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6/17 23:41:06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131678620
Subject [일반] <익스트랙션 2> - 계승과 가능성 탐구의 연장선.

<익스트랙션 2>가 공개되었습니다. 짧고,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전작의 장점을 살리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해본 영화의 느낌이 납니다. 바꿔말하면, 시리즈의 혁신이나 새로움은 확실히 떨어지긴 합니다.


<익스트랙션 2>의 이야기는 굉장히 단순하고, 엄밀히 따지자면 세 연속된 장면의 연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구출, 두 번째 위기, 세 번째 결판이라는 아주 심플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약간의 플롯 상 변주를 주고 있긴 한데, 저는 좀 많이 아쉽습니다. 그러니까 조금은 완성도든 뭐든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고 해야할까요.


영화의 방식은 셰이키 캠과 약간은 거친 감이 느껴지는 롱테이크 액션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따지자면 <존 윅 시리즈>의 그림자보다는 <본 시리즈>의 그림자가 조금 더 드리워진 작품입니다. 비슷하게 액션에 집중했던 넷플릭스 영화로 <6 언더그라운드>를 떠올리게 될 수도 있는데, 훨씬 거칠고 폭력적인 비주얼을 보여줍니다. 카메라 워킹이나 영화의 수위나 18세 이용가의 거친 면을 활용했다고 생각이 드네요.


다만, 동시에, 분명 초반 탈출 장면의 롱테이크에 비해서 후반부로 갈수록 힘이 빠지는 느낌도 없지 않습니다. 제가 <존 윅 4>를 보면서 느낀 점은, 액션 영화에서 필요한 것은 아이디어와 그 활용에 있다는 생각이었습니다. 하지만, <익스트랙션 2>는 개인적으로 액션이라는 분야에서 수위와 자극성이라는 측면에서 더 강화한 속편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더라구요. 과장된 폭력과 거친 카메라 워킹은 분명 매력적이지만 동시에 롱테이크의 신기함을 빼면 이 영화에서 새로운 지점을 찾아보긴 좀 힘들긴 합니다.


쓰면서 이 영화를 공정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가능할까, 란 의문은 들긴 합니다. 이 영화는 만 7천원을 주고 극장에서 볼 수 있는 영화도 아니고, 어디를 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솔직히 말하자면 딴 짓하면서 본 영화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본질적으로 넷플릭스 단독 공개, 그리고 이야기의 밀도도 그닥 높지 않은, 어찌보면 유튜브 클립형 내지 짤방형 영화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낭만원숭이
23/06/18 03:04
수정 아이콘
게임으로 나오면 재밌을꺼 같아요.
전체적인 느낌이 콜옵시리즈 하는거 같았어요
aDayInTheLife
23/06/18 07:18
수정 아이콘
약간 그런 생각도 들더라구요. 크크크 게임의 영향도 받은 느낌리었습니다.
마스터충달
23/06/18 06:36
수정 아이콘
저는 보고 <카터>의 완성형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크크크
aDayInTheLife
23/06/18 07:19
수정 아이콘
저는 카터를 못봐서 그런지 하드코어 헨리가 떠오르더라구요. 크크크
만찐두빵
23/06/18 11:22
수정 아이콘
오 저도 딱 이 느낌인거 같네요. 카터 공방업 버전
뉴진스
23/06/18 06:41
수정 아이콘
저도 게임같다고 느꼈습니다. 첫번째 탈출에선 의도적으로 숄더뷰를 채택해서 진행하는 느낌..
저는 전편과 더불어 충분히 재미있게 봤습니다. 존윅과 다른, 액션으로 보는 사람을 가득 채워준다랄까요.
특히 닉 맡은 배우 너무 좋아요!
aDayInTheLife
23/06/18 07:19
수정 아이콘
닉 캐릭터가 꽤 인상적이었죠. 배우분도 크크
끊김 없는 연출이란 측면에서는 갓 오브 워 느낌도 살짝 나더라구요.
네오크로우
23/06/19 03:36
수정 아이콘
어쩌다 보니 존윅4를 네이버 시리즈 온에서 무료로 보고 바로 이어서 넷플서 익스2를 봤는데, 흐흐흐 액션 뽕을 정말 지리게 느꼈습니다.

다만 말씀대로 막판에 익스2가 좀 힘이 빠지긴 하더군요. 이미 탈출 신과 빌딩 신으로 몸이 달아올라서 뭔가 화끈하길 기대했는데
정작 클라이맥스에는 좀 심심하긴 했습니다.

총격전 중 근접 액션은 확실히 키아누 형 보다는 햄식이 형이 묵직하면서도 빠릿빠릿하더군요.
aDayInTheLife
23/06/19 08:18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나이의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흐흐흐
익스2도 나쁘진 않은데 이걸 극장에서 봤으면 어땠을까란 생각은 들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070 [정치]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된다면 그 방사선 양은 사고당시 유출된양과 어떻게 다른가? [192] 김은동13233 23/06/27 13233 0
99067 [일반] 시험도 시험봐야 하지 않을까? [31] 번개맞은씨앗11079 23/06/26 11079 2
99066 [일반] 러시아, 자포리자 원자로 4개 폭파 준비 완료 [34] 김경호13903 23/06/26 13903 0
99064 [정치] 與 '횟집 가기 챌린지'...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괴담 '맞불' [82] 톤업선크림14651 23/06/26 14651 0
99063 [일반] 자영업자 이야기 - 직원 뽑기에 실패하였습니다. [46] Croove14952 23/06/26 14952 21
99062 [일반] 그래서 등산용 스틱 어떻게 쓰는거래요? [26] 캬라10898 23/06/26 10898 12
99061 [일반] RTX 4060 3D마크 벤치마크 유출, RTX 3060 12GB보다 평균 23% 우위 [9] SAS Tony Parker 10761 23/06/26 10761 1
99060 [일반] [서베이] 정시와 수시 중에 무엇이 더 공평할까? [141] youknow0416549 23/06/26 16549 14
99059 [일반] 사람 인연이란게 참 어렵습니다 [22] 비니루다11321 23/06/26 11321 5
99058 [일반] 집 나간 적 없는 꿈을 찾습니다 下편 (내가 찾은 꿈의 결론은? 또태지) [2] 두괴즐9873 23/06/25 9873 6
99057 [일반] 네덜란드와 일본이 조만간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통제를 시작합니다. [39] dbq12317042 23/06/25 17042 9
99056 [일반] [웹소설] 이번 지상최대공모전에서 주목할 만한 신작들 [21] meson13246 23/06/25 13246 6
99055 [정치] 티베트 망명정부의 입장이 나왔네요 [101] 아이스베어17338 23/06/25 17338 0
99054 [일반] 바그너 쿠데타 사태 - 결국엔 정치싸움. [127] 캬라19973 23/06/25 19973 18
99053 [일반] "본인의 단점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21] 회색사과11731 23/06/25 11731 8
99052 [일반] [속보] 프리고진 "유혈사태 피하고자 병력 철수 지시" [66] 강가딘17468 23/06/25 17468 0
99051 [일반] [팝송] 조나스 브라더스 새 앨범 "The Album" 김치찌개7626 23/06/25 7626 1
99050 [일반] [개똥글] 이성계와 가별초 [17] TAEYEON10881 23/06/24 10881 27
99049 [일반] 바그너그룹에서 발표한 공식 입장문(BBC 피셜) [113] 김유라32109 23/06/24 32109 13
99047 [일반] 러시아에서 쿠데타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20] TAEYEON17221 23/06/24 17221 2
99046 [정치] 몇 십년도 지난 일을 가지고 부각하는게 국익에 도움이 됩니까? [115] dbq12322022 23/06/24 22022 0
99045 [일반] 여러분은 '성찰'하고 계신가요? [20] 마스터충달10139 23/06/24 10139 11
99044 [일반] [잡담] 참을 수 없는 어그로...그 이름 황우석 [33] 언뜻 유재석12726 23/06/23 12726 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