아다치만화만 소장...)
봐도 그만 안봐도 그만한 작품들이 대다수라....
Dark and Mary(닭한마리)
18/02/13 11:46
수정 아이콘
광고창 덕지덕지 붙은거 보기도 힘들던데, 차라리 출판사에서 유료서비스 해줬으면 좋겠어요.나이 먹으니 공짜보단 편한게 좋더군요
18/02/13 11:46
수정 아이콘
유료 컨텐츠는 스팀같은걸 좀 본 받았으면...
사악군
18/02/13 11:48
수정 아이콘
돈내고 번역수준 떨어지는 거 소장하게 되는 일은 짜증납니다.. 불법사이트에서 보고 좋아서 샀는데 번역이 불법사이트가 더 좋아..??
정품 번역이 뉘앙스는 물론 의미가 아예 틀렸어..??
현은령
18/02/13 12:33
수정 아이콘
불법 사이트가 전부 사라지면 이용자들은 돈을 내고 구매할까요 아니면 보는걸 포기할까요? 비율이 어느정도나 될지도 궁금하군요.
이호철
18/02/13 12:36
수정 아이콘
아마 안 볼 사람들이 더 많을거라 봅니다.
ioi(아이오아이)
18/02/13 13:06
수정 아이콘
게임의 사례를 들자면 스팀 같은 정말로 획기적인 시스템이 나오지 않는 이상 무료로 보던 사람은 돈 주고 안 봐요
페스티
18/02/13 13:01
수정 아이콘
저렇게 심각하다니... 차라리 무료 웹공개를 기준으로 모든 서비스방식을 전환하는게.낫겠네요
18/02/13 13:30
수정 아이콘
현직 학원 강사입니다..

중3 외고/자사고반을 맡고 있는데.. 제가 맡은 아이들 대다수가 이런 개념 자체가 없어요.

그나마 다행인건 아이들이 똑똑해서 그런지 한번쯤 이런 생각들은 해본 것 같더라구요. 문제는 그 생각의 결과가..

"P2P 사이트에 돈내고 크레딧으로 다운받는데 왜 불법이냐,"

"무료로 보는 사이트에 광고들 올라와있는걸 자기가 봐주니까 자기도 나름대로 댓가를 지불하는게 아니냐.."

"일본 작가들도 일본의 네이버나 다음같은 회사에서 돈 받을텐데 왜 우리가 돈을 지불해야하냐.."
절름발이이리
18/02/13 13:38
수정 아이콘
스팀 얘기는 별 의미가 없는게, 이미 카카오페이지, 네이버웹툰, 레진 등은 더 개선할래야 크게 하기 힘들만큼 매우 훌륭한 유료화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불법 감상이 압도적으로 편한데 반해 리스크도 없으니까 못 이기는 거 뿐이에요.
염력 천만
18/02/13 14:44
수정 아이콘
불법사이트에서 연령대는 어떻게 아는건가요?
수지느
18/02/13 15:04
수정 아이콘
불법무료게임에서 스팀으로 옮겨진게 구매력이 늘어난것도 있지만

무료게임다운받으려면 설치가 복잡하거나 오류가 나거나 바이러스가 있거나 귀찮은점이나 리스크가 크기때문이죠
18/02/13 16:31
수정 아이콘
불법이 퀄이 더 좋으니...
스팀같이 제대로 된 방식이 떡 하고 나오면 많이 쓰겠죠. 게임은 맨날 다운받아서 하고 그에대한 죄책감이 없는 친구들도 이건 재밌게 했으니 사야지 하고 스팀에서 사서하기도 하더군요.
일본도 뭐 손놓고 있을린 없고 앞으로 뭔가 만들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43483 [서브컬쳐] 서브컬쳐계의 라틴어 [14] 진인환7268 19/01/14 7268
343127 [서브컬쳐] 유튜브 자막 54개 등록 된 의외의 영상 [18] 리자몽9665 19/01/09 9665
342717 [서브컬쳐] 특이점이온 중국집 메뉴 [13] 달달합니다11718 19/01/02 11718
341701 [서브컬쳐] 중국산 모바일게임의 빠른 찬스 사용 [7] 이호철7640 18/12/19 7640
341257 [서브컬쳐] 유사게임+헬적화 [12] 마법사9년차7786 18/12/13 7786
341109 [서브컬쳐] 아쿠아맨 국내매체들 평.jpg [50] 칸예웨스트10464 18/12/11 10464
341045 [서브컬쳐] 중국 박스오피스 현황 [19] 타카이10815 18/12/10 10815
341039 [서브컬쳐] 중국에서 방영예정인 프로게이머를 소재로한 드라마 [57] 수정비13043 18/12/10 13043
338176 [서브컬쳐] 중국차의 안전 기술.gif [8] 삭제됨6045 18/11/03 6045
337845 [서브컬쳐] 프레데터 근황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4999 18/10/30 4999
336382 [서브컬쳐] 중국 국가를 엄숙히 불러야 하는 이유 [7] Lord Be Goja6205 18/10/12 6205
334052 [서브컬쳐] 소녀전선이 일본서버를 내고싶었던 이유 [13] 진인환9344 18/09/06 9344
331306 [서브컬쳐] 춤추는 코스프레녀.gif (데이타) [14] 낭천13192 18/07/25 13192
330399 [서브컬쳐] 영화 안시성, 갑옷 고증논란 [135] 빨간당근14861 18/07/09 14861
327955 [서브컬쳐] 일본만화에서 왔지만 너무 자연스럽게 쓰는 단어 [29] 진인환13283 18/05/25 13283
327378 [서브컬쳐] 어벤저스:인피니티 워 국내 천만 돌파 + 글로벌 흥행 역대 5위 [34] possible10738 18/05/14 10738
325340 [서브컬쳐] 구글 in 우로보로스 [7] 라플비7402 18/04/09 7402
324158 [서브컬쳐] 중국의 K6.9사태인식 [12] 톰슨가젤연탄구이7596 18/03/22 7596
323239 [서브컬쳐] 마블 : 우리는 중국 필요없습니다. [25] 홍승식10111 18/03/09 10111
323238 [서브컬쳐] 2018년 3월 현재 세계 영화흥행 순위 [17] 하야로비9466 18/03/09 9466
322811 [서브컬쳐] 블랙팬서 2주차 전세계 흥행성적.jpg [22] 홍승식9396 18/03/02 9396
322036 [서브컬쳐] [넨도로이드] 금일 원더 페스티벌 공개 넨도로이드 일부.(소녀전선 피규어 추가) [9] 김티모10567 18/02/18 10567
321734 [서브컬쳐] 작가님 만화 잘 봤어요! [78] 이호철11618 18/02/13 116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