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기사, 정보, 대진표 및 결과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은 [게임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4/03/19 23:35:46
Name 드리밍
Subject [대학내일] 테란군 이끄는 ‘천재 테란’ 프로게이머 이윤열
프로게이머 이윤열





테란군 이끄는 ‘천재 테란’

‘한 게임’ 하러 PC방을 찾는 대학생들, 여전히 많다. 저녁 무렵에 찾아가면 빈자리 찾기가 힘들 정도다. ‘한 스타’ 하는 대학생은 베틀넷 이곳저곳을 기웃거리며, 게임고수 사냥에 나선다. 하지만 워낙 유저 대부분의 내공이 출중하기 때문에 이기기 쉽지 않다. 매너 좋은 패배자는 GG(굿 게임)를 치지만, 그렇지 않으면 욕설이 올라오기도 한다.^^; 청소년 대학생 직장인 등 폭넓은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 스타크래프트, 그 인기가 좀처럼 사그라들줄 모른다.


게임 전문용어(?)로 ‘치트키’라는 게 있다. 이는 뽀빠이의 시금치와 동격이다. 치트키만 사용하면 원하는 유닛을 마음껏 뽑을 수 있다. 파워 역시 배가시킬 수 있다. 당연히 고수들이 노는 물에서는 사용 금지다.

하지만 가끔 이같은 불법(?) 행위를 하는 게 아닌가 의심되는 스타크레프트(스타) 프로게이머가 있다. 바로 ‘천재 테란’ 이윤열(20) 선수다.

약관을 갓 넘은 이 앳된 얼굴의 소유자는, 관객이 게이머 간의 전투에 넋을 잃고 쳐다보는 상황을 틈타 치트키를 사용한다, 아니 사용하는 듯 하다.

모든 게이머에게 공정한 조건이 주어지지만, 마치 마법이라도 쓴 듯 그의 기지에는 탱크가 그득하다.

그 수많은 탱크가 일제히 진군하는 장관이란... 이같은 모습에 상대방은 대부분 ‘허걱’ 할 수밖에 없다. 뻔히 알면서도 진다는 하소연이 나온다. 가히 ‘스타 머신’이라고 소리, 들을 만하다.

하지만 이윤열 선수는 “단지 탱크 뽑는 비율이 높을 뿐”이라고 항변(?)했다. “데뷔 때 탱크를 많이 뽑아서 ‘토네이도 테란’이라고도 하더군요. 저는 개인적으로 머신이라는 소리는 듣기싫어요. 왜냐하면 인간이 아니고, 기계잖아요.(웃음) 머신보다는, 그냥 ‘잘하는 테란’이면 좋겠어요.”









이윤열도 베틀넷 간다

하지만 최근에는 경기 스타일이 예전과 달라졌다는 말이 많다. 과거처럼 화면을 꽉 채울 만큼의 탱크를 지휘해 ‘한방 러시’로 끝내는 게임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대신 전술 의존도가 높아졌다. 컨트롤 능력도 덩달아 강화됐다. 흔히 테란 하면 ‘컨트롤은 황제 임요환, 물량은 천재 이윤열’이라는 말이 정석이었다. 그런데 이제 이윤열 선수가 황제의 주특기까지 넘보기 시작한 것이다. “요즘 너무 잘들 해서 쉽게 이기지 못해요. 그래서 전략을 많이 생각하고 있어요. 그러다보니 여러 가지 신기한 전략도 나오죠. 위험한 전략을 쓰려면 심장이 강해야 해요. 왜냐면 전략을 쓰다가 들키면 질 수 있으니까요.”

요즘 밤새 게임하면서 스타를 연습하는 유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웬만큼 한다’ 해서는 아마추어 고수 축에 들기도 쉽지 않다. 패배가 많아 전적이라도 나쁘다 싶으면, 베틀넷 팀플전(팀끼리 하는 게임)에 끼워주지도 않는다. ‘한 게임’ 하고 싶어서 들어가도, ‘퇴출’ 당하기 일쑤다.

이처럼 게임 마니아가 늘었기에, 프로게이머 사이의 경쟁도 피를 말린다. 밤새 연습해도 부족할 것 같은데... 하지만 이윤열 선수는 “그렇게까지 오래 (컴퓨터를) 붙잡고 있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오래 하는 것보다는 짧은 시간이라도 집중력 있게 연습하는 게 중요하다고. “왜 그걸 오랜 시간 붙잡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저희 프로게이머들도 정상적인 생활을 하거든요. 잠도 자고... 밤새는 것보다는, 짧은 시간이라도 집중력을 다해서 하는 게 효과적이죠.”

여담 하나! 프로게이머도 베틀넷에 자주 들어간다. 주로 ‘몰래 아이디’로 프로게이머끼리 연습한다고. 하지만 가끔은 일반 게이머들과도 게임을 하곤 한다. 그건 이윤열 선수도 마찬가지. 그런데 대부분의 유저는 자신이 “이윤열 맞다”고 해도 안 믿는단다.^^; 현란한 솜씨를 보여주면, 그제야 “진짜군요”한다고. 그때 이선수는 살짝 웃어준다나.


천진난만해 보이는 얼굴 뒤에 엄청난 승부욕을 가진 이윤열 선수. 그의 뇌리 속에는 즐거웠던 승리보다, 패배의 쓰라림에 대한 기억이 많다.

진 경기는 대부분 잊지 못한다고. 하다못해 2~3년 전에 졌던 경기까지도 기억하고 있다. 특히 “몇 달전 최연성 선수에게 당한 패배는 쉽게 잊혀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3 대 1로 졌는데요. 그때 느꼈어요.

제가 웬만해선 잘 인정 안하는데. ‘실력이나 컨트롤, 상황 판단 등 모든 면에서 졌다’는 걸 인정했어요.”

이윤열 선수는 지고 돌아온 날에 주로 음악을 듣는다. “한숨을 쉬다가 음악을 크게 틀어요. 조용하고 슬픈 음악을 좋아해요. 슬픈 음악을 크게 들어서 더 우울해져요.(웃음) 그게 좋아요. 우울한 게 좋아요.”

하지만 이렇게 슬퍼만 했다면, 지금의 천재 테란을 볼 수는 없었을 것이다. 한번의 패배는 다시 기폭제가 된다. 이윤열 선수는 음악을 들으면서 의지를 다진다. ‘왜 졌지. 그래 다음에는 절대 안 진다.’ 그리고는 다시 이를 악문다. 반드시 되갚아줘야 한다는 생각에서다. 다시 그 게이머와의 시합이 예정되면, 연습을 두배로 한다. 무조건 이기기 위해...

이윤열 선수가 스타를 처음 접한 건 중학교 시절 친구를 통해서다. 그때까지 컴퓨터 게임에 대해 잘 몰랐던 그에게, 친구가 ‘스타 스승’이었던 셈이다. “스타를 하기 전에는 컴퓨터 게임이라는 걸 별로 몰랐어요. 테니스와 비슷한 정구라는 운동을 했는데요. 천식이 있어 그만두게 됐죠. 그러고 나니 할 게 없더라고요. 공부 열심히 해볼까 하는 타임에 게임을 알게 됐죠. 공부할 때는 칭찬 많이 받았는데, 게임한다니까 많이 혼났어요. 원래 성적이 나빴는데, 더 떨어지고.”(웃음)










스타 탄생 전주곡 ‘고수를 이겨라’

PC방을 전전하던 이윤열 선수는 부모에게 많이 혼났다. 믿었던 아들이 ‘오락에 미쳐 사는’ 걸 보는 부모님 마음은 장난이 아니었으리라. 이선수는 경북 구미에서 서울까지 게임판을 찾아다녔다. 그러다가 드디어 기회가 찾아왔다.

고등학교 1학년 겨울방학. iTV의 ‘고수를 이겨라’ 코너에서, 당대 스타계를 주름잡던 최인규 선수를 꺾는 이변을 일으킨 것이다. 그뒤 여러 대회에서 우승하며, 이름을 날렸다. 그리고 현재 한국e스포츠협회가 선정하는 프로게이머 랭킹 1위를 1년 가까이 고수하고 있다. 집에서의 대접도 달라졌다. 특히 아버지는 “집에서 아들 게임하는 걸 보는 게 낙(樂)”이란다. 이기면 친척들에게 전화해 자랑도 한다고.

이제 3월이면 이윤열 선수도 어엿한 대학생이다. ‘21세기 글로벌 리더’ 수시모집 전형을 통해, 인하대 컴퓨터공학부에 합격한 것이다. 04학번 예비 새내기, 설렘과 걱정이 교차한다. “컴공이 어렵다고 들었어요. 게임도 해야 하니까,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 다는 게 힘들 일인 건 아는 데 한번 부딪혀 보려고요.”

이윤열 선수는 앞으로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어보고 싶다”고 밝혔다.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교수 면접을 볼 때도 “게임을 어떻게 만들어야 재미있는지 잘 안다”며 멋진 프로그래머가 되고 싶다고 말했단다. “프로게이머를 하면서도, ‘이렇게 하면 더 재미있을 건데’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어요. 그런 점을 보완해서 게임을 만들고 싶어요.”

이미 랭킹 1위인데도 이윤열 선수의 승부욕은 끝이 없다. 팬들에게 더욱 멋진 게임으로 재미와 감동을 주고, 나중에는 게임을 직접 만들고 싶다는 이선수. 언젠가 스타를 넘어설, 새로운 전설을 들고 나타나길 기대해본다.

이원순 기자 blue@naeil.com·임민철 Studio Zip





---



sg홈페이지 펌

그리고;

-이윤열 선수는 “단지 탱크 뽑는 비율이 높을 뿐”이라고 항변(?)했다.-
이부분은 정말-_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솔리타드제이
04/03/20 01:56
수정 아이콘
대학생활은 만만한게 아니죠...
진도도 엄청 빠르고...몇일 못따라잡으면 벌써 저만큼 가있고..
하지만 이윤열선수의 집중력과 승부근성이라면 잘하리라 믿어요..

그나저나 인하대 다니는 친구보러 친하게 지내라고 했는데...
아직 소식이 없네요....-_-;;....
04/03/20 08:04
수정 아이콘
게임과 대학생활.. 두가지 모두 잘해낼것이라고 믿습니다..윤열선수.
04/03/20 12:28
수정 아이콘
게임 전문용어(?)로 ‘치트키’라는 게 있다. 이는 뽀빠이의 시금치와 동격이다. 치트키만 사용하면 원하는 유닛을 마음껏 뽑을 수 있다. 파워 역시 배가시킬 수 있다. 당연히 고수들이 노는 물에서는 사용 금지다. // 스타를 제대로 알고나 쓰는건지..;
엄마쟤흙먹어
04/03/20 16:05
수정 아이콘
‘실력이나 컨트롤, 상황 판단 등 모든 면에서 졌다’는 걸 인정했어요.”
이말 압권이네요.
엄마쟤흙먹어
04/03/20 16:07
수정 아이콘
사실 제가봐도 요즘 테란유저중에서는 최연성선수는 정말 완성형 테란입니다. 정석 바이오닉,메카닉도 최고일뿐 아니라, 변칙플레이까지, 게다가 물량도 프로게이머들중에서도 손가락안에 꼽을 수 있는. 최연성선수를 그다지 좋아하는편은 아니지만(죄송) 정말 완성현 테란같습니다.
Ms.초밥왕
04/03/20 16:22
수정 아이콘
이봐, 나다!
이번에 목요일날 이겨서 결승에서 머슴을 보란듯이 이겨보라고!
머슴에게 "실력이나 컨트롤, 상황 판단 등 모든 면에서 너가 이겼다' 라고 인정받으라고~!


..............나의 인하대 친구는 이윤열 선수 안보고 뭐하고 있으까..ㅠㅠ
저에게도 아무 소식이 없네요....-_-;;
ZeRgGirL
04/03/20 16:24
수정 아이콘
치트키는 싱글플레에서만 가능한건데...고수들이 노는물에선 사용금지라니요.ㅡㅡ;
기자분이 배틀넷을 접속한적이 없으신게 아닐까 하는...
04/03/21 01:03
수정 아이콘
역시 이윤열 선수... 제가 생각하는 이윤열 선수의 대단한 점은 패배를
통해 두배로 강해진다는 점입니다. 예전에 이윤열 선수의 천적이었던
주진철 선수의 경우도 한번 파악이 되니까 순식간에 따라잡았었죠.
물론 그것은 이윤열 선수의 엄청난 승부욕때문이기도 하지만 정정당당히
패배를 인정할 줄 아는 그의 겸허한 태도가 발전의 밑바탕이 된게 아닌가
싶습니다. 지금도 최강이지만 계속 진화하고 있기에 더욱 무서운 이윤열 선수, 앞으로 승리로 보여줄거라 믿습니다. 대학생활도 잘하세요. ^^
아다치 미츠루
04/03/21 03:29
수정 아이콘
이제 '이윤열' 이라는 이름만으로 많은 걸 보여 주는 듯,, 날 흥분시키는 유일한 게이머,,, 담주 줄줄이 중요한 경기 있는데,, 화이팅이요..
04/03/21 09:26
수정 아이콘
멋지게 자신의 패배를 인정할줄 아는 진정한 지존...이윤열.
경기 내용만큼 깨끗한 패배의 인정이 보기 좋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44 [듀얼인터뷰] 연승기록 박태민, 신예돌풍 전상욱, 찬란하게 빛나리라 이재훈 [7] 드리밍3330 04/03/22 3330
743 [듀얼인터뷰] 스타리그 본선 진출 반드시 이룬다 '뚝심 토스' 조병호, 신예 돌풍의 핵 '포스트 임요환' 한동욱 [1] 드리밍2877 04/03/22 2877
742 [온게임넷] [관전포인트] 2003 온게임넷 3rd 듀얼토너먼트 개막 [6] 드리밍3306 04/03/22 3306
741 [NHN한게임 스타리그 결승] 준우승 전태규 인터뷰, 결승전의 진정한 승자는 바로 팬 [8] 드리밍3843 04/03/22 3843
740 [NHN한게임 스타리그 결승] 우승자 강 민 인터뷰, 전태규 "오늘 밤에 남자이야기가 나올 것" 등 이모저모 드리밍3969 04/03/21 3969
739 [NHN한게임 스타리그 결승] 강 민 `준우승 징크스는 없다' 3대1로 우승 [3] 드리밍3615 04/03/21 3615
738 [스포츠조선] 23일 온게임넷 3차 듀얼 토너먼트 개막 [5] 드리밍5332 04/03/21 5332
735 [온게임넷] '폭풍 전의 고요' 21일 NHN한게임 결승앞둔 강 민-전태규의 엇갈리는 모습 [8] 드리밍3609 04/03/21 3609
734 [온게임넷] 김영미-홍진호, 이은경-이윤열조 누르고 인텔배 베스트 커플전 결승 안착 (이모저모포함;) [8] 드리밍3677 04/03/20 3677
733 [듀얼인터뷰]이제 온게임넷스타리그 정복에 나선다.최연성,10연속 스타리그진출 신화에 도전한다.임요환 [18] 드리밍4230 04/03/20 4230
731 [대학내일] 테란군 이끄는 ‘천재 테란’ 프로게이머 이윤열 [10] 드리밍5225 04/03/19 5225
729 [듀얼인터뷰]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초감각테란'김정민,'3전4기'스타리그진출을 염원한다'불꽃테란'변길섭 드리밍4040 04/03/19 4040
728 [듀얼인터뷰] 2번째 우승을 향해 간다, '악마토스' 박용욱, 무지개빛 승리를 꿈꾼다, '무지개토스' 김성제 [3] 드리밍4389 04/03/19 4389
727 [온게임넷] 전태규 결승전에서 '리바이스 맨'으로 변신, 리바이스와 계약 앞둬 [9] 드리밍4138 04/03/19 4138
726 [일간스포츠] 임요환, 온게임넷 스타리그 10연속 진출하나? [22] 드리밍5650 04/03/18 5650
725 [온게임넷] '좌절은 없다' 서경종과 안석열 1승 신고, '박정석과 임요환을 꿈꾼다' MBC게임 루키특별전 [2] 드리밍3579 04/03/18 3579
724 [온게임넷] [인터뷰] 듀얼토너먼트 승률 100% 조용호, 최다승 베르트랑, 듀얼의 사나이 성학승 [17] 드리밍4702 04/03/18 4702
723 [온게임넷] 천재 테란 이윤열은 "음식도 천재", 유니폼은 7만5000원에 팔려 [5] 드리밍4348 04/03/18 4348
722 [온게임넷] 강 민-전태규, 조규남-이명근 감독 NHN한게임 스타리그 결승 출사표 (관전포인트포함;) [11] 드리밍3662 04/03/18 3662
721 [스포츠투데이] 스타크 천하는 끝났다… ‘워3’ 대중화 [10] 드리밍3348 04/03/18 3348
720 [스포츠투데이]강민vs전태규 한게임배 스타리그 결승[카툰]Coming Soon! NHN한게임 스타리그 결승전 [7] 드리밍2912 04/03/18 2912
718 [스포츠투데이] 오크종족 첫진출 우승보다 값지다 [6] 드리밍7645 04/03/18 7645
716 [연합뉴스] <게임풍향계> 워크래프트3, '스타' 후계자 될까 [12] 드리밍3628 04/03/17 36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