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4/07/26 21:42:23
Name
File #1 6107677caad3a708ab8e4cd611333653_JNzes2Um1.jpg (1.32 MB), Download : 41
File #2 6107677caad3a708ab8e4cd611333653_z54CMbd7jbTJRoAMdui.jpg (1.44 MB), Download : 26
Subject [기타] [기타] 등록금으로 고통받던 독일 대학생들의 해결책










선진국도 등록금 문제에서는 예외가 아니군요.

그래도 저런 시위가 용인되고 지지하는 지식인들이 있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참 부럽네요.

얼마나 등록금이 비쌌으면...

... 응?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재석
14/07/26 21:45
수정 아이콘
등록금이 500만원이라니 우리나라랑 그다지 차이 안나네... 하다가 헉? 했네요
아스미타
14/07/26 21:45
수정 아이콘
저런 빨..놈들 소리 나오겠죠
레지엔
14/07/26 21:46
수정 아이콘
쟤네는 저럴 파워를 가진 정치 단체가 될 수 있었고, 한국은 흠... 걍 빨갱이라고 부른 후에 때려잡으니까 다 때려잡혔죠. 그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소독용 에탄올
14/07/26 23:21
수정 아이콘
그래서 노후도 '스스로' 책임지고 있습니다. ㅠㅠ
채넨들럴봉
14/07/26 21:48
수정 아이콘
등록금이 제대로만 쓰이면 좀 비싸도 상관 없죠 이게 안되서 문제지만;
애초에 전국민을 무료로 대학까지 보낼 필요도 없고
무료라고 해도 학교 질이 떨어지거나 결국 어디선가는 대학으로 돈이 갈텐데 그 돈이 땅에서 나오는 것도 아니고요
Security
14/07/26 21:48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는 맞불시위와 좌파빨갱이란 소리가 나오겠죠...나라를 말아먹으려한다는...
14/07/26 21:48
수정 아이콘
등록금이 500만원이라니 우리나라랑 그다지 차이 안나네... 하다가 헉? 했네요(2)
음 적어도 대한민국사회에서 2222년까진 일어날리가 없다고 확신합니다..
LenaParkLove
14/07/26 21:49
수정 아이콘
.... 콩까지마...? ㅠㅠ
후다닥. 죄송합니다.
방과후티타임
14/07/26 21:4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대학교육이 사람이 받아야 할 필수 교육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의 등록금은 교육의 질을 위해서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Psychedelic Moon
14/07/26 21:55
수정 아이콘
하지만 지금이 적절한 등록금이냐 라고 한국 사회에 묻는다면 보통은 다들 아니다라고 하죠. ㅜ

저 문제는 대학교육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 자체의 문제이기 때문에 대학교육이라고 한정하는것이 옳다고는 생각되지 않네요.
방과후티타임
14/07/26 22:08
수정 아이콘
예, 전 한국등록금을 말한게 아니라 본문의 한학기 70만원을 말한거예요. 적절한 수준이 얼마냐라는 문제에는 뭐라 확답을 내리기 힘들겠지만, 저정도 수준은 부담스럽지 않고 고급 교육을 원한다면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생각해서요. 그러다보니 본문의 집회와 점거가 공감이 가지 않아서 단 댓글입니다. 너무 한국스러운 닫힌 생각일까요? 뭐, 유게에서 너무 진지하게 댓글 단 경향이 있긴 하네요...
Psychedelic Moon
14/07/26 22:24
수정 아이콘
70만원이 포인트가 아니라 등록금에 대한 독일인의 자세가 와 그 표현중에 나타나는 과정이 저 주제입니다. 등록금을 5~600만원을 내는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참 있는놈들이 더한다고 생각도 들겠지만 진짜 문제는 70만원이 아니라 등록금 자체와 교육에 대한 독일의 생각이 저 내용의 주제이죠. 뭐 어쩔수 없습니다. 우리는 한국에 사니까요. 참 부럽네요...
14/07/26 23:21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대학 교육이 필수도 아니고 자격(실력)있고 정말 공부하고자하는 사람이 해야겠죠. 돈이 있고 없는 사람을 떠나서 말입니다.
살다보니별일이
14/07/26 21:54
수정 아이콘
비단 대학교육 문제가 아니라 그냥 뭐만하면 빨갱이라고 하는것과 그런게 실제로 통한다는게 아주 한심한 현실인거죠.
14/07/26 21:54
수정 아이콘
한국도 돈이 있으면 할 수 있겠죠.
내려올
14/07/26 21:55
수정 아이콘
와 부들부들하네요... 여러 의미로
14/07/26 21:55
수정 아이콘
요즘 솔직히 대학생이 너무 많다라고 많이 이야기하는데.
저는 대학교육은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받을 수 있어야 하고, 가능하다면 전 국민이 대학교육을 받는 게 맞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대학교육도 의무화되고 누구나 배울 수 있도록 무료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네요. 대신 교육의 질만 좀 보장해 줬으면 하는 생각도 합니다. 솔직히 대학강의 들으면 내가 대학강의 듣는 건지 교수 들러리하는 건지 생각도 많이 들어서. 솔직히 대부분의 수업이 수업같지 않다는 생각도 많이 듭니다. 그냥 국가가 책임지고 수업의 질도 좀 책임 져 줬으면 좋겠네요. 무료로 제공하는 대신
레지엔
14/07/26 22:00
수정 아이콘
한국 사회에서 고졸의 위치를 대졸이 차지하게 된 배경이 대학 진학율의 증가에 있는데, 말씀하신대로 되면 대졸의 위치를 석사 학위 혹은 박사 학위가 일정부분 대체하게 될 겁니다.
14/07/26 22:03
수정 아이콘
사실 위치라는 건 지극히 상대적이니까요... 뭐 어떤 형태로 구성이 되든 서울대라는 프리미엄과 학벌의 계층 구조는 바뀌지 않을거라고 봅니다.
그냥 그래도 좀 전 국민이 제대로 된 대학교육을 받으면 -0-... 좀 얼토당토 안한 사기꾼에 가까운 사람들의 사탕발림에 넘어가지 않을 정도의 지적 능력을 보유하지 않을까 라는 일말의 기대감에 대학교육이 의무화되면 좋지 않을까 라고 생각을 합니다. 뭐 사실 고등교육도 의무화지만 정작 고등교육을 '제대로' 이해하고 습득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검 감안하면 의미없는 일이라고 봐도 뭐 ㅡ.ㅡ;;;솔직히 할말은 없습니다.
레지엔
14/07/26 22:04
수정 아이콘
네 말씀하신대로 지금의 의무교육(중학교), 사실상 의무교육(고등학교) 과정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죠. 차라리 대학생을 더 줄이고, 선택과목제를 중등교육과정에서 강하게 확대하는 쪽으로 가는게 아마 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체화할 시간이 부족한 거지 배우는 시간은 너무 많죠 우리는...
Tristana
14/07/26 22:13
수정 아이콘
뭐 이건 사람들 견해가 많이 다르니까요.
고등학교이하랑 대학교 이상 교육의 성격을 다르게 보는 경우도 많고요.
뒷얘기는 동의합니다
대학 8학기를 휴학 많이하면서 8년 동안 다녔는데
마음에 들었던 수업이 하나라도 있었나 하고 물으면 생각나는게 없네요.
damianhwang
14/07/27 01:27
수정 아이콘
중고등때까지는 놀아도 되니.. 시민으로 살아가는 올바른 개념을 잘 가르쳐주고..
대학은 정말 공부하려는 사람만 가게 했으면 싶긴 합니다.
나름 괜찮다는 대학을 나오긴 했는데, 대학생활의 만족이라고는 사달라는 책 다 사주는 도서관 자료실뿐이었거든요.... 학비도 좀 싼편이긴 했고..
그러다 유학이랍시고 제대로 마치진 못했지만 영국, 미국, 캐나다를 돌았는데...
뭐 나라마다 공부마다 다르긴 했지만. 와 이게 진짜 공부하는거구나 싶긴 했어요..
세월이 흘러간 후 고등학교 졸업이 아득해보일 나이에 방송통신대 편입을 했는데...
공부를 하고 싶었으면 차라리 처음부터 여길 할껄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학비 40만원, 입학은 니 마음대로지만 졸업은 아니란다 시스템이 딱이더라구요..킄킄
14/07/26 21:58
수정 아이콘
대학진학률의 차이만 찾아봐도 왜 안되는지 답이 나오는 문제니까요 이건...
14/07/26 22:04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2012년 기준 독일의 고졸이후 대학진학률이 40%......

왜 안되는지 답이 나오네요...
스바루
14/07/26 22:14
수정 아이콘
저도 저글 보자마자 대학진학율 부터 찾아 봤내요..
anic4685
14/07/26 22:02
수정 아이콘
대학을 사실상 의무교육 수준으로 가야하는 대한민국 구조가 안바뀌면...답이 없지만...
돼지불고기
14/07/26 22:12
수정 아이콘
한 학기 70만... 내가 다니던 고등학교는 분기 비용이 25만원인데...;
Tristana
14/07/26 22:16
수정 아이콘
요즘 영어유치원같은건 한 달 70만원 이상하는 곳 많지 않나요? 크크
돼지불고기
14/07/26 22:17
수정 아이콘
그건 사교육비이므로 노카운트라고 우기겠습니다... 크큭; 유치원이...-,.-;
14/07/26 22:19
수정 아이콘
고작 70만원....
밀레니엄단감
14/07/26 22:21
수정 아이콘
훌륭한 인재를 많이 배출해야 국가가 번성한다?? 대졸자들 수용할 일자리도 없으면서? 세금 왕창 퍼부어서 대졸자들 양산하는게 과연 국가발전에 도움이 될지...
14/07/26 22:33
수정 아이콘
그쵸.. 사실 좋은 사회는 대학을 '가야만' 하는 사회가 아니라 대학을 안가도 성공할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Psychedelic Moon
14/07/26 22:27
수정 아이콘
그리고 저 내용 전에 우리가 이해해야할 것은 독일의 대학진학률과 독일의 고졸취업생에 대한 인식입니다.

우리나라의 현재 인식으로는 할 수도 없죠. 대학을 나와야 사람취급하는 사회인데요...

독일이 어쨋든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구조가 잘못된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 하는 사실이고 문제는 그걸 어떻게 변화 시키냐 인데 현재의 한국지도자들을 보자면 솔직히 말하자면 회의적이네요...
14/07/26 22:29
수정 아이콘
미국과 비교하며 대학교 등록금 싸다가 말씀했던 교수님이 생각나네요.
뭐 저는 장학금 받고, 국립이라 사립에 비하여 싸게 다니긴 하였다만...
14/07/26 22:29
수정 아이콘
그런데 고졸입장에서.. 불필요한 대학교육을 받는 분들이 분명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최근에 복학왕이란 만화에서 보는게.. 절대 판타지가 아니고 현실중일부라 느껴지기도 하구요..
등록금은 낮춰지고 사라지면 더 좋겠지만.. 불필요한사람들까지.. 남이하는거 나도한다라는 느낌으로 가는 대학이라면..
결국에 남는건 그냥 경쟁력약화라고 밖엔 생각이 안듭니다..
14/07/26 22:40
수정 아이콘
독일이랑 우리랑 전혀 실정이 다르죠...

윗 분들말씀대로 대학진학률도 차이나고 고졸에 대한 인식 그리고 인문계, 실업계에 대한 인식이 하늘과 끝입니다.
바우머리돌
14/07/26 22:4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선 빨갱이 소리만 안들어도 성공일듯
Mephisto
14/07/26 22:50
수정 아이콘
등록금 폐지는 모든 국민의 대학교 졸업을 목표로 하는게 아닙니다...
물론 우리나라는 그렇게 되겠지만요.
공부하고 싶지만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거죠.
애초에 등록금은 무료로 하고 졸업이 정말 힘들도록 하는게 맞는겁니다.
그래서 어지간한 마음가짐으론 대학교에 입학 할 엄두를 못내게 하는거죠.
해원맥
14/07/26 22:51
수정 아이콘
고작 70만원....(2)
Mephisto
14/07/26 22:52
수정 아이콘
대학교는 공부할 마음가짐이 있는사람이 가는곳이지 등록금 낼 여유가 있는 사람이 가는곳이 아니어야 합니다.
14/07/26 23:38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바밥밥바
14/07/27 08:57
수정 아이콘
재청합니다.

아무나 대학가게 해준다그러면 학벌이란게 없어지겠죠. 그러면 자연히 대학가기 싫은 사람들은 대학안가고 고졸로 남습니다
그래도 오면요? 졸업 빡시게 하면 됩니다. 공부안하고 의욕없고 소양없으면 졸업장 안주는거죠.
그러면 자연스레 공부 싫은사람은 고졸로 살겁니다.
문제는 있을 수 있습니다. 고졸 대졸 차별이 유지된 상황에서의 문제, 졸업비리 문제 하지만 그거때문에 장 못담글 필요는 없죠
대학이 학벌로 돈장사를 하는데 이거부터 없애면 대학이 부리는 권력은 사라질겁니다
낭만토스
14/07/26 23:46
수정 아이콘
대학은 +@가 되어야하는거지
기본소양이 되면 안되죠

한국의 문제는 바로 거기에 있죠
고졸은 사람취급도 안하고
그렇다고 대졸도 너무 많아서 경쟁력이 없음
표절작곡가
14/07/27 00:10
수정 아이콘
독일 대학에 등록금이 있다고????
해서 들어와봤네요~~

실제로 등록금 있는 음대는 있습니다....
라이프치히 음악대학인데요....

한학기에
유럽인 900유로(125만원)
비유럽인 1800유로를 받습니다...(250만원)
이 건도 학생들이 그렇게 반대를 했는데
그냥 밀어부치긴 하더라구요~~

그래도 올놈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22459 [기타] [기타] 역사속 기록사진.jpg [스압] [16] 10370 14/10/23 10370
221501 [기타] [기타] 독일의 과학력은 세계 제이이일!! [19] 축생 밀수업자7556 14/10/15 7556
219229 [기타] [기타] 18세기 마데인 독일의 위엄 [7] 요정 칼괴기6155 14/09/24 6155
219061 [기타] [기타] 수도 맞추기 Q&A 10 [10] Duvet4987 14/09/23 4987
218503 [기타] [기타] SBS 예능국 PD 입사시험 필기시험문제 [31] Jinx13938 14/09/17 13938
217288 [기타] [기타] 들으면 자연스럽게 따라부르는 노래 [32] 가호리6792 14/09/03 6792
217051 [기타] [기타] 테란유닛 대사 모음 [14] 이승훈20721 14/09/01 20721
214206 [기타] [기타] 생애 처음 초원을 본 젖소들 [13] Typhoon8267 14/08/04 8267
214091 [기타] [기타] 동백아가씨를 부르던 독일 [3] Cazellnu4714 14/08/03 4714
213473 [기타] [기타] 등록금으로 고통받던 독일 대학생들의 해결책 [44] 7569 14/07/26 7569
213321 [기타] [기타] 엄청 불친절한 RTS 게임 중 하나 [6] 요정 칼괴기4771 14/07/25 4771
213160 [기타] [기타] '한국어 잘한다'의 경지를 벗어나는군요~~ [24] 표절작곡가9561 14/07/24 9561
213119 [기타] [기타] 조직이 존재하는 동안 존재할 불멸의 명언 [25] 요정 칼괴기8765 14/07/23 8765
212213 [기타] [기타] 독일 대표팀이 브라질 월드컵에서 하고 간 선행.jpg [27] 삭제됨6372 14/07/15 6372
210139 [기타] [기타] 죽기전에 자신에 대한 문서는 꼭 챙겨서 소각해야 하는 이유 [7] 요정 칼괴기6605 14/06/26 6605
209945 [기타] [기타] 오스트리아랑 오스트레일리아의 어원 [5] 요정 칼괴기8487 14/06/25 8487
209851 [기타] [기타] 독일에서도 외계인을 고문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10] 삭제됨6741 14/06/24 6741
209623 [기타] [기타] 러시아가 독일을 이길수 있던 이유 [12] 잔인한 개장수8684 14/06/22 8684
208652 [기타] [기타] 2차 세계대전, 독일의 폴란드 침공 시작.jpg [7] 삭제됨6800 14/06/13 6800
208599 [기타] [기타] 아트 슈피겔만 [쥐] 하드커버 합본 출간 [21] 미캉5417 14/06/12 5417
205925 [기타] [기타] 1차 대전 통신병들 [6] 요정 칼괴기5978 14/05/19 5978
203803 [기타] [기타] [밀덕, 겜덕]hearts of iron IV의 지상전 교리 아이콘들 [4] 요정 칼괴기2928 14/04/29 2928
202977 [기타] [기타] 드루이드 사진가 [38] 하루타8136 14/04/21 81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