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7/02/08 17:46:05
Name 아라가키
File #2 20170208170917_Yu42GrF6_1481114204857.png (520.4 KB), Download : 20
출처 dc
Subject [유머] 요즘 정돌이가 늘어난 이유 .jpg


"야 뭘 귀찮게 토렌트 검색하고 그러냐 걍 지르면 되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2/08 17:48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17/02/08 17:49
수정 아이콘
90년대 게임하던 급식들이 00년대에는 자기 수입이 생겨서 그런것도 한몫한다고 생각합니다.
유스티스
17/02/08 17:53
수정 아이콘
그럴수도... 주로 iso로 복돌쓰던 세대가 쓰고 공감하는듯합니다... 요즘엔 애들 무설치버전이니 뭐니 한번에 다운받고 쓰던데. 그래서 설날에 마크결제를 뜯겼지만...
17/02/08 17:58
수정 아이콘
이게 진짜고, 본문은 엄밀히 따지면 농담이죠.
17/02/08 19:25
수정 아이콘
본문도 어느정도 영향이 있을겁니다.
복돌 쓰는게 편하면 굳이 번거롭게 사서 쓸 사람이 많지는 않겠죠.
헤나투
17/02/08 18:04
수정 아이콘
이게 전부라봐도 되죠 크크
지나가다...
17/02/08 18:06
수정 아이콘
예전에 복돌로 했던 게임 미안해서 지금 사기도 하고...
17/02/08 18:13
수정 아이콘
저희 삼촌은 도시락을 싸갔다고...
17/02/08 18:46
수정 아이콘
저도 고백하자면, ps1, ps2 시절 복돌을 했었지요. 흑역사입니다만, 이제 얼추 경제력이 되니 술 한잔 안하고 게임하나 지르자. 이런 마인드가 되더군요.
비둘기야 먹자
17/02/08 18:58
수정 아이콘
드림케스트 사고 나서 게임에 돈을 쓴적이 없다능... 고마워요 칼리스토 에셀론!
베가스
17/02/08 19:09
수정 아이콘
전 거기다 메가시디도 샀더랬죠. 하하
3번은 안속을 자신 있었는데...
그림자명사수
17/02/08 17:50
수정 아이콘
열심히 정품 쓰는데 이번에 밤의요새 열린 이후로 티어 토큰 비싸게 주고 까보는 족족 순정만 나와서 정풀 그만쓰고 복돌이로 갈아타야 되나 고민중입니다...
평생 복돌이로 살고 있는 친구는 티탄벼림 마구마구 뜨던데....ㅡㅠ
밀크공장공장장
17/02/09 11:43
수정 아이콘
4캐릭돌리면서 티어 20개 가까이 먹었는데(일반,영웅합해서) 결국은 벼름에 보홈은 인장이 주더라구여!
인장으로 드세요
그림자명사수
17/02/09 14:20
수정 아이콘
인장 지난주부터 8연속 유물력...
밀크공장공장장
17/02/09 14:32
수정 아이콘
노오오오오력~하셔야죠... 저도 인장 거짓말 안하고 20개 넘게 굴려서 하나 건짐...
그림자명사수
17/02/09 14:34
수정 아이콘
드군때 제 기록이 14연속 꽝이었으니 지금은 노오력을 안한건 아닙니...
아유아유
17/02/08 17:51
수정 아이콘
저같은 경우는..콘솔 유저인데 예전과 다르게 웹하드 등에서 게임 구하기가 어렵더군요.(PS3, 4, VITA 등)
무엇보다도..예전과 다르게 호주머니에 돈도 있고 일본도 자주 가는 편이니 그냥 한번 일본갔을때 30만원 이상 한번에 산다든가 하는 식으로
구매를 하게 되더라는...하하;;
마스터충달
17/02/08 17:52
수정 아이콘
일겅... 편해진건 레알 사실
트와이스
17/02/08 17:53
수정 아이콘
그쵸. 시디사러 나가기 귀찮아서 복돌했는데
요즘엔 따블클릭이면 크크
결제도 지문인식으로 따악~
17/02/08 17:53
수정 아이콘
일단 구입부터가 편해졌습니다.
그리고 90년대 게임하던사람들(저같은..)이 아재가 되어서 구매력이 생긴것도 있겠고요
꾼챱챱
17/02/08 17:56
수정 아이콘
물가상승률도 영향이 있지 않을까요...
20년 전에 게임값이 3만원이라고하면 '대체 이게 뭐라고'소리가 나왔는데, 요즘에 게임값이 3만원이라고 하면 '밥 몇 끼 굶으면 되겠군' 싶으니까...
아마존장인
17/02/09 00:07
수정 아이콘
그런것도 있는 것같아요
브루드워 출시초기에 사달라고하기 너무 죄송하더라구요ㅠㅜ
Jace T MndSclptr
17/02/08 17:56
수정 아이콘
결제가 편해진건 맞지만 단순히 복돌이 불편해졌다는건 거짓말이죠. 복돌도 실행 자체는 훨씬 더 편해졌는데요.

오히려 예전에는 ISO 임포트해서 설치하고 크랙깔고 그랬어야 되는데
요새는 무설치판 받으면 그냥 바로 실행입니다. 요새 누가 다운로드 받고 크랙 씌우고 패치 받고 이런걸 스스로 해요 그냥 알아서 업자들이 저거 다 해서 오토 레지스트리 스크립트 하나 짜서 툭 하고 풀버전으로 던져주는데...

이 건은 본문보다 PGR 댓글이 더 공감가요 일단 경제력이 생긴게 첫째고 둘째는 그냥 구입이 편해진거죠. 복돌이 불편해진게 문제가 아니라... 아예 콘솔처럼 구하기조차 어려운 케이스를 제외하면 PC의 경우는 여전히 복돌도 편합니다. 여전히 돈 없는 학생들은 복돌 많이 하구요.
17/02/08 18:03
수정 아이콘
무설치 버젼이 실행이 바로되는것들도 존재하지만 크랙덮고 이런게 많습니다 특히 최신게임일수록...
17/02/08 18:22
수정 아이콘
복돌에 대한 리스크가 큰것도 한몫 합니다.
오토로 알아서 무설치가 돌아간다는데 그것 자체가 어찌보면 내 컴퓨터에 뭘 심어놓는지조차 알수 없고 그로 인해 피해도 충분히 발생 가능하죠.

아예 대놓고 랜섬웨어가 신박하게 치고 들어오는 시대인데요.
멸천도
17/02/08 18:40
수정 아이콘
업데이트 패치 하나만 생겨도 일단 크랙 풀고 패치 받아서 깔고 해당 패치에 맞는 새 크랙 깔고 해야 되잖아요.
업데이트를 더이상 안해줄 정도로 오래된 게임은 가능하겠지만요.
Jace T MndSclptr
17/02/08 18:49
수정 아이콘
한꺼번에 피드백 하면

크랙 덮고 이런게 많다 = 무설치 버전에 크랙이 포함되기 어려운 게임이 오히려 극소수
복돌에 대한 바이러스 리스크 = 검증되지 않은 출처의 컴퓨터 게임에 바이러스를 심는것은 90년대 후반 PC통신부터 유행하던 수법
업데이트 하나만 해도 새로 크랙 깔아야 됨 = 옛날에도 마찬가지. 워크래프트 3 복돌만 해도 복돌은 PC방 씨디키 훔친거 아니면 수동패치 해야 됨. 게다가 복돌로 패치하기 귀찮은 게임은 정돌로도 보통 엄청나게 귀찮은 메커니즘을 요구하는 게임이 많음.

애초에 온라인 환경을 요구하는 게임이 아니면 업데이트가 막 귀찮을만큼 잦은 게임이 많지도 않을뿐더러
당시에도 크랙을 필요로 하거나 잦은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복돌겜들은 존재했죠.
오히려 ISO 마운트니 데몬툴이니 시디스페이스 분할 압축이니 하던 시절보다 저는 복돌은 아무리 생각해도 더 편해졌다고 봅니다
다만 상대적으로 그 시간동안 정돌은 훠어어어얼씬 더 편해졌으니 결국 메리트가 줄어든거죠.

라이즈 오브 더 툼레이더 정도면 최신게임인데 그냥 아무 노력 없이 구글에 '라이즈 오브 더 툼레이더 무설치' 라고만 쳐도 바로 제일 위에 토렌트 사이트에 무설치판 링크가 뜨네요.. 저도 부끄럽지만 어릴땐 불법 다운로드 정말 많이 했는데 저렇게까지 편했던 기억은 한번도 없거든요. 막 와레즈에서 빽빽하게 써 있는 숫자 하나 하나 눌러서 분할 압축 파일 다운받아서 풀고 그랬던거 같은데...
Paul Pogba
17/02/08 18:55
수정 아이콘
근데 저 같은 입장에서는

무설치판 받으면 <- 이 7글자도 찾기 힘들고 귀찮고 정보력이 없어요;;

물론 경제력 생긴게 더 크다는거에 공감하지만요
Jace T MndSclptr
17/02/08 18:57
수정 아이콘
제가 하고싶은 말은 기존에는 그것보다도 더 불편한 프로세스를 필요로 했는데도 다들 잘만 복돌짓 했다는거죠. 지금 본문은 [옛날엔 복돌짓하면 그냥 받아서 마운트만 하면 됐는데 지금은 불편하다] 라는 얘기인데 지금은 마운트도 필요 없이 그냥 받아서 실행만 하면 그만이거든요. 패치 크랙 이런거야 옛날에도 다 똑같았습니다. 스타크래프트만 해도 크랙 로더 써야 실행되던 시절이 있었는데요. 보안 위협이야 어베스트 같은 제대로 된 무료 백신도 없던 과거에도 마찬가지의 리스크였구요.
Paul Pogba
17/02/08 19:02
수정 아이콘
근데 저는 잘몰라서 다는 댓글인데
가령 게임을 불법복제 하는게 더 힘들어진건 사실아닌가요? 옛날게임보다 요즘게임이 좀더 복잡하달까나...뭐 그런 느낌이요

옛날에는 걍 겜씨디 나오면 동네 컴퓨터가게에서도 다 구워줬는데 요즘엔 막 팀이 있어서 걔네가 못풀면 못하고 그런거 아닌가요?(최근에 뭔겜 무슨팀이 포기했다 뭐 그런 뉴스본거 같기도)
Jace T MndSclptr
17/02/08 19:0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복제방지 보안 자체는 예전보다 훨씬 더 치밀해졌습니다 몇년전부터 화제가 된 DRM 데누보는 정말 한때 난공불락처럼 보였구요. 다만 크래커들도 그 보안이 발전하는것만큼 기량이 발전하고, 또 예전과 달리 워낙 온라인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게 편한 시대다보니까 실제로 그게 복돌 자체를 완전히 억제하는 효과는 안 나는거 같더라구요. 아쉽게도...

그 진짜 안 뚫릴줄 알았던, 릴 그룹들도 다 포기했다던 데누보 DRM을 적용한 게임도 요새는 게임에 따라서는 크랙이 하루만에 나오고 이틀만에 나오고 예전처럼 게임 발매도 전에 크랙부터 풀리고 막 그래요. ;^;
17/02/09 01:13
수정 아이콘
복돌은 여전히 불편하죠.
실행자체가 편한 그 무설치판은 어디서 구해야하는지 부터 찾아야 되고,
그렇게 받은 무설치판이 제대로 된다는 보장은 있나요?
그런거 낚시도 많아진 세상인데...

여기서 요지는 과거복돌 vs 현재복돌이 아니라...
정돌 vs 복돌의 차이인거죠.

복돌자체는 편해졌다고 해도.
정보를 찾아내서 구하고 -> (크랙을 구하고) -> 잘되는건지 확인해야하고 -> 패치라도 생기면 다시 받거나 안되거나...
이런건 변함이 없죠.
-안군-
17/02/08 17:57
수정 아이콘
기회비용의 문제죠...

학생
게임 하나 크랙하려고 몇시간씩 투자하기 <<<< 몇만원 쓰기
mp3하나 구하려고 온갖 사이트 다 뒤지기 <<<< 몇백원 결재

직장인
게임 크랙하려고 시간 투자 ≥ 몇만원 쓰기
mp3 구하려고 인터넷 검색 ≥ 몇백원 결재
17/02/08 18:01
수정 아이콘
화살표가 뭔가 이상해보이는건 기분탓인가요?
-안군-
17/02/08 18:02
수정 아이콘
비용의 크고 작음을 부등호로 표시하려고 한건데;;;
가독성이 떨어졌나봅니다. ㅠㅠ
(프로그래밍식 부등호 기호를 써서 그랬나봅니다. 수정했어요 ^^;;)
아만자
17/02/08 18:04
수정 아이콘
기분탓입니다. 기회비용의 크기를 화살표로 표시하셨어요 ^^;
정지연
17/02/08 18:00
수정 아이콘
복돌도 요즘이 예전보다 훨씬 편하더라고요.. 토렌트 덕에 구하기도 쉽고 설치도 쉽고요.. 그치만 스팀같은 디지털 다운로드로 구매하는것보다 훨씬 불편한것도 사실이고요..
그리고 우리나라 한정으로 부분유료화 온라인 게임이 넘쳐나니 복돌의 주소비층인 돈이 없는 학생은 그것만 해도 충분할거니 복돌 게임에 대한 수요도 많이 적어졌을거고요
필라델피아진
17/02/08 18:05
수정 아이콘
스팀할인 때문이죠
마스터충달
17/02/08 18:13
수정 아이콘
이것도 레알 크크크
17/02/08 19:05
수정 아이콘
이게 정답인거 같습니다.

예전보다 돈은 더 많은데 가격은 더 싸서...
킹보검
17/02/08 18:06
수정 아이콘
비단 게임뿐만 아니라 영화, 음악, 만화, 소설 등등 다양한 문화컨텐츠가 이렇게 변화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합법컨텐츠를 이용하는게 맞는데, 그 합법컨텐츠보다 불법컨텐츠가 편하다보니 그쪽으로 수요가 몰리는 부분이 분명 있었거든요.

이제 영화는 IPTV 수익이 무시할 수 없는 분야가 되었고, 음악은 음원사이트를 이용하는게 당연하고, 만화는 웹툰에서 유료결제, 소설도 e북이나 소설사이트에서 유료로 구입하기 편리해졌죠. 물론 그중에 최고는 스팀으로 대표되는 게임쪽이 아닐까 싶고요. 비디오게임도 PSN이 다 씹어먹고 있고.
그아탱
17/02/08 18:07
수정 아이콘
게임이라는 것 자체의 인식 변화도 살짝?
뭐 우리들이 다 나이 먹었으니까요.

저 어렸을 땐 오락실 갔다가 걸리면 디지게 맞고 그랬었네요.
제 생각에 이제 부모와 자녀가 공감하면서 같이할 수 있는 게임 시장이 커질 것 같아요.

가족끼리 사냥 다니면 경험치나 템이 더 잘 떨어진다든지 뭔가
아무튼 게임 산업에 가족화 열풍이 한 번 불긴 할 것 같은데.. 이게 성공할지는 잘 모르겠지만
비둘기야 먹자
17/02/08 18:27
수정 아이콘
엄마랑 같이 겜하면 내 캐릭 슴가 사이즈를 내 기호대로 조절할수가 없어져버렸!!
그아탱
17/02/08 18:34
수정 아이콘
그건 정말 안타까운 일이긴하네요..

전 그런데 이런 식의 가족화가 되면 아이들 정서에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해요.
게임 자체도 보다 비폭력적이고 우리나라 게임 특유의 그 의미없이 야한것들 도 좀 없어지고

막 폐드립 쌍욕하고 그런 애들 캡쳐 떠서 그 캐릭 어머니 아버지께 편지 보내고..
비둘기야님 어머님이시죠? 안녕하세요. 저는 그아탱 애비인데요.
글쌔 비둘기야가.. @#$%^

아무튼 요즘들어 분명 언젠가 누가 이거 사업 대박 터트릴 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부자셋 모녀셋 형제셋 4인가족셋 뭐 이런 세트 아이템도 있고

피로도 개념도 있게 해서 아버지랑 사냥 다니면 피로도 4배 쓰면서 경치 4배고 이래서
학교 끝나고 일 끝나고 저녁 같이 먹고 4시간 게임할 거 아버지랑 1시간 동안 피로도 다 써버리고
아버지랑 같이 게임하니 같이 얘기할 건덕지 더 많아 지고 사이 가까워지고 뭐 이런 거 생각하고 있네요.

좀 너무 허무맹랑한가? 크크크
비둘기야 먹자
17/02/08 18:39
수정 아이콘
여가부: ???????
멸천도
17/02/08 18:42
수정 아이콘
아버지 아이디를 받아다가 친구랑 맞쩔해주지않을까요?
그아탱
17/02/08 18:47
수정 아이콘
사실 그거는 뭐 형제들도 가능하긴 한데
이 작은 핸드폰에 지문인식과 홍체인식을 하는 시대가 되었지 않습니까 그래서
조금 지나면 분명 본인 인증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 같고
분명 이부분을 해결해 낼 수 있으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
물론 저같은 범인의 머리로는 뭐 도저히 방법은 모르겠네요.
제가 디자인은 다 했으니까 이제 개발자들이....
그런데 또 뭐 잡스같은 사람이 나오긴 하겠죠.
아유아유
17/02/08 18:39
수정 아이콘
자식이랑 게임하면 내 취향의 여캐를 만들 수가 없어!!
물리만세
17/02/08 22:33
수정 아이콘
자식보단 와이프랑 게임 할 때 눈치보이는것 아닌가요?
아유아유
17/02/08 23:28
수정 아이콘
와이프는 이미 저를 포기한것도 있고 별로 안쪽팔린데...자식한텐 좀 쪽팔릴거같은...카와이~한 로리캐릭 아빠가 플레이하면...하하;;
(아직 아이는 없지만요)
어강됴리
17/02/08 18:07
수정 아이콘
본문과는 상관없는 이야긴데 황금투구의 조홍과, 힘쎄고 강한아침의 왈도
사기특성인 독수리의눈까지는 알겠는데 나머지 둘은 뭐죠..
헤나투
17/02/08 18:10
수정 아이콘
별생각없이 봤는데 유서깊은 짤이었군요. 전설들이 깨알같이 모여있는거군요 크크
미카미유아
17/02/08 18:10
수정 아이콘
영전4의 알쳄이요
Jace T MndSclptr
17/02/08 18:13
수정 아이콘
파티원 한칸을 차지하는 알쳄과 만능 그 자체 적마도사죠
alphamale
17/02/08 18:11
수정 아이콘
인식전환이 이정도라도 된게 양반이죠. 옛날에는 복돌이들이 정돌쓰는사람한테 '에휴 쯧쯧 쓸데없이 게임에 돈쓰네'하는 소리도 들었습니다. 특히 닌텐도나 psp같은곳에서는 아예 대놓고 커펌이 넘실거렸죠.
아라가키
17/02/08 18:17
수정 아이콘
"우린 애국자라서 외국게임만 공유합니다" 라고 공지하던 와레즈도 있었죠 크크크
17/02/08 18:46
수정 아이콘
아직도 있습니다.
........
17/02/08 19:49
수정 아이콘
정품 겜 살 돈 있으면 복돌짓 해서 어머니 맛있는거 사드리라고 일갈하던 사람도 있었죠 크크
화이트데이
17/02/08 18:17
수정 아이콘
그냥 스팀이 편해요.

토렌트가 알아서 원하는 게임 찾아주는 것도 아니고, 내가 열심히 찾아서, 받고, 구버전이면 패치 해주고, 옛날 게임이면 시드 없어서 다운도 안되거나 오래걸리고... 이것마저 귀찮죠. 그리고 다운 잘못받다가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라도 먹는 날에는, 특히 랜섬웨어라도 들어오는 날에는 대재앙이고.

구매력과 편해짐, 그리고 바이러스에 대한 경계 등의 복합효과죠.
Rorschach
17/02/08 18:18
수정 아이콘
콘솔의 경우 시장 자체도 커졌는데다 패미컴 시대를 즐기기 시작했던 아이들의 지갑상태가 좋아진게 크죠 크크
그러다보니 콘솔이 팔리고 타이틀이 팔리고 타이틀이 팔리니 한글화가 활발해지고 한글화가 활발해지니 콘솔이 더 팔리고 타이틀이 더 팔리고 한글화가 더 되고... 선순환이 지속

그리고 PC의 경우 역시 게이머들의 지갑상태가 중요하지만 연쇄할인마의 역할도 진짜 크긴 하다고 봅니다.
좀 지났지만 재밌는/유명한 게임들이 엄청 싸게 막 풀리니까 원래 안 사던 사람들 중 일부도 "어 이 가격이면 사 볼까?" 하고 시작했다가 연쇄할인마의 늪에서 헤어나오질 못하고...
17/02/08 18:27
수정 아이콘
저도 스팀을 한 번 시작했다 그만... 라이브러리의 항목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정작 문명5만 주구장창 하고 있는데...
17/02/08 18:22
수정 아이콘
크랙 막받다가 트로이목마로 하던 온라인게임 계정 다털리고 나서부턴 정품만씁니다....
안채연
17/02/08 18:24
수정 아이콘
걍 쉽고 편하게 돈주고 사는게 짱이라는것을 깨달아버림..
감사합니다
17/02/08 18:24
수정 아이콘
크랙에 바이러스 감염 시켜서 퍼트리는거 재밋다고 하더군요

요즘은 랜섬웨어 감염시키면 될듯 크크
TheNeverEnders
17/02/08 18:30
수정 아이콘
90년대 돈 없는 학생들이 복돌로 게임을 접하고 직장인으로 전직한 게 크지 않을까요
복돌의 0.000001%의 순기능이라고 해야 할 지...
시작버튼
17/02/08 18:31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정품 사려면 게임 사러 직접 가야했는데
지금은 그냥 컴퓨터에서 살 수 있는게 가장 큰거 같습니다.
17/02/08 18:34
수정 아이콘
근데 요새는 혹해서 눌러보면 죄다 얼리억세스라 사기 싫어지더라구요. 먹튀급 게임도 많고...
비둘기야 먹자
17/02/08 18:40
수정 아이콘
전 학창시절을 미국에서 보내서 그런가. 항상 베스트바이 이런데 가서 번지르르하게 패키징된 게임들 보면서 햐 이거 사고 싶다 하면서 군침흘린 기억이 나는데 많은 분들이 그 과정을 귀찮게 생각하셨군요~
17/02/08 18:41
수정 아이콘
역시 취미는 돈쓰는맛이 9할
사자포월
17/02/08 18:49
수정 아이콘
그냥 할인이...
거짓말 안 보태고 옛날 복돌시디 값
17/02/08 18:52
수정 아이콘
복돌이 무설치받으면 딱히 불편할건 없긴한데, 리스크가 좀 있죠. 바이러스부터 시작해서 게임이 불안정해서 튕기는 경우도 있고, 추후 패치등도 못 받고.
옛날에 복돌들이 성행한데에 금전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편의성의 문제도 컸다는건 공감합니다.
클릭 딱딱 해서 결제되니까 정돌이들이 엄청 늘죠. 도서든 게임이든..
Paul Pogba
17/02/08 18:59
수정 아이콘
저는 귀찮은게 젤 큽니다
무설치판 받으면된다고 하시는데
일하는게 빡쎄서 겜할시간도 한정적이라
최대한 한정적인 시간에 효율적으로 해야하는데

무슨 패치니 뭐니 기껏 깔았는데 뭐 안되고
그래서 또 뒤져서 패치깔았는데 이번엔 한글패치를
다시받아야하고...안나오고...찾았더니
네이버카페 등업하라하고...하...
하루 다감...
17/02/08 19:02
수정 아이콘
당시에도 정품을 사는 사람은 어떻게든 샀지요.
사놓고 보니 자꾸 시디 넣고 하는게 귀찮아져서 iso로 돌리는 일도 생기지만, 패키지 게임은 소장용으로서의 가치도 충분했으니까요.
저도 지방 살던 시절, 서울 갈 일이 생기면 꼭 용산전자상가에 들러서 희귀한 게임 싸게 나온거 찾으려고 발품을 팔곤 했었네요.
아무것도 건지지 못한 적도 많았지만, 보물찾기 하듯 상가를 누비는 그 자체가 즐거움이었습니다.^^

아, 물론 그 당시에 스팀이 나왔다면...... 으흠! ^^;;;
적토마
17/02/08 19:10
수정 아이콘
예전에 비해 사면 산값 이상을 할떄가많아요
예전에도 돈값하는건 다 샀죠... 조선의반격이라거나 환상서유기라거나 이런건 어케든 꾸역꾸역 돈 모아서 샀죠...
닭장군
17/02/08 19:12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돈이 없었고, 부모가 사주지도 않았으니깐요. 지금도 돈없고 부모눈치봐야하는 학생들은 복돌밖에 답이 없죠.
Cazorla 19
17/02/08 19:14
수정 아이콘
저는 편해서 지르는게 더 크네요.
17/02/08 19:18
수정 아이콘
스팀덕인듯...
17/02/08 19:24
수정 아이콘
정량비교가 어려워서 확-하고 오질 않을 뿐, 그냥 의식이랄까 수준이 나아진 거라고 생각합니다. 동시에 다들 짜증스러워하던 정품/불법복제에 관한 잔소리들이 오랜 시간 속에서 성과를 발휘한 거라고 생각하고요.
우리 자신에게도 칭찬할만한 일은 칭찬해도 좋다고 생각해요.
17/02/08 19:27
수정 아이콘
그냥 요즘 게임은 얼리억세스가 많아서 패치가 잦아서 정품이 아니면 짜증이 많이 납니다
크킹, 림월드, 팩토리오같은 게임들을 예로 들면 굵직한 패치가 나올때마다 버전 찾아서 토렌트 뒤적여야 되는게 꽤 번거로운데 반해서
정품은 그런 수고가 훨씬 적어서 그냥 정품사는게 편하지요
남광주보라
17/02/08 19:36
수정 아이콘
경제력을 갖춘게 큽니다. 다른 일로, 제 친구들은 20대에는 휴대폰은 항상 싸게 사려고 뽐뿌를 통해서 사고 컴퓨터도 조립식을 고집했어요. 근데 30대에 돈이 풍요로워지자 그냥 전부 호구가로 매장에서 바로 삽니다. 귀찮고 번거롭고. . 돈 더 쓰고 편하게 소비하고싶다고. 경제적 여유로움에 따른 소비 인식의 변화입니다. 정품 구매는 한글화 발매로 이어지고, 게임사도 신나서 더 재미있게 각잡고 게임 개발을 하고 소비자들은 더욱 더 양질의 게임을 접하고 . 모두가 좋은 세상이죠. 복돌이들은 아무런 도움도 안되는 부류입니다.
수지느
17/02/08 19:42
수정 아이콘
실제로 예전에 정품사놓고 복사품으로 돌려봣던 저로선 깊이 공감을 크크크

요즘은 패치나 업적같은것때문에 정품이 훠어어얼씬 좋더라구여
케이틀린
17/02/08 19:44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그냥 스팀빨입니다.
지금이야 조금이라도 오래된 게임은 스팀에서 5000~10000원선에 구입할 수 있으니
부담없이 구입하면서 나 정품이용자다! 할 수 있지만

만약 지금까지도 스팀이 없었고 게임들 할인 해봤자 정가에서 10% 정도만 했다면
아직도 정품 이용자들 극소수였을 겁니다.
스카야
17/02/08 19:54
수정 아이콘
뭐 그것도 그렇게 지금 여기에 복돌은 댓글을 달지않죠.. 폭격맞을텐데요
사과씨
17/02/08 19:55
수정 아이콘
얼마든지 지를테니 제발 한글화 좀 많이 많이 해줬으면..
용과같이 6 한글화 취소는 아직도 열받는군요.
아리아
17/02/08 20:03
수정 아이콘
글쎄요
요새 학생들은 온라인게임이 대세라 저런 겜은 별 관심없을텐데요
아틸라
17/02/08 20:11
수정 아이콘
스팀할인 + 편의성 증가 + 주소비층 경제력 확보인 것 같네요.
라라 안티포바
17/02/08 20:23
수정 아이콘
편함+싸짐+게임세대의경제력 증가
예전에 저 슈퍼마리오RPG 백화점에서 10만원 좀 안되게 샀는데...스카이림, 문명5같은 걸작들이 만원 좀 넘는 가격에 팔고있죠.
물론 나온지 몇년된건 함정이지만...
StillAlive
17/02/08 20:32
수정 아이콘
스팀 역할이 정말 큰 것 같아요.
할인도 팍팍 해주고
무엇보다 라이브러리 채우는 맛이 아주..!
도전과제(업적) 시스템이랑 커뮤니티 기능도 있어서 다른 사람한테 나름 자랑(?)도 가능하구요.
그리고 고사양을 요구하는 최신 게임 쌩쌩하게 돌리려면 일단 pc부터가 좋은 스펙으로 맞춰야하는데
비싼 고사양 pc 쓰면서 돈 몇푼 아끼자고 복돌 쓰는 경우는 잘 없죠.
모짜렐라치즈
17/02/08 20:39
수정 아이콘
귀찮아서 윈도우랑 오피스는 이제 구매하죠
예쁜여친있는남자
17/02/08 20:53
수정 아이콘
애초에 정돌 복돌이 구분되는 게임들을 학생들이 잘 안하죠.AAA 게임들의 퀄리티가 더 좋아져서 예전처럼 허공에 돈 날리는경험이 자주 있지않고..
앓아누워
17/02/08 21:12
수정 아이콘
옛날엔 어린나이에 시디 구하기도 쉽지않고 용돈 소비하는 출처를 부모님이 알면 등짝이 너덜너덜해지는 데다가 지금처럼 인터넷도 활발하지 않아서 갓겜인지 망겜인지 확인도 못한 상태로 용돈을 털 만큼 용감하지 못했죠..
불량사용자
17/02/08 21:17
수정 아이콘
전 개인적으론 패키지 가격이 상대적으로 싸진것도 있다고 봅니다.
창세기전3 파트1 4.0인가에 살때 진짜 살 떨렸는데...
아리골드
17/02/08 21:28
수정 아이콘
스팀은 21세기 신사업의 핵심사례라고 봐도 무방할듯 싶습니다.

참 아프리카도 만든 우리나라에서 왜 스팀같은건 못만들었을까요
17/02/08 21:35
수정 아이콘
싸서 그래요. 그이외 이유는 대부분 곁다리일 뿐임
샤르미에티미
17/02/08 22:20
수정 아이콘
가격 때문에 제일 크죠. 다른 편의 사항도 작은 영향 아닙니다만 가격 영향이 정말로 크다고 생각합니다. 패미컴, 슈퍼 패미컴, 메가 드라이브 이런 게임기들이 주력이었을 때를 생각해보면 말도 안 되게 비쌌어도 다 돈 내고 정품 사서 했습니다. 물론 해적판도 많았는데 슈퍼 패미컴 팩 값이 기본으로 10만원은 넘었는데도 잘 팔렸죠. 지금으로 따지면 팩 하나에 20만원도 넘는 가격인데 이런 걸 사던 시대도 있었습니다. 물론 있는 집이나 팩 여러 개를 보유할 수 있었죠.

그리고 정품 게임 소프트 가격은 예전과 크게 안 달라졌습니다. 가끔 비싼 게임들이 있고 DLC 포함하면 비싼 경우도 있지만 어쨌거나 90년대 후반이나 2000년대 초반하고 지금하고 게임 가격은 별 차이 안 납니다. 게다가 세일까지 하니 살 만 하죠.
17/02/08 22:20
수정 아이콘
psp 정돌로 하면 로딩 느리던게 생각나네요
김소현
17/02/08 22:44
수정 아이콘
매번 패치다 뭐다할때마다 크랙 기다리고 윈7->윈10 갔다고 안되고
짜증나서 그냥 이제 속편히 정품 삽니다..
뒹굴뒹굴
17/02/08 22:59
수정 아이콘
물론 더 싸진것 또는 더 싸게 느껴지는 경제력도 이유기는 하겠습니다만
정품이 편한것도 분명한 이유기는 합니다.

사실 구글에 게임 이름 치고 이거 맞나 한번 고민하고 클릭하고 토렌트 돌려서 압축풀고.. 그런게 다 귀찮아요..;;;
패치나오면 새로 받아야 하고.. 요즘 패치도 자주 되는데..
돈 있는데 굳이 그렇게 귀찮은 짓 하기 싫더라고요.

정품사면 한 두어번 클릭하면 설치에 바탕화면 아이콘까지 다 뽑아주고 패치나오면 자동으로 패치도 다해주고..
편안하게 살고 싶더라고요..
언덕길
17/02/08 23:10
수정 아이콘
17년전에 스타1+브루드워 배틀체스트를 7만원 주고 샀는데 지금 스타2 자날군심공허 합본이 6만원도 안하죠.
물가상승률에 비해 게임값은 오르지 않아 사실 실질적으로 보자면 게임값은 진짜 많이 내린 겁니다.

물론 핸드폰 유사도박 빠칭코 이용권은 예외입니다만..
래쉬가드
17/02/09 00:02
수정 아이콘
일본 미연시도 좀 스팀에 들어왔으면
사나없이사나마나
17/02/09 00:50
수정 아이콘
편리성+가격이라고 봅니다. 정품 윈도우나 오피스 사용자가 과연 몇 명이나 될까 생각해보면...
17/02/09 08:55
수정 아이콘
편리성보다는 접근성이라고 보는 게 적당할지도 모르겠네요. 이건 플랫폼과 가격 모두 포함한 것이 되겠구요. 가격 자체는 오히려 올랐지만 할인이 잦고 플랫폼도 아주 편리해졌습니다. 복돌짓이 편해졌다지만 스팀이나 기타 통합 플랫폼과 비교하긴 어렵죠. 일단 라이브러리 관리에서 넘사벽입니다.

이를테면 2000년대 중후반만 해도, 해괴한 인증방식 + 설치제한 같은 뭣같은 비지니스 때문에 정품 사놓고는 복돌 받아서 하는 양반들도 꽤 됐죠. 이젠 그런 일은 없으니까요.
17/02/09 14:40
수정 아이콘
옛날에 콘솔게임기갖고 있거나, 컴텨 정품겜갖고 있으면 부자축에 속하는거였죠 크크. 겁나 비쌌습니다.
지금은 치킨한마리 참으면 되니 얼마나 싸졌습니까. 그때 치킨 한마리 만원할때 게임 5~6만원했으니 20%됐네요.
BraveGuy
17/02/09 17:40
수정 아이콘
종종 있는 할인과 지속적인 패치와 업적 시스템, 맘대로 겜을 못산 세대들의 성장으로 인한 경제권 독립 등이라고 봅니다.
17/02/10 17:29
수정 아이콘
+ 해커들의 순기능..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45732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71777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75925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88188
514745 [유머] 주식 고점지표 [1] 일신347 25/04/26 347
514744 [유머] 요즘 미국에서 유행하는 트럼프 패러디 사진 [6] 독서상품권2122 25/04/26 2122
514743 [방송] 성경속 노아의 방주 발굴 착수 [17] 김삼관3533 25/04/26 3533
514742 [유머] 스테이크를 수학적으로 잘 굽는 방법 [6] VictoryFood3636 25/04/26 3636
514741 [유머] 스테이크 잘 굽는 비법 공개 [13] 나미르3767 25/04/26 3767
514740 [유머] 조선시대 한양스타일을 재현한 국내 최대 한옥마을 [20] 나미르4519 25/04/25 4519
514739 [유머] 처음 드시는 맛을 해달라고 하셔서 만든 요리 [19] 나미르4430 25/04/25 4430
514738 [연예인] 일본판 딩고뮤직(규모 더 큼)에 나온 QWER [17] 김삼관3890 25/04/25 3890
514737 [기타] 최소한 기능 중 절반은 활용이 가능한 상품 [13] a-ha5091 25/04/25 5091
514736 [방송] 치지직 무한도전 같이보기 근황.JPG [11] 실제상황입니다5590 25/04/25 5590
514735 [유머] 온라인 사기 감지능력을 테스트해 보세요 [13] 유머3837 25/04/25 3837
514734 [유머] '유예를 유예한다' 선언 [9] 된장까스5212 25/04/25 5212
514733 [유머] 시작은 미약했으나 [5] DogSound-_-*3426 25/04/25 3426
514732 [서브컬쳐] 이세계돌 디지털 싱글 4집 공개 [7] 묻고 더블로 가!1679 25/04/25 1679
514731 [LOL] kt vs 농심 경기를 본 칸과 김민교 [4] 카루오스2935 25/04/25 2935
514730 [유머] 용사님들의 언어 해석 [5] 유머3237 25/04/25 3237
514729 [연예인] 다른의미로 병역 논란 터졌었던 연예인 [9] 유머5310 25/04/25 5310
514728 [서브컬쳐] 10년 정도 드래곤을 쓰러뜨 리거나 하면서 바쁜 모험 생활을 지냈다.manga [12] 유머3130 25/04/25 3130
514727 [유머] 베데스다 코리안 패싱 사태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 [3] 된장까스3532 25/04/25 35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