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5/09/13 00:26:21
Name SKY92
Subject [스타1] "조용호라는 게이머가 있었다는걸 잊지 않아주셨으면 좋겠다.".avi


한국해설(후반에 짤림)





외국해설(풀버전)

한국해설은 후반에 짤려서 풀경기가 담겨져있는 외국해설 버전도 올립니다. 외국해설이 좀 클수도 있으니 듣고싶지 않으신분들은 음소거 눌러주세요.

아무튼 저날 멋지게 에결에서 이긴 조용호선수는 승자인터뷰에서 제목의 말을 남깁니다. 그리고 이후에 승수를 쌓지 못하더니 갑작스런 은퇴... 결국 저게 공식전 마지막 승리가 된 셈.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의 커리어에 큰 상처를 안겼던 이윤열에게 거둔 승리.... 게다가 자신의 스타일인 목동저그로 이겼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저 신경쓰여요
15/09/13 00:28
수정 아이콘
이 경기 정말... 감동이었습니다. 기억할게! 기억할게! 기억할게!!!!

용호얼인히는 악수도 잘해요
15/09/13 00:30
수정 아이콘
지금 다시 생각해보면
주작의 MSL 쓰리핏을 저지한 영웅....
15/09/13 00:33
수정 아이콘
그때 저저전에서 1해처리 레어는 매우 신선하고 충격적이었죠. 마조작이 결국 그 리그에서 끝끝내 파해하지 못하고 패배했고요
살다보니별일이
15/09/13 00:53
수정 아이콘
막상 상성종족은 테란인데 중간에 제동건건 저그고 무너뜨린건 토스...
15/09/13 00:38
수정 아이콘
송대관저그
임시닉네임
15/09/13 00:54
수정 아이콘
실력과 경력, 그리고 게임내에 끼친 영향력에 비해서 이상하게 과소평가되는 선수에요
매너도 좋고 인상도 좋은 선수인데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안티도 없어서 그런가 싶기도 해요.

마재윤의 본좌로드 시절 해설자들이나 언론은 마재윤의 라이벌이나 경쟁자로 이윤열, 전상욱, 진영수 등을 언급했고 이후에도 김준영이 언급되었지만
실제로 이시기 마재윤의 라이벌은 조용호였죠. 5판3선승제만 3번을 했고 그중 2번을 조용호가 이겼고 그중 한번은 결승이었고 마재윤을 이기고 우승까지 했죠. 양대결승가고 케스파랭킹 1위하고 WP랭킹 1위하고.,..
마재윤의 전성기를 전반기 후반기로 나눠서 생각하면 전반기는 확실한 원탑이 아니라 조용호와 마재윤이 투탑에 가까웠습니다. 오히려 양대리그 성적이 꾸준했고 랭킹1위였던 조용호가 탑에 더 가까웠을 수 도 있고요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결국 조용호의 전성기도 마재윤의 전성기안으로 묻혀서 전체가 다 마재윤의 원탑시기로 편입되더군요.
저 신경쓰여요
15/09/13 01:23
수정 아이콘
마재윤이 웃기고 말도 안 되는 게 한 쪽은 PC방에만 가 있었는데 그걸로 포스 보존 크크크크

그래서 결국 신한을 먹었습니다만 며칠 후 푸켓에 갔다온 듣보 프로토스가...
사티레브
15/09/13 00:57
수정 아이콘
이분도 취미생활이 경력을 잡아먹어서 더 아쉬움
15/09/13 01:12
수정 아이콘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조용호 선수 취미생활이 뭐였나요? 송병구 선수 처럼 다른 게임 많이 했었나요?ㅠ
사티레브
15/09/13 17:51
수정 아이콘
공개게시판에 쓰기는 좀 그렇네요 양해를..
불알큰타이거
15/09/13 01:34
수정 아이콘
좋아했던 게이머입니다. 근황이 궁금하네요
임시닉네임
15/09/13 01:52
수정 아이콘
다른사람도 아니고 이영호가 조용호를 천재라고 했었죠.
껀후이
15/09/13 11:30
수정 아이콘
용호어린이ㅜㅜ
참 안타까운 선수죠
실력으로 보나 커리어로 보나
저그 역대 탑5 꼽으면 들어갈텐데
커리어에 비해 참 회자가 안 되는...ㅠ
또 플레이스타일도 무난한 면이 있고요
져도 악수를 청하는, 당시 어린 저에겐 진짜 멋진
모습으로 남아있는 사람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51313 [스타1] 투신을 완벽하게 잡는 핵승엽.avi [4] SKY925453 15/09/17 5453
251309 [스타1] 송병구의 프프전 2로버틱스 전략.avi [7] SKY924558 15/09/17 4558
251297 [스타1] 이거 못막습니다, 지금 병력이 어디있습니까?.avi [9] SKY927712 15/09/17 7712
251294 [스타1] 나도현vs박정석 마인대박 풀경기.avi [7] SKY923681 15/09/17 3681
251291 [스타1] 상위권 경쟁이 역대급으로 빡셌던 프로리그.jpg [12] SKY926009 15/09/17 6009
251226 [스타1] 최연성vs박성준 레이스vs뮤탈.avi [9] SKY924973 15/09/16 4973
251221 [스타1] 03년 서지훈의 엄청 바빴던 하루.avi [13] SKY927099 15/09/16 7099
251212 [스타1] 송병구 이전 사업안한 토스의 원조.avi [11] SKY926994 15/09/16 6994
251206 [스타1] 2001년 온게임넷 스타리그 지리는 4강 대진.jpg [32] SKY927398 15/09/16 7398
251205 [스타1] 황신의 '2'번째 스타리그 조편성 운.jpg [26] SKY927879 15/09/16 7879
251187 [스타1] 임요환vs박경락 4강을 건 단두대매치.avi [10] SKY925246 15/09/15 5246
251169 [스타1] 14년전 제겐 좀 충격적이었던 온게임넷 스타리그 개막전.avi [7] SKY926050 15/09/15 6050
251153 [스타1] 07 송병구vs강민 MSL 명경기.avi [2] SKY924579 15/09/15 4579
251145 [스타1] 05년 초 팀리그 충격적인 통신사더비.avi [5] SKY925254 15/09/15 5254
251140 [스타1] 2004년 말~2005년 초 일주일내내 스타 1 방송보던 시절.txt [22] SKY926266 15/09/15 6266
251131 [스타1] MSL 시드 16명중 8장이던 시절 서바이버리그 방식.txt [21] SKY925416 15/09/15 5416
251104 [스타1] 하필 바로 다음경기가 임요환vs도진광....avi [8] SKY926475 15/09/14 6475
251092 [스타1] 테란의 빠른 트리플에 대응하는 토스의 쿼드러플넥.avi [4] SKY925546 15/09/14 5546
251086 [스타1] 추억의 짤방 [13] 비타에듀9151 15/09/14 9151
251070 [스타1] 레알 남자의 종족 [4] 시나브로7184 15/09/14 7184
250953 [스타1] 공3업 발키리 [6] 좋아요7544 15/09/13 7544
250952 [스타1] KT 롤스터가 롤스터가 된 이유.jpg [11] SKY927202 15/09/13 7202
250940 [스타1] "조용호라는 게이머가 있었다는걸 잊지 않아주셨으면 좋겠다.".avi [13] SKY927911 15/09/13 79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