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7/09/15 19:30:07
Name 아라가키
File #1 A.jpg (271.3 KB), Download : 33
File #2 1505469063.png (184.3 KB), Download : 17
출처 클리앙
Subject [유머] (수정) 연세대 융합과학공학계열 수시문제.JPG




흠터레스팅(..)

+잘못퍼왔습니다.
잘몰랐는데 실제로는 위에 지문이 추가된 형태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luefake
17/09/15 19:31
수정 아이콘
이걸 사교육 없이 푼다는 건 말도 안 되는 소리겠군요.
17/09/15 19:34
수정 아이콘
최대 반사율과 색상률이 뭔지 모르겠네요
치킨이 먹고 싶다
17/09/15 19:35
수정 아이콘
저같은 똥멍청이는 들어오지 말라는 뜻이군요.
박까스활명수
17/09/15 19:35
수정 아이콘
좀 너무하네요
수능으로 대학간게 다행일줄이야...
17/09/15 19:35
수정 아이콘
입학시험문제부터가 저러니 강의할때는 이정도는 알지? 하고 넘어가려나요.
하우스
17/09/15 19:36
수정 아이콘
진짜 무조건 대학입시는 수능 정시 위주로 가야되요. 수시 위주로 갈수록 사교육 비중만 더 커질텐데 문재인 정부가 잘 판단해줬으면 하네요
마텐자이트
17/09/15 19:37
수정 아이콘
반론이 영 시원찮네요
lotto tester
17/09/15 19:38
수정 아이콘
저런식으로 과정은 대학교 이상을 가르쳐주는데 대상은 고등학생인 사교육이 있긴 있나요
일부 특목고나 과고같은곳은 제가 잘 모르지만
일반계에선 최최최상위권이라도 저런건 사교육으로도 안배우죠
보통블빠
17/09/15 19:38
수정 아이콘
저걸 고등학생 레벨에서...
난정택...
블리츠크랭크
17/09/15 19:38
수정 아이콘
저거랑 유사한 문제를 대학원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질문으로 던지셨었습니다 크크크크크크
lotto tester
17/09/15 19:3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거 풀이는 고교과정으로 가능한게 맞긴하나요?
삶은 고해
17/09/15 19:39
수정 아이콘
걍 수능으로 뽑는게 낫다니까요
스덕선생
17/09/15 19:39
수정 아이콘
대학을 입학하려면 대학생 수준의 지식이 필요하다... 이 무슨 역설인가
더 웃긴건 처벌로 정원이 줄어드는 처분을 받을거라는데 수험생들이 참 좋아하겠군요.

지원금 삭감이나 대학평가 점수 감점같은거면 또 모를까...
마텐자이트
17/09/15 19:40
수정 아이콘
뭐 애들 수시 컨설팅 해주는 곳은 해당 과의 교수들 논문 싹싹 뒤져서 예상문제도 만들어보고 애들 논문도 보라고 요점정리해주고 그랬겠죠
17/09/15 19:41
수정 아이콘
와.... 이건 전공 수업을 들어야 풀수 있을것같은데..
정신 나갔네..
마텐자이트
17/09/15 19:41
수정 아이콘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공부해온 학부생 수준은 되야할거 같아보이네요
포프의대모험
17/09/15 19:42
수정 아이콘
색상률이란 단어는 진짜 첨보는데 ㅡㅡ;
17/09/15 19:43
수정 아이콘
대놓고 사교육 조장이네요. 학교에서 배우는 문제를 내야 정상 아닌지
니가가라하와��
17/09/15 19:43
수정 아이콘
신입사원 모집합니다. 응시자격은 관련 직종 경력이 있어야 합니다.
광개토태왕
17/09/15 19:43
수정 아이콘
이건 너무하다 진짜.....
짐승먹이
17/09/15 19:43
수정 아이콘
문제가 이게 정말 다인가요? 기본공식같은걸 알려주는게 아니라?
아라가키
17/09/15 19:46
수정 아이콘
출처에도 이것만 있어서 잘 모르겠는데,
교육부판단에 계산식을 유추할수 없다는걸 보면 아마..
스덕선생
17/09/15 19:46
수정 아이콘
더 황당한건 논술이 아니라 [구술]문제네요... 그러면 시간도 얼마 안 줄텐데
마텐자이트
17/09/15 19:43
수정 아이콘
주석이라도 달아서 용어 설명이라도 해줘야할것을.... 이래서 학부 교수들한테 수시면접 전적으로 맡기면 안됩니다. 불친절의 끝판왕인 분들인데...
침묵하는자
17/09/15 19:50
수정 아이콘
설명 있어요
히오스
17/09/15 19:44
수정 아이콘
답은 수능이다
침묵하는자
17/09/15 19:47
수정 아이콘
저 스샷만 보고 흠좀무 했다가 막상 문제 보니 그렇게 노답 문제는 아닌것 같더라구요
단어에 대한 설명이 좀 부족하긴 한데

https://www2.yonsei.ac.kr/entrance/assessment/2017/2017_yonsei_assessment_s.pdf

보시고 판단하세요. 문제는 설명이 더 있긴 한데 왜 굳이 영어여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고...
제가 보기엔 풀수는 있는 문제인듯 합니다...
아라가키
17/09/15 19:51
수정 아이콘
저것만 있는줄 알았는데 지문이 더 있었군요 ?
알려줘서 감사합니다!
금주전사
17/09/15 20:03
수정 아이콘
저도 찾아보니 국제인재전형? 같은 건가 봅니다..
cluefake
17/09/15 21:08
수정 아이콘
아, 지문을 좀 더 많이 줬네요.
이러면 난이도가 좀 내려가긴 하네...
17/09/15 19:47
수정 아이콘
최대 색상률 최대 반사율은 당연하고 C M Y 도 잘 모르겠네요. 곰곰히 생각해보니 cyan magenta yellow 라고 어디서 본 거 같긴 한데, cyan이 청록색인가요?
홍승식
17/09/15 20:06
수정 아이콘
cyan은 라임(lime)색과 파랑(blue)색을 반씩 섞은 겁니다.
청록색이라고 번역을 하기는 하는데 사실 우리가 인지하는 청록색은 cyan이 아니더라구요.
옥색이라고 보는 편이 맞습니다.
불타는로마
17/09/15 20:24
수정 아이콘
시안색이라고 하던게 이 시안색이네요
재출발자
17/09/16 18:18
수정 아이콘
토너 카트리지 교체하다보면 자주 보이는 색상이네요
유자차마시쪙
17/09/15 19:53
수정 아이콘
수정글도 봤습니다만
그래도 정시입니다 논술은 역시 본고사라는 생각을 떨칠수가...
티모대위
17/09/15 19:54
수정 아이콘
뭐 그냥 뜬금 없네요... 일반적인 고교교과과정을 거친 학생들이 영어 지문으로 이루어진 공학적인 설명을 이해할 수가 있나요? 완전 웃기네요 크크크 저게 어려운 수학은 전혀 아니라고 보지만, 개념 자체가 생소할텐데요. 차라리 복잡한 미분 적분이 풀기 쉽겠네
고등학생더러 Color space를 이해하라는 건데, 무슨 대학생도 영상처리나 디스플레이 공부하기 전까지는 접하지도 않는 주제를...
17/09/15 20:25
수정 아이콘
사실 이런 경우는 전공 개념을 이해해라! 보다는 주어진 지문을 독해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얼마나 해석할 수 있냐를 보는 거 아닐까요.
고등학생 입장에서야 간단한 비례식 정도밖에 생각할 수 없을텐데, 난 안 배웠다고 어버버거리는 것보다는 잘못된 결론이라도 나름대로 근거를 제시하는 과정을 보려는 게 아닐까요?
티모대위
17/09/15 20:36
수정 아이콘
제가 문제라고 생각하는 점은... 저런 개념적으로 생소한 주제를 가지고 문제를 낼 경우 일반적인 학습을 해온 학생들은 애를 먹을수밖에 없고, 사교육 등으로 미리 어느정도 알고 있는 학생들은 막힘없이 구술해낼 가능성이 너무 높기 때문에... 불합리하다고 여기는 겁니다.
모두가 저 개념이 생소하다면야 당연히 별 문제 없겠죠. 개념이 생소하지 않은 학생에게 주어지는 이점이 너무 큰 유형이에요
저걸 모든 학생들이 전혀 모르고 문제를 접할 것이다라고 본다면 저도 님 의견대로 별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17/09/15 20:40
수정 아이콘
고등학생은 이거 모르겠지? 하고 찝은 주제 같은데, 설마 이것까지 학원에서 다 가르치나요? 학원에서 아무리 다양한 주제를 가르친다 해도 대학교 교수들이 낼 수 있는 범위를 다 커버하는 건 어려울 것 같은데요. 제대로 된 학원이라면 광범위한 주제에 대한 얕은 지식을 가르치기보다는 차라리 학원생들에게 생소한 주제만 계속 던져주면서 멘탈과 독해력, 위기 대처 능력을 단련시킬 것 같아요.

그런 독해력과 위기 대처 능력은 현재 공교육이 키워주지 못하니 어느 정도는 재능으로 덤벼야 하는 것인데, 연대 입장에서 재능있는 학생을 뽑으려고 저런 문제 내는 것까지는 이해가 갑니다. 사교육으로 재능을 커버하는 것이 옳은지 그른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티모대위
17/09/15 20:59
수정 아이콘
전 사실 요즘 사교육이 어디까지 손대고 있는지를 잘 모릅니다. 잘 모르는 만큼, 님 말대로 사교육이 재능의 영역까지 손을 댔을까봐 불안한 마음에 달았던 댓글이라고 보는 게 맞는 것 같네요. 저는 사교육으로 없는 재능까지(입시한정 재능) 만들어내는건 문제가 많다고 생각해서요.
연대가 학생의 재능을 보고 뽑으려 한다면 그 의도에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cluefake
17/09/15 21:11
수정 아이콘
문제 전체 보니까, 느낌이, 초등학교 때 영재교육원 간 적 있었는데 그 때 주는 문제와 비슷합니다.
아 이게 무슨 소리다 빨리 파악하고 그냥 얼추 말 되게 논리적으로만 엮어내라고 하는 스타일. 완벽한 정답 기대하는게 아니고.
이러면 이해가 가네요.
서연아빠
17/09/15 19:56
수정 아이콘
사실 연대만 좀 저래요. 다른데는 그래도 나은편입니다. 고교수준에서나와요
불량사용자
17/09/15 19:58
수정 아이콘
저 cmyk 패션관련 교양에서 배웠던거 같은데.....
사스가 융복합.
Otherwise
17/09/15 20:15
수정 아이콘
서울대 카이스트 포공도 아니고 연대 가는 애들이 저정도 수준되나요? 주변 연대가는 사람보면 저정도 수준 되는 고딩 없었는데
데로롱
17/09/15 20:28
수정 아이콘
수시에서는 저런거 창의적으로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애들이 좀 있긴 하더라구요. 정답을 완벽하게 맞춘다기 보다는 비슷하게 가되, 논리의 전개성이 말끔하고 탄탄하다면 오케이인거 같더라구요..
열역학제2법칙
17/09/15 20:21
수정 아이콘
교수님들 말씀하는 걸 들어보면 이해는 갑니다.
간극이 너무 크다는게 문제지
뭐 아니면 애초에 정답을 기대하진 않을 거 같기도 하고
cluefake
17/09/15 21:12
수정 아이콘
아마 기대하지 않을 거에요.
얼마만큼 가깝거나 이해하고 말은 되게 말하는가를 볼 겁니다.
데로롱
17/09/15 20:26
수정 아이콘
최대 반사율은 그래도 유추해낼 수 있겠는데 색상률은 전혀 모르겠네요 -_-;; 디자이너분들 나와주세요
뭣이중한디
17/09/15 21:29
수정 아이콘
전직 디자이너(패션) , 컬러리스트 입니다만 모르겠습니다ㅜㅜ
불타는로마
17/09/15 20:32
수정 아이콘
음... 어짜피 만점 기대하고 내는건 아니긴한데..
망디망디
17/09/15 20:37
수정 아이콘
흠흠 석사를 뽑나?
Arya Stark
17/09/15 20:39
수정 아이콘
학부 1년생 대상으로 해서 납득할만한 결과가 나오면 인정하겠습니다.
정성남자
17/09/15 20:45
수정 아이콘
애들 가르칠 자신이 없나보네요 ^^
완성형 인재를 뽑으려나보네
요르문간드
17/09/15 21:12
수정 아이콘
그냗 대놓고 사교육 둘둘 말아온 금수저들만 학교 들어오라는거네요.
cluefake
17/09/15 21:15
수정 아이콘
지문 다 보니까 뭔 문제인지 알겠네요.
저거 완벽함을 기대 안할겁니다.
그냥 틀려도 좋으니 얼마나 그 짧은 순간에 내용을 알아먹었는가, 말이 얼마만큼 논리적으로 하는가 이런 위기 대처를 볼거같군요.
The Variable
17/09/15 21:25
수정 아이콘
불행인지 다행인지 학원에서도 다 커버 못칠겁니다. 어지간한 재수학원들도 대학교 핀트 못따라가서 삽질하는데가 너무 많더라고요.
데로롱
17/09/15 21:28
수정 아이콘
수시 면접 본 경험상 면접관 교수님들께 그분들이 만족할만큼 설명하고 막히는 부분에서 잘 모르겠다고 하시면 작은 힌트를 주시긴 합니다.. 그걸 활용하는건 또 다른문제구요 ㅜ
다크템플러
17/09/15 22:51
수정 아이콘
애초에 수시구술면접은 문제 다 풀 필요 없어요
모르겠다하면서 교수에게 힌트 얻어가면서 풀어가는걸 높이 평가합니다
황약사
17/09/16 00:47
수정 아이콘
문제를 아예 저렇게만 내서 사교육으로는 커버 못치게 하는것도 방법중 하나이긴 하지요....;;;
어차피 정답맞출건 기대도 안하고, 그냥 이넘이 자료 어디까지 해석해서 어떻게 풀이전개해나가나에 초점을 맞춰 채점을 해준다면 말입져.
평가자가 그렇게 해줄거라는 신뢰가 없어서 이모양인거지....

근데 저거 시험 저렇게 내면 완전 본고사 아닌가요?;;;;
3불정책이라더니...;;;
17/09/16 02:44
수정 아이콘
색상률은 뭐죠?...
미나가 최고다!
17/09/16 03:02
수정 아이콘
지문 자체는 읽을만한 수준인데 문제가 어렵네요. 그런데 대학입학후 실제로 주어지는 상황도 위 시험과 흡사할거라서 문제를 내는게 무리인것 같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지문이 더 쉬운 내용인게 LCD랑 OLED는 다른 구조인데 대충 퉁쳤거든요..
리틀몽크
17/09/16 17:37
수정 아이콘
음... 사실 그렇게 어려운지는 잘 모르겠어요. 지문에 내용은 다 있거든요.. 색상률은 color fraction이라고하는듯 하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29580 [텍스트] 나도 모르게 차여본 썰 [59] 마스터충달16654 18/06/25 16654
328831 [유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최근 선거 근황 [26] 유리한10436 18/06/12 10436
319264 [기타] 어려운 대학가.. 근황 .txt [44] 아라가키14654 18/01/05 14654
316879 [유머] (알쓸건모) 알아두면 쓸데없는 건배사 모음 [36] 한박27488 17/11/24 27488
315797 [기타] 기계 덕후 이건희 [57] Remastered18015 17/11/08 18015
312848 [기타] 요즘 대입 수준(수정) [27] 카미트리아9588 17/09/18 9588
312709 [유머] (수정) 연세대 융합과학공학계열 수시문제.JPG [62] 아라가키11665 17/09/15 11665
308470 [기타] 그냥 흔한 대학원 이야기 [37] 청춘열차15195 17/07/04 15195
307379 [기타] 다윗의 막장_카이스트 애가 [18] 카미트리아6322 17/06/15 6322
306492 [유머] 전주공고 교호 [21] VKRKO11868 17/05/29 11868
303888 [유머] 한국의 "브레이킹 배드"가 나타났다 [19] 어리버리10202 17/04/03 10202
293409 [유머] 스카이 대학에 쉽게 가는 법 [84] Anthony Martial11628 16/10/08 11628
291750 [유머] 연세대 공포의 홍어남 [29] 방구석에 인어아가씨14699 16/09/15 14699
290960 [기타] 연세대 학식 [73] 쎌라비12763 16/09/09 12763
290214 [유머] 흔한 연세대학교 입사지원서 [10] naloxone9251 16/09/02 9251
281887 [유머] 연세대 도서관 근황 [33] 피로링11009 16/07/01 11009
280412 [텍스트] 대학교의 흔한 시험문제들.txt [34] Anthony Martial12016 16/06/19 12016
279727 [유머] 연세대 과잠 레전드 [18] 마스터충달11535 16/06/14 11535
277285 [LOL] 고대인의 의지 삭제 스노우볼링 [20] Jace Beleren6766 16/05/25 6766
276939 [연예인] [트와이스] 남녀 불문 비주얼 쇼크. [14] 홍승식6756 16/05/23 6756
276782 [연예인] 2016 연세대 트와이스 풀영상.avi [4] 긍정_감사_겸손3700 16/05/22 3700
274935 [유머] 연고전이 아니라 고연전인 이유 [16] Leeka8384 16/05/09 8384
274912 [연예인] May I Love You 라인업(장소 연세대) [12] 좋아요5413 16/05/09 54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