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1/08 11:47:18
Name swear
File #1 458C69ED_B280_4462_91CD_3B26B5A652D5.jpeg (75.3 KB), Download : 35
출처 에펨코리아
Subject [기타] 서울대 의대 수석의 은밀한 취미


역시 서울대 의대 수석은 아무나 되는게 아니네요...
공업수학이라니...덜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18/01/08 11:48
수정 아이콘
저런 사람은 서울 의대에서도 몇 년에 한 번 나오는 아웃라이어입니다.
공부 좋아하는 사람은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의대생도 똑같아요. 그냥 좀 더 잘 참고 공부를 더했을 뿐...
ColossusKing
18/01/08 11:49
수정 아이콘
공업수학 꺼라
18/01/08 11:49
수정 아이콘
수학이 정말 재밌긴 재밌는데..
재입대
18/01/08 11:50
수정 아이콘
역시 수석이다 절대 걸리지 않고 보안이 철저하죠 공업수학페이크로 이미지관리도 철저히
18/01/08 11:53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킄크
유자농원
18/01/08 11:57
수정 아이콘
크하하하핰흐크흐히
MicroStation
18/01/08 14:14
수정 아이콘
아 오래전부터 반복해서 봤던 이 짤방의 진실을 드디어 알게되네요. 감사합니다~~ 크크
구름뒤에숨은달
18/01/08 15:14
수정 아이콘
의심을 풀어주면 확신을 갖게 된다는 대사가 생각나네요 크크크
루크레티아
18/01/08 11:50
수정 아이콘
의대는 아니지만 수학과 들어간 친구놈은 밤새 와우하다가 어머니께 들켜서 등짝에 손자국이...
율곡이이
18/01/08 11:51
수정 아이콘
공부하는거였는데 왜 책을 덮는거였나요?
18/01/08 11:53
수정 아이콘
의대 공부가 아니니까요..
율곡이이
18/01/08 11:54
수정 아이콘
아... 대학 들어간 이후 이야기 인가보군요..
빛날배
18/01/08 11:52
수정 아이콘
서울대 치대에 지인이 있는데 그넘은 치대 오고 롤 죽돌이하면서 브론즈에서 플래티넘까지 가던데 케바케인듯요
18/01/08 11:57
수정 아이콘
제 인생상 통계긴 하지만 공부잘하는 애들이 게임 이해도도 빠르긴 하더라구요
공부 포기 게임경력 많음>공부잘했던 일반인>공부못했던 일반인>선천적 게임부적응자
정도 인듯
신공표
18/01/08 13:35
수정 아이콘
요즘 게임은 잘하려면 이해도가 필수라서 거의 맞는 말이죠. 전 게임 새로 시작하면 공부부터 합니다.
시작은 고통스럽지만 그걸 이겨 냈을 때 실력상승 하는 속도가 비교가 안되더라구요.

요즘 게임 눈에 띄게 잘하는 사람들 중에 성적 안 좋은 사람은 꽤 많겠지만, 머리 안 좋은 사람은 별로 없다고 생각해요.
컨트롤과 조작 같은 피지컬적 요소도, 어쨋든 뇌가 깊이 관여하니.
솔로13년차
18/01/08 11:56
수정 아이콘
전공 공부해야 할 시간엔 전혀 상관없는 공부하면 진짜 재밌죠.
티모대위
18/01/08 11:59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수재들은 인내로 공부하는거지 공부가 좋아서 하는 사람 별로없죠.
공부 자체에 대단한 흥미를 느끼고, 일반인 정도의 머리가 있으면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남들보다 압도적으로 우월할 수 있다고 봅니다.
롤 매니아들은 자기 주 포지션의 상대가 어떤 챔프를 들고오는지, 템트리를 타는지, 상대 정글은 어떤 챔프인지에 대한 대응책을 머리로는 다 알잖아요? 겜할땐 손이 안따라줘서/냉정해지지 못해서 문제지, 이게 객관식 문제로 나오면 다들 곧잘 풀걸요? 그러면 그사람은 해당 포지션에 대한 수백가지 유형의 문제를 알고 있는거나 마찬가지입니다. 공부를 이렇게 했다면 성과가 나쁠 리가 없어요.
파닥몬진화
18/01/08 12:04
수정 아이콘
중학교 동창입니다.
정말 괴짜스럽게 똑똑했던걸로 기억하구요.
아버지가 의사셔서인지, 아니면 다른이유에선지 의대 진학했고, 제 기억으론(아닐 수도 있습니다) 고딩때 일본공대셤도 그냥 처봤다가 순위권안에 들었다는것 같았고요.(참고로 5등권안은 도쿄공대입니다)
대학가서 중도에서 우연히 마주쳤을때도 여전히 비범하더군요.
타고난 천재형이였지만 은근히 내신 같은건 신경 안썼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중학교도 수석졸업은 아니였죠
근데 저거 입학수석이란 건가요? 졸업수석이란 건가요?
김철(33세,무적)
18/01/08 12:13
수정 아이콘
저도 중도에서는 비범했는데...
비범해보일 정도로 오래 엎드려 자서..
볼레로
18/01/08 13:10
수정 아이콘
제가 저 다음해 수능을 봐서 기억하는데 입학수석이십니다. 그때 수능만점자분도 설의가셨는데 수능만점인데 정시가 아닌 수시로 붙으셨었죠.
해바라기
18/01/08 14:34
수정 아이콘
09학번 수석 입학자라면
졸업도 수석일겁니다.
네오크로우
18/01/08 12:28
수정 아이콘
천재, 수재라고는 확신 못하겠는데 성당에 중고생 교사 한 분이 그냥 취미로 수학 문제집 들고 다니면서 막 풀더라고요.
본업은 농업인데, 자기는 이게 오락이라고 굉장히 즐겁게 문제집을 푸시는...
세종머앟괴꺼솟
18/01/08 12:53
수정 아이콘
사실 보기에 따라서는 그냥 퍼즐책이랑 크게 다를 것도 없죠 크
신공표
18/01/08 13:40
수정 아이콘
교사인데 본업이 농업이라는 게 무슨 말씀이신가요?
전공을 농업 관련된 쪽으로 하신 교사라는 말씀이신건가..
검검검
18/01/08 13:46
수정 아이콘
중고생가르치는 교사(교회에서) 인것같습니다
네오크로우
18/01/08 14:45
수정 아이콘
성당에서 그냥 중고등부 학생들 지도하는 교사입니다. 말을 줄여 쓰니 중고등학교 선생님 같이 읽히긴 하네요. ^^;;;
18/01/08 12:34
수정 아이콘
불사조가 생각나는군..
귀여운호랑이
18/01/08 12:34
수정 아이콘
학교 다닐 때 집에서 몰래 공부하다가 부모님께 책 압수당하고 그런 적 다들 있지 않나요?
wish buRn
18/01/08 12:41
수정 아이콘
책압수야 다들 당해봤죠. 무슨 책이냐가 문제지..;;
귀여운호랑이
18/01/08 12:59
수정 아이콘
보통 국영수 아닌가요. 중학교 때 고등학교 정석 몰래 풀다가 들켜서 혼나고 그랬잖아요.
GregoryHouse
18/01/08 13:33
수정 아이콘
저희집은 두꺼비집을 내리셔서 반딧불 잡아다 공부했던 기억이있네요
솔로몬의악몽
18/01/08 14:11
수정 아이콘
오 저와 비슷한 경험이 있으셨네요. 전 눈에 비친 달빛으로 공부하고는 했었는데요. 뭐 철없던 시절의 일탈이었죠.
네오유키
18/01/08 16:40
수정 아이콘
제가 공부를 못했던건 눈이 안 내리는 지역에 살아서 그랬던거군요.
새벽포도
18/01/08 15:22
수정 아이콘
저희집은 두꺼비를 잡아다 방에 풀어놓으셨네요. 밤샘 공부에 건강상할까 걱정하신 부모의 마음이셨겠죠.
지니팅커벨여행
18/01/08 12:42
수정 아이콘
고2때 담임선생님이 화학 전공인데, 자율학습 감독하면서 수학의 정석을 막 풀곤 했죠.
그래서 저 사람 수능 봐서 한의대 가려고 공부한다 뭐 그런저런 소문들이 많았어요.
근데 연말쯤 되니까 정석 한권 다 풀고 나서 한다는 말이, 머리 한번 회전시키려고 풀어봤다고, 여러분들도 나중에 커서 직장생활 하다가 머리가 잘 안 돌아가거나 하면 한번씩 풀어 보라고...
몇년 전에 저도 머리가 잘 안 돌아가는 것 같아서 시도해 보려다 귀찮아서 말았습니다.
안채연
18/01/08 12:46
수정 아이콘
근데 진짜 의무적으로 하는게 아닌 공부는 재밌긴 한것 같아요. 저도 작년 수능날 심심해서 풀어봤는데 재밌긴 하더라구요 크크
라플비
18/01/08 12:48
수정 아이콘
공부하려고 하는 게 아니라 심심해서 펼치는 국어나 사회책, 시험지가 왜 그렇게 재미있던지...
Mightymouse
18/01/08 12:58
수정 아이콘
http://www.fmkorea.com/best/737661307
요즘 여러 게시판들에서 다시 보이고 있는 '하버드 교수가 말하는 유리천장' 이게 떠오르네요.
방구쟁이
18/01/08 13:05
수정 아이콘
아니 근데 정말로 수학문제집 푸는 게 취미인 분들도 있습니다. 쉬는 날에 공원 나가서 올림피아드 수학의 지름길 느긋이 (이런 문제는 보통 오랜 생각이 필요하기에) 푸는 게 취미인 분들도 있어요.
18/01/08 13:22
수정 아이콘
저 수학과 다닐 때 전설이 하나 있었는데, 법대 학생이 수학과 전공과목인 미분기하학을 떡하니 들으러 온 적이 있었습니다. 대체 이 사람이 이걸 왜듣나 싶었는데, 중간고사였나 기말고사였나 갑자기 손을 들더니 `교수님, 이 문제가 잘못된거 같습니다.' 라고 했죠. 교수님이 문제 보더니 잘못되었다며 그 문제 풀지 말라 그러고 그 학생은 당연하다는듯이 강좌탑을 먹고 A+...

알고보니 과학고 출신인가 그랬고 수학을 너무 재미있어하고 잘하는 학생이었는데 집안의 반대로 눈물을 머금고 법대로 진학했다고 하더라구요.
주인없는사냥개
18/01/08 14:28
수정 아이콘
공유식씨가 IMO 금메달 출신인데 설법을 가셨었죠. 혹시? 했었는데 과고 출신이면 아닌가보군요
18/01/08 14:56
수정 아이콘
아 과고 출신인지는 제가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말씀하신거 듣고보니 IMO 출신이었던거 같아요. 그 분이 맞을겁니다. 법대 05학번이셨나 그랬는데..
지금뭐하고있니
18/01/08 22:16
수정 아이콘
유식이형은 00학번입니다
18/01/08 22:26
수정 아이콘
기억회로가 전부다 망가져가고 있군요...
18/01/08 13: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근데 연구직에 계신 분들은 동의할거 같습니다만 공부가 재미없으면 못버티는 영역이 좀 있습니다. 자의든 타의든 이 바닥에서 버티려면 공부가 정말 재미있어야해요... ㅠㅠ

저도 바보지만 머리 복잡할 때 논문 읽으면 잼나기는 해요. 버릇이 되어버려서...
꼬빌마을
18/01/08 13:24
수정 아이콘
신랑이 본가에 가면 수학의 정석을 읽고 있더군요. 머리가 맑아진다고.... 고딩때 더이상 풀 문제가 없어서 도쿄대 본고사 문제 구해다가 풀고... 문제집은
서점에서 서서 읽어보면 된다고 말하는... 비슷한 부류가 있었군요. 제가 수학에서 루트의 의미도 기억이 안난다고 했더니 외계인 쳐다보듯이 보던 그 눈빛을 잊을수가 없네요.

하지만 결혼 15년만에야 옷장 어디에 자기 속옷이 있는지 알아낸건 안비밀....
ColossusKing
18/01/08 13:33
수정 아이콘
(외계인 보는 눈빛)
PublicStatic
18/01/08 13:38
수정 아이콘
결혼 11년차인데요. 옷장 어디에 내 옷이 있는지 아직 잘 모릅니다. 페르마의 정리보다 어려워요! 4년 더 있으면 찾을 수 있는건가요? ㅠㅠ

아 저는 정석읽기가 취미가 아니니깐 몇 년 더 걸릴지도 모르겠군요.
마치강물처럼
18/01/08 13:34
수정 아이콘
제 친구 서울대 치대출신 현직 치과의사인 44세 황모씨도 머리가 복잡할 땐 수학 문제를 풉니다.
저랑은 다른 종류의 인간이에요.
신공표
18/01/08 13:43
수정 아이콘
솔직히 공부 재밌지 않나요?
전 잘하지도 못하는데, 고등학교 수학이나 물리 이런 거 보고 있으면 경이롭고 재밌던데.
노는 게 더 재밌어서 그렇지.

의대 가면 쌩암기 형태의 공부 비중이 굉장히 높은 걸로 아는데, 저런 비범하신 분들한테는 수학이나 물리 같은 게 얼마나 재밌겠어요.
그나저나 아버님 성함부터 위대 하시네요.
18/01/08 13:45
수정 아이콘
다들 어렸을 때 심심하면 2의 1승부터 40승 정도는 읊고 다니고 지나가는 차량 번호 암산으로 곱하고 그러지 않나요?
미카엘
18/01/08 14:04
수정 아이콘
차량 번호 조합 놀이는 지금도 계속 합니다 뇌가 굳지 않게 해 주는 것 같아서 좋더라구요
주인없는사냥개
18/01/08 14:36
수정 아이콘
저번에 페북에서 저분이 과외받을 학생 구한다고 글 올린걸 봤는데... 아마 국시 끝나고 한가한 타이밍이셨나봅니다.
유자농원
18/01/08 14:46
수정 아이콘
드립치시는건지 진지하게 흘리기하는건지 참 궁금한 댓글이 있네요 크크 그거 자랑 못하셔서 얼마나 답답하셨을지
염력 천만
18/01/08 16:50
수정 아이콘
머리가 복잡할때, 시간남을때, 스트레스 받을때, 할일없을때, 할일많아도 놀고싶을때
꼬박꼬박 pgr에서 댓글을 달고있습니다
탑클라우드
18/01/08 23:08
수정 아이콘
중고등학교때는 대학에 가야해서 어쩔 수 없어 공부를 했고, 군대 다녀와서는 취업을 해야해서 어쩔 수 없이 공부를 했지만, 이제는 진짜 죽어도 공부하기가 싫습니다. 30대 후반이 되어서야 비로소 당당히 공부하기 싫다고 말할 수 있게 되었고, 이제는 더 이상 공부하기 싫은게 부끄럽지 않습니다. 정말 공부하기 싫지 않나요? 뭘 맨날 외우고 이해 안되는거 이해하고... 살면서 독서에 대해서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었는데 이제 그런 것도 없습니다. 책 읽는 것 보다 피지알 유게가 훨씬 재밌어요. 책은 이제 그 때 그 때 끌리는 것만 읽으면서 살려고 합니다 흐흐
18/01/09 23:28
수정 아이콘
어릴때 수학을 너무 좋아해서 7살때인가 6살때 학원에서 선생님 졸라서 구구단 배우고 초2학년 문제 풀다가 원장쎔한테 들켜서
저는 벌서고 울면서 집에오고 선생님은 쫓겨난 기억이 있네요.
근데 아직도 이해가 안되는데 저는 왜 혼났고 선생님은 왜 쫓겨난건지 모르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3296 [기타] 별거 아닌 것 같은데 북한 역사상 최초였던 보도사진 [56] EnergyFlow14548 24/01/08 14548
471797 [기타] kf-21 보라매 전투기 초음속비행 성공 [5] 아롱이다롱이7087 23/01/17 7087
457097 [기타] 사과드립니다.ㅠㅠ [23] B와D사이의C5076 22/06/29 5076
457045 [기타] (펌)고시합격급 라면 [28] B와D사이의C13880 22/06/28 13880
446352 [기타] 국내 이커머스가 빡센이유 [72] Lord Be Goja11486 22/01/21 11486
440808 [기타] 5급 공채 73년 만에 첫 ‘시각장애인’ 합격자 탄생 [24] 판을흔들어라9091 21/11/23 9091
432242 [기타] 서울대 음대 나온 여캠이 방송을 하게 된 이유 [48] 어바웃타임17469 21/09/04 17469
432237 [기타] 아이러니 그 자체인 독립운동가 [19] 어바웃타임14085 21/09/04 14085
409425 [기타] 서울대학교 의예과 수석 입학자의 일침 [119] 쎌라비13220 21/01/06 13220
385467 [기타] 대한민국 장관급 이상 공무원 총수 : 124명 [17] VictoryFood11727 20/05/08 11727
377217 [기타] 역대 3번째 사법시험+사법연수원 수석 [32] 빨간당근10179 20/02/14 10179
376586 [기타] 러시아 국민들이 뽑은 러시아의 인물 TOP 50.TXT [45] 비타에듀10597 20/02/09 10597
375418 [기타] 사법고시 행정고시 외무고시 합격한 사람의 공부법.jpg [45]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살인자들의섬12333 20/01/29 12333
375327 [기타] ??? : 뭐?? 백종원이 훈연멸치를 개발했다고?! [33] Do The Motion10689 20/01/28 10689
373003 [기타] 필리핀 국적 아랍인으로 신분세탁하고 단국대 교수로 재직했던 조선족 출신 북한간첩 [23] 달달합니다14708 19/12/31 14708
369604 [기타] [워크3] 오리지널 vs 리포지드 비교 [17] v.Serum9187 19/11/20 9187
364963 [기타] 2019년 5급 공채 일반행정 수석 [19] swear9219 19/10/02 9219
331745 [기타] 부하직원 마음에 안 든다며 BB탄 총 쏜 대기업 간부 [16] swear8158 18/08/01 8158
319395 [기타] 서울대 의대 수석의 은밀한 취미 [57] swear17100 18/01/08 17100
318808 [기타] 결혼정보업체에서 1년간 일하면서 느낀점 [105] formars20625 17/12/28 20625
194877 [기타] [기타] 오늘자 클로져 이상용 [7] kien3355 14/02/13 3355
191555 [기타] [기타] [하스스톤] 각 코스트 최고존엄 하수인 . txt [10] 짱슈4977 14/01/20 4977
190992 [기타] [기타] [스타1] 프로게이머들 근황 [36] 짱구 !!22185 14/01/15 221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