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7/20 00:58:17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161064894
Subject [일반] <바비> - 독특하고 이상한 바비랜드.(약스포)

원래 <바비>를 볼 생각은 별로 없었습니다. 그러니까, 그닥 구미가 당기지 않았다고 해야할까요. '바비 인형'이라는 소재로 어떤 이야기를 할 지, 솔직히 감이 오지 않았던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저는 감독과 각본의 이름을 보고 이 영화를 보러 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두 이름은, 노아 바움백과 그레타 거윅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이 두 사람의 이름을 보고서 평범한 영화는 아니겠다. 라고 생각했고, 그 예상은 한 60%에서 70%는 맞았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이 영화의 초반부는 블랙 코미디입니다. 그러니까, 메타 코미디도 꽤 많이 나오구요. 진지한 얼굴로 뻥을 치거나 혹은 농담을 던지는 류의 코미디가 많이 나옵니다. 그리고 타율은... 솔직히 잘은 모르겠어요. 그러니까 웃기다가도 혼란스럽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아주 매끄러운 코미디나 혹은 매끄러운 전환들을 보여주는 영화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동시에, 아무래도 여름철에 개봉하는 영화다 보니 넣게 된 요소들이 영화의 내적 요소들과 정확하게 맞물리고 있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이 영화를 보면 결국 감정을 배우게 된 어떤 존재, 혹은 인간의 삶에 대해서 깨닫게 된 어떤 존재에 대한 이야기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저는 이 영화의 결말부는 <소울> 내지 더 멀리 가자면 동화 피노키오가 생각났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기에, 그런 선택을 하고, 그런 결말을 냈다는 점에서요.


결국 이 영화는 당연하지만 어떤 여성의 서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 이면에서 '켄'을 통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꺼내놓고, 또 무게추를 너무 한 쪽에 쏠리지 않게 세심하게 배려했다곤 하지만, 결국 이 영화의 타이틀이 '바비'인 만큼 그런 이야기에 무게 중심이 쏠려 있다고 할 수 있겠죠.


세심한 연출에 덧붙여 배우들의 연기가 돋보입니다. 찌질함과 이상함을 동시에 보여주는 라이언 고슬링이 초반부를 캐리하면, 후반부에선 마고 로비가 좋은 연기를 보여줍니다. 개인적으로 '켄'이라는 캐릭터의 스핀오프까진 바라지 않지만, 후일담 비슷한 짧은 OTT용 단편은 나와도 재밌을 거 같아요. 크크


개인적으로는 어떤 소재의 한계, 내지 서사 없는 원작의 어려움을 최대한 극복해보려고 했지만, 여전히 드러나는 작품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물론 영화의 요소들에 대해서 호불호가 갈릴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저는 그래서 이 영화는 연출과 연기를 받아들이는 정도가 그 허점을 가릴 수 있느냐 없느냐에 이 영화에 대한 평가가 갈릴 지점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eglacerLesSucs
23/07/20 11: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바비인형에 대해서는 살면서 관심을 가져본 적이 없는데 감독의 전작 레이디 버드를 재밌게 봤었기 때문에 한번 볼까 고민 중입니다. 예전이었으면 일단 봤을 거 같긴 한데 확실히 티켓값 오른 게 판단에 영향을 주긴 하는 거 같아요 후기 여기저기서 좀더 올라오면 좀 확인해봐야곘습니다
aDayInTheLife
23/07/20 16:39
수정 아이콘
좀 애-매 하긴 했어요. 영화 자체가 좀 부실한 거고 그걸 컬러와 연기, 연출로 커버해보려는 느낌이라.
DeglacerLesSucs
23/07/20 18:3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안그래도 오펜하이머 봐야 하는데 그냥 넘기고 혹시라도 넷플에 뜨면 그때 고려해야겠습니다. 설명 감사드립니다 주말 잘 보내셔요!
웃어른공격
23/07/20 11:26
수정 아이콘
핑크핑크한 마고로비나 보러가야지 했는데...

페미논란으로 싸우는 게시글들이 좀보여서 아쉽더라구요
aDayInTheLife
23/07/20 16:40
수정 아이콘
뭐 그런 얘기가 없을 수는 없는 소재이긴 합니다. 크크
김매니져
23/07/20 11:52
수정 아이콘
전체적으로 어중간하고 얼마전 킬링 로맨스와 겹쳐보여서 뜬금 웃음 포인트가 되더군요. 크크
aDayInTheLife
23/07/20 16:40
수정 아이콘
킬링 로맨스 제 지인이 보고 만든 놈이 또라이(?)라면서 극찬 하더라구요. 크크 궁금하네요.
커피스푼
23/07/20 13:21
수정 아이콘
구글에서 그레타 거윅을 검색해 보세요
aDayInTheLife
23/07/20 16:41
수정 아이콘
바비, 마고 로비, 라이언 고슬링도요!
송파사랑
23/07/20 16:37
수정 아이콘
페미니즘이고 뭣이고 다 떠나서 노잼입니다.
aDayInTheLife
23/07/20 16:41
수정 아이콘
충분히 그렇게 여기실 수 있다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517 [일반] 서울시의 새 도시브랜드 "Seoul, My Soul"이 발표되었습니다... [128] 찬공기16710 23/08/16 16710 2
99516 [일반] 뉴욕타임스 7.29. 일자 기사 번역(중동의 가뭄, 물 분쟁) [22] 오후2시14678 23/08/15 14678 5
99515 [일반] [노스포] <오펜하이머> 후기, 슴슴한 맛이 의외였지만 놀란은 놀란 [35] 김유라14023 23/08/15 14023 5
99514 [정치] 2021년의 독립기념 성명서 [16] 상록일기13273 23/08/15 13273 0
99513 [정치] [공범자들] 언론장악 다큐멘터리 (8월 18일 까지 무료공개) [19] Janzisuka11951 23/08/15 11951 0
99512 [정치] 왜 좌우 모두 언론을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생각할까? : 공중파에 대한 시선 [143] 사람되고싶다17313 23/08/15 17313 0
99511 [일반] <오펜하이머> - 하나의 거대한 변곡점.(스포) [53] aDayInTheLife12438 23/08/15 12438 3
99509 [정치] 오늘 날짜를 착각한 것으로 보이는 윤석열의 경축사 [170] 검사23022 23/08/15 23022 0
99508 [일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핵구름이 즐겁지 않다 [115] 상록일기32431 23/08/15 32431 35
99507 [일반] [팝송] 일레니엄 새 앨범 "ILLENIUM" 김치찌개8634 23/08/15 8634 0
99506 [정치] 대통령실 강승규 수석, 특정인사에 “출마 자제” 녹음파일 [58] 덴드로븀16149 23/08/15 16149 0
99505 [일반] [스포] 독일에서 본 오펜하이머 후기 [11] Jedi Woon13819 23/08/14 13819 2
99503 [일반] 경찰 “서이초 교사 사망, 학부모 혐의 못 찾아” [88] 검사21561 23/08/14 21561 6
99502 [일반] [노스포] 무빙 1화-7화 간단 감상평 [66] 윤석열13376 23/08/14 13376 1
99501 [정치] 잼버리에 대한 현정권씨와 전정권씨와 국민의 인식 [97] 덴드로븀18486 23/08/14 18486 0
99500 [일반] [강스포주의] 밑의 <콘크리트 유토피아> 에 대한 추가 비평 [28] 김유라13225 23/08/14 13225 6
99499 [정치] 오래된 영화 A Few Good Man [4] singularian11371 23/08/14 11371 0
99498 [일반] [노스포] <콘크리트 유토피아> 후기, 기본기는 출중했으나 부족한 각본 [21] 김유라10951 23/08/13 10951 2
99496 [정치] 국민의 힘 신원식 국회의원: 해병대 전 수사단장은 좌파들과 연계의심 [45] 기찻길18251 23/08/13 18251 0
99495 [일반] [팝송] 벨리 새 앨범 "Lost In Translation" 김치찌개9046 23/08/13 9046 1
99494 [일반] [풀스포] 차라리 신파였으면 나았을 갈팡질팡: 콘크리트 유토피아 [67] Farce19664 23/08/12 19664 23
99493 [정치] 가볍게 보는 22년vs23년 영향력 있는 정치인 여론조사 [74] 사브리자나16408 23/08/12 16408 0
99492 [일반] 한국의 미래와 제왕학의 사회적 활용 [49] 깐부14396 23/08/12 14396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