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6/08/05 09:42:07
Name 에버그린
File #1 1470327962578.jpg (655.5 KB), Download : 56
File #2 1470327988477.jpg (191.9 KB), Download : 39
출처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m=search&p=1&b=bullpen2&id=5634479&select=sct&query=%EC%9D%BC%EB%B3%B8%EC%9D%8C%EC%95%85&user=&reply=
Subject [서브컬쳐] 한국음악과 일본음악이 아시아 인기 No.1 자리 두고 다투던 시절




는 그냥 한국 음악의 압살..

친일로 가장 유명한 대만에서도 앨범 판매량 순위에서도

탑20에 한국 17개, 일본 3개.

2016년인 지금도 상황은 비슷.

팝의 인기와 영향력이 어마어마하다는 필리핀에서도 최소 반은 차지했던게 한국음악.

굳이 따지자면 pop 음악 한정이겠지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WhenyouRome....
16/08/05 09:44
수정 아이콘
J-pop은 그냥 일본에서만 잘 나가는걸로. . . .
반복문
16/08/05 09:48
수정 아이콘
지금도 해외음악 들을때 K-pop 만 분류가 있는게 신기합니다. 크크
하심군
16/08/05 09:53
수정 아이콘
자기 시장 안에서도 들어줄 사람 많은데 굳이 나가서 할 필요가 있나 싶긴 해요. 그래서 갈라파고스가 됐다고는 하지만 갈라파고스면 어떻습니까.
독수리가아니라닭
16/08/05 10:02
수정 아이콘
'원래시미남'이랑 '화양남자유성화'는 누구죠?
에버그린
16/08/05 10:06
수정 아이콘
https://namu.wiki/w/%EB%AF%B8%EB%82%A8%EC%9D%B4%EC%8B%9C%EB%84%A4%EC%9A%94

한국이 미남이시네요 라는 드라마를 대만에서 리메이크 했는데 그 제목이 原來是美男 (원래시미남) 이라고 하네요.
차트에 올라와 있는건 원래시미남 ost 가 아닐지...
독수리가아니라닭
16/08/05 10:10
수정 아이콘
아 드라마 OST였군요. 그럼 '화양남자유성화'는 꽃보다 남자쯤 되려나...
리나시타
16/08/05 10:07
수정 아이콘
신기하다고 느껴질 만큼 일본 노래는 그 특유의 느낌이 있고 일본 사람들은 그런 일본 노래를 좋아한다는거죠
전 세계적으로 일본만큼 내수시장이 특별한곳이 있나 싶습니다
굳이 노래뿐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문화가 정말 일본인들만을 위한 방식이고 또 일본인들은 그걸 좋아하구요
그리고 그 시장의 규모가 워낙에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계속 유지가 되고있구요
폐쇄적인 나라면 또 모르겠는데 서양 문물을 그렇게 좋아하는데도 또 저런 면에서는 보수적(이란 표현이 맞으려나요)인게 신기합니다
하심군
16/08/05 10:12
수정 아이콘
노래 뿐만 아니라 모든 문화전반은 물론이고 심지어 규격까지도 자기 것 많이 좋아하는 나라죠. 그만큼 경제력이 있는 나라니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긴 한데 섬나라놈들은 언제나 괴팍해요(!?)
루키즈
16/08/05 10:31
수정 아이콘
영국의 요리....
일본의 문화....
착한 외계인
16/08/05 11:26
수정 아이콘
섬나라여서 그런가?라고 생각하면 우리 나라도 사실상 섬 나라 같은 입장이어서...
그냥 일본이 특이한걸로 해석해야 할까요?;;
하심군
16/08/05 11:28
수정 아이콘
지형비하(?)라기보단 서양의 영국, 동양의 일본처럼 두 나라가 인접해있는 대륙과는 문화가 상당히 독립적으로 발전해있는 공통점이 있어서 말이졍.
에버그린
16/08/05 11:30
수정 아이콘
영국과 일본의 차이는

영국음악은 세계에도 엄청나게 잘 먹히고 있지만
일본음악은 세계에 전혀 먹히고 있지 않다는거겠죠..
하심군
16/08/05 11:32
수정 아이콘
그리고 영국은 그것빼고는 쥐털도 없고(사실 영국이 군사적이나 산업전반에서 세계표준이 되는 단위는 다 만들었습니다. 당장 우리나라를 포함한 NATO 전차들이 쓰는 전차포가 영국제고요.) 일본은 세계 2,3위 경제권이라는 차이도 있고요.
에버그린
16/08/05 11:37
수정 아이콘
경제력과는 달리 음악역량에 있어서는 일본이 영국에 안되네요.

그래서 영국음악은 자기들만의 고유한 특성이 있음에도 세계에 먹히고 일본음악은 그냥 갈라파고스화 된건가...
하심군
16/08/05 11:50
수정 아이콘
나갈 필요가 있는 사람들과 나갈필요가 없는 사람들의 차이죠. 일본 음악중에서도 재즈라거나 유행지나간 예전 음악(예를 들어 G-FUNK)같은 건 주목받는 뮤지션들이 많습니다. 마이너가 강한 문화라는 건 어떤의미에선 부러운 문화죠.
에버그린
16/08/05 11:54
수정 아이콘
세계시장이 훨씬 큰데 나갈필요가 없어서 안나간다는건 그냥 일본의 핑계일 뿐이죠.
세계에서도 잘 먹히고 잘 팔리면 당연히 진출하는거죠. 벌 수 있는 수익 단위가 다른데..
실상은 먹히지 않으니까 못나가는거죠.
경제 호황기였던 80년대만해도 일본 밴드들 해외 열심히 진출해서 빌보드 차트에도 순위 올리고 많은 인기를 얻었습니다. 라우드니스, 앤썸, 바우와우등...

일본보다 더 큰 음악시장과 경제력을 가지고 있는 미국음악이 그렇다고 일본처럼 해외로 진출 안해서 해외에서 안 먹히는 것도 아니죠.
하심군
16/08/05 12:02
수정 아이콘
에버그린 님// 핑게라고 하기엔 일본내의 음악시장이 너무 커요. 아시아투어를 계획하면 일단 일본을 메인에 넣고 다른 곳을 경유하는 방향으로 가고 하이엔드 음악기기 소비시장도 일본이 이끌고 가고 있고요. 거기다 우리나라처럼 소비계층이 공갈빵도 아니고 탄탄해서 이 사람들이 사주면 먹고 살 수 있는데 굳이 나갈필요가 있냐는 거죠. 이런 방향성이 문제가 될 수는 있지만 일본음악이 별로다? 절대 아니죠.
에버그린
16/08/05 12:06
수정 아이콘
일본내의 음악시장이 크더라도 세계의 음악시장은 그보다 더 큽니다.
더 훨씬 돈을 벌수 있는곳이 있는데 그걸 굳이 마다한다는게 이상한거죠.
80년대에도 일본 음악시장은 엄청 컸지만 일본 밴드들 열심히 해외 진출해서 좋은 성과를 올리고 그랬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당연히 세계 진출하는게 더 돈을 벌수 있으니까요.

해외에 더 큰 시장이 있음에도 일본시장이 크니까 난 진출안해 라고 하는건 그냥 진출해도 먹히지 않으니까 하는 핑계일 뿐이죠.

미국은 일본보다 더 음악시장이 넓고 미국내에서도 얼마든지 활동해서 먹고 살수 있는데 왜 해외를 진출할까요? 당연히 해외 시장이 더 넓고 거대하니까 진출하는겁니다. 자국 시장이 넓으니 해외 진출 안한다는건 그냥 자기위안일 뿐입니다.
하심군
16/08/05 12:11
수정 아이콘
에버그린 님//80년대의 일본이야 그만큼 욕심도 있었죠. 우리도 그까이꺼 미국 함 점령해보자! 그래서 점령했냐고 하면 그렇긴 한데 메이저리그의 일본인이나 한국인 진출과 같은 맥락이랄까요. 우리 야구가 미국에 먹히나 같은거요. 지금은 그 단계를 넘은거고요.

그리고 자꾸 미국시장을 언급하시는데 미국시장은 해외로 진출하는 게 아니죠. 해외에서 와달라고 하니깐 가는거죠. 자꾸 일본이랑 미국을 같이 취급하시는데 개념이 다른 두 부류를 자꾸 한 부류로 취급하시는 건지 모르겠네요. 이런 안정적인 환경때문에 내부에서부터 도태되고 있다는 말은 할 수 있지만 일본음악이 열등하다는 말은 뭘 몰라도 한참 모른다는 것 밖에 안되죠.
에버그린
16/08/05 12:18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일본이 미국 점령했나요? 못했습니다.

그리고 점령하던 안하던 그건 둘째문제고 돈을 더 벌수 있는 곳이 있으면 당연히 그 곳으로 진출하는겁니다. 아무리 일본에서 먹고 살수있다고 해도 해외시장에서 더 큰 돈을 벌수 있으면 당연히 글로 진출하는거지
진출할수 있음에도 그냥 일본에서 먹고 사는걸로 충분해서 진출안한다는게 말이 되나요. 일본 뮤지션들이 돈 욕심이 없는것도 아니고...

[미국시장은 해외로 진출하는 게 아니죠. 해외에서 와달라고 하니깐 가는거죠. ]

라고 하셨는데 일본은 해외에서 와달라고 하지도 않습니다. 즉 일본음악이 해외에서 전혀 먹히고 있지 않다라는거에요. 설령 일본음악이 굳이 해외 진출안하더라도 일본음악이 세계에 먹히면 자연스럽게 해외에서 오라고 합니다. 지금 일본음악의 문제는 그게 안된다는거에요.
하심군
16/08/05 12:24
수정 아이콘
에버그린 님// 미국문화가 현대문화의 토대라고 하는 걸 애써 무시하고 시작하시네요. 물론 그 미국문화의 토대가 영국이긴 합니다만. 그리고 이건 또 까먹었는데 그럼 과연 일본사람들이 해외를 위한 노래를 만드냐에 대한 이야기도 있죠. K-POP이 지난 10년간 노력해온 방향성과 비교해보면 답이 나오는 것도 있고요.

그리고 이걸 반대로 생각해보면 우리나라에서 음악시장이 먹고 살기 힘드니까 지금 해외로 진출하는 건데 이 대상중에는 아이돌그룹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인디밴드들도 포함하고 있죠. 그냥 해외에서 진출하는 걸 전제로 하고 우리나라에서 앨범을 내지 않는 인디밴드도 좀 있습니다. 과연 이 사람들이 우리나라에서 먹고 살 수 있으면 과연 이렇게까지 하겠냐는 물음을 해보면 뭐...그 사이에서 대충 답이 나오겠죠.

예술은 배고파야 빛이 난다는 말이 이렇게 증명될 줄은 몰랐어요. 요즘 K-POP열풍을 보니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에버그린
16/08/05 12:34
수정 아이콘
자신들만의 음악을 해도 그게 세계에 먹히면 얼마든지 먹힙니다.

브리티시 팝은 뭐 세계를 목표로 만들어졌나요. 그냥 자기 색깔 강하게 해서 음악을 만들었음에도 그게 해외에 먹히니 널리 알려진거죠.

일본음악은 그점에서 많이 부족합니다. 국내시장이 워낙 넓어서 진출할 필요성을 못찾겠다, 해외를 목표로 만들지 않았다라는 핑계를 대기에는 세계에서 먹히는 파급력이 너무 부족해요. 오히려 80년대가 훨씬 더 세계에서 먹혔습니다.

그냥 일본에서만 시대 비교를 해도 지금이 8~90년대보다 더 안먹히고 있어요. 8~90년대는 일본내수시장이 별로라서 해외 진출 시도한거고 지금은 일본내수시장이 너무 좋아서 해외 진출안한거다라는 건 아니겠지요.

일본음악이 해외에서 먹혔다면 얼마든지 알아서 진출했을겁니다. 아무리 일본 시장이 넓어도 해외시장은 더욱더 넓고 거기서 벌어들일 수익은 일본 내수보다 훨씬 더 많을테니까요
하심군
16/08/05 12:42
수정 아이콘
에버그린 님//자꾸 각 시장의 특수성을 그냥 단순하게 이야기를 뭉뚱그려도 구도가 어느정도 나오는데 자꾸 이 특수성을 무시하고 일반화 하시네요. 미국 시장은 일단 제일 큰 소비시장이자 그 소비를 전세계로 전파하는 파급력을 가지고 있는 시장입니다. 그리고 그 미국문화 기반에는 영국이 있고요. 그 영국이 전파했다는 브리티시팝도 비틀즈이후의 모던락 정도지 마이클 잭슨 이후로는 그런거 별로 없었죠. 스파이스걸 정도..였나?
그에 반해서 한국시장은 내수시장이 전멸수준이라 필사적으로 바깥으로 나가야 하는 거고 그러면 고객 분석을 철저하게 해야죠. 일본음악은 그 사이에서 그냥 도태된 것 뿐이고요. 리서치가 된 상품과 안된 상품이 있으면 리서치가 된 상품이 팔리는 게 당연하잖아요?

그냥 그런겁니다. 이거가지고 우열가리는 건 우리가 쪽팔리는 일이예요.
하심군
16/08/05 12:50
수정 아이콘
에버그린 님// 마지막으로 이 말은 해야겠는데 아티스트가 상인인가요? 자기 생활 해결됐으면 그다음에는 그 사람이 자기 하고싶은 음악을 하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에버그린
16/08/05 13:10
수정 아이콘
같은 일본시장을 놓고 봐도 차이가 있지 않습니까
80년대 일본 뮤지션들은 돈독이 올라서 해외진출 열심히하고 지금의 일본 뮤지션들은 돈에 초탈해서 해외진출 안하는건가요? 아니잖아요

그냥 80년대에는 일본 음악이 세계에 경쟁력이 있었고 먹혔던거고 지금은 안먹히는것 뿐입니다.
이걸 가지고 그냥 일본이 자국내에서 먹고 살면 되니 해외 진출안해서 그렇게 된거야 하는건 자기위로일 뿐이죠

그리고 아티스트가 자기 음악한다고 해서 그게 해외 진출 못하는 이유가 되지는 않습니다. 자기 음악 잘하면서도 해외에 통해서 성공하는 뮤지션들 수두룩하게 많아요. 해외에 진출해서 성공한 뮤지션들은 뭐 자기 음악 안하고 다 해외 맞춤 음악만 했나요

자기음악만 해서 해외에서 먹히지 않는다는거다 라는건 그냥 변명일 뿐입니다. 자기음악 해도 그게 해외에서 통하면 얼마든지 통해요. 지금의 일본음악은 과거의 일본음악에 비교해서도 그게 안되는것뿐이고
하심군
16/08/05 13:25
수정 아이콘
에버그린 님// 80년도는 아시아 시장에서 일본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제가 있었는가에 대한 차이고 당시 빌보드 챠트에 오르는 거는 아까도 이야기했으니 설명생략합니다. 그리고 자기음악 하는 일본뮤지션중에 충분히 먹히는 가수들 많잖아요. 그냥 우리가 모르고 아이돌 중심 메타에 뒤쳐졌을 뿐이죠. 거기다 일본은 보이그룹이나 걸그룹을 예능집단으로 보는 경향이 강한 것도 있고요.

그리고 자꾸 이 말 하는 걸 까먹는데 말이 좋아서 세계2위인데 이 말은 아시아시장보다 일본시장이 더 크다는 말입니다. 중국시장이 한 번 떠올랐다가 지금 한류 쳐맞는 것처럼 일본은 예전에 쳐맞아서 다시는 못올라고요. 그외에 동남아시장은 뭐 말할 것도 없고요. 미국시장? 글쎄요. 유럽? 거기도 자기네들 나라 듣기 바쁘죠. 이쯤되면 나갈 이유가 없어요. 해외 진출 이거야 말로 자기만족이죠.
에버그린
16/08/05 13:35
수정 아이콘
하심군님// 자기음악 하는 일본뮤지션중에 세계에 먹히는 뮤지션이 누가 있죠? 예전 라우드니스, 바우와우, 앤썸같은 밴드들이나 글로브, 우타다 히카루, 하마사키 아유미, 자드, 엑스저팬, 라르캉시엘 정도로 먹히는 가수들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성동구
16/08/05 11:49
수정 아이콘
영국음악은 미국덕 많이 보지않았나요? 비틀즈도 미국으로 진출해서 전세계급 된 걸로 알고 있는데...
에버그린
16/08/05 11:52
수정 아이콘
글쎄요. 그걸 미국덕 봤다라고 하기가 뭐하지 않나싶네요.
그냥 비틀즈 음악 자체가 워낙 대단했으니 미국에서도 인기를 끌고 전세계적으로도 인기를 끈거지 미국덕으로 비틀즈가 전세계급 뮤지션이 되었다는건 좀..

스타크래프트가 한국덕으로 세계적인 게임이 되었다라는 말과 다를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16/08/05 10:56
수정 아이콘
섬나라인게 영향이 있는듯
문댄서
16/08/05 10:33
수정 아이콘
저때 당시는 아무리 일본이 내수시장에 집중한다고 하더라도 j-pop이 아시아에서 인기가 있었으나 지금은 아시아에서 j-pop자체의 인기가 많이 사라져서 자의반 타의반으로 갈라파고스가 된거죠.
16/08/05 10:34
수정 아이콘
이런글 엠팍에서 쓰시면 아마 백프로 쪽지 받으셨을거 같네요 크크
야자와 니코
16/08/05 10:35
수정 아이콘
몇주전 애니행사 일로 네덜란드 갔었는데 거기서 무려 한코너가 K-pop 댄스 강습인가 그런거더군요. 되게 신기했음...
16/08/05 10:48
수정 아이콘
하지만 수익은...
열역학제2법칙
16/08/05 11:38
수정 아이콘
요새 일본 내에서도 일본 문화 수준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반성해야된다는 식으로 말이 나오던거 같던데요. 특히 영화쪽은...
할러퀸
16/08/05 16:12
수정 아이콘
괜찮은 일본영화도 많아요 흐헝엉 이게 다 그놈의 만화실사판때문이란걸 알지만ㅠㅠ
탐나는도다
16/08/05 20:07
수정 아이콘
일본은 그 특유의 창법때문에 그런거같아요
유독 심하지않나요 그 나라만의 창법이란게
장르를 넘어선 먹는 소리가 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95382 [서브컬쳐] 어느 회사의 흑자전환 [23] ShuRA12370 16/11/07 12370
293375 [서브컬쳐] 파오후 오덕녀가 주연인 애니 [17] blackroc7819 16/10/07 7819
292411 [서브컬쳐] 최근 전차가 나오는 영화가 인기라고 해서 보러갔습니다. [15] K-DD7484 16/09/23 7484
290417 [서브컬쳐] 인기를 천배로 늘리는 약 [8] blackroc6086 16/09/04 6086
288659 [서브컬쳐] 독자를 무시하면 망한다는 걸 보여주는 예시 [13] 에버그린9358 16/08/20 9358
287761 [서브컬쳐] 진짜 매출로 따지면 인기 아이돌 애니 투탑 [9] blackroc7910 16/08/13 7910
286657 [서브컬쳐] 한국음악과 일본음악이 아시아 인기 No.1 자리 두고 다투던 시절 [37] 에버그린8340 16/08/05 8340
286640 [서브컬쳐] 덕후계에 퍼퓸 홍보한 매드무비 [2] JUFAFA4642 16/08/04 4642
284825 [서브컬쳐] 야구만화 메이저, 그후 [28] 사장26737 16/07/22 26737
284629 [서브컬쳐] 코미케에 처음 참가하는데 작품을 몇 부 찍으면 좋을까요? [17] 미캉6769 16/07/21 6769
283073 [서브컬쳐] 아이마스 극장판에 넣으려다 짤린 밀리마스 캐릭터 [13] JUFAFA3926 16/07/09 3926
283046 [서브컬쳐] 여초사이트 난리난 의정부고 검은사제 [18] hoho9na10658 16/07/09 10658
281464 [서브컬쳐] 1세대 포켓몬 인기 상위1~3등, 하위 1~3등 [6] 좋아요3622 16/06/28 3622
280148 [서브컬쳐] 어느 소셜게임의 기간한정 웨딩 드레스 캐릭터 [7] The xian6824 16/06/17 6824
279755 [서브컬쳐] 나츠미 붐은 온다...! [6] 미캉4095 16/06/14 4095
277638 [서브컬쳐] 요즘 아이들에게 인기 있는 만화 [2] 고타마시타르타6204 16/05/28 6204
276514 [서브컬쳐] 대접에 비해 귀엽긴 무지 귀여운 포켓몬 [3] 좋아요6699 16/05/20 6699
274757 [서브컬쳐] 애니 남캐 인기투표결과 [9] 좋아요4359 16/05/07 4359
272229 [서브컬쳐] [아이돌마스터] 신데마스 충격의 5회 총선 중간결과 [17] JUFAFA6536 16/04/19 6536
270535 [서브컬쳐] 판타지물 남자주인공이 인기 많은 이유 [7] 좋아요5191 16/04/06 5191
269725 [서브컬쳐]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작가 인터뷰 [13] 좋아요10304 16/03/31 10304
268892 [서브컬쳐] 니세코이 제 3회 인기투표 결과 [11] 좋아요4880 16/03/24 4880
268815 [서브컬쳐] 쿄토애니메이션 작품 인기 투표 [33] 5357 16/03/24 53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