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2/19 23:34:59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021143365
Subject [일반] <다음 소희> - '다음'과 '소희' 사이의 서늘함.(약스포) (수정됨)
저는, 웹툰 <부기영화>의 표현을 빌리자면, 관람이 아닌 '목격'하는 영화를 잘 못봅니다. 정확하게는 그런 류의 한국 영화를 잘 못 보는 편이라고 생각해요. 안 보거나 혹은 못 보거나 하는 이유는 이런 저런 이유를 댈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상영 극장이 근처에 없다거나, 바쁘다거나, 뭐 그런 이유들요.) 이번 <다음 소희>를 보면서 조금은 외면해왔던 이유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다음 소희>는 전주 콜센터 현장 실습 학생 자살 사건을 바탕에 두고 있습니다. 전반부는 '소희'가 어떻게 그렇게 되었는가, 그리고 후반부는 '오유진' 형사가 어떻게 상황에 대해 알게 되었는가에 대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그러니까, 개인에게 어떤 일이 있었는가,에 대한 전반부와 그게 시스템에서 어떤 결점이 있었는가에 대한 이야기로 확장되는 후반부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그러니까, 저는 이게 아주 매끄럽진 않았어요. 전환이나 혹은 감정선이 조금은 미묘하게 어긋나 있는 느낌이 들었고, 구조적으로 지나치게 후반부는 교훈적이었거든요. 저는 그러니까, 이 영화의 후반부는 차라리 생략하거나 없앴어도 좋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들어요. 같은 댄스 동아리 내지 학원 수강생이었고, 어떤 공감대를 가지고 있었고, 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행동과 대사가 일침에 집중하고 있는 느낌이 없잖아 들었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를 추천, 혹은 보시라고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그러니까, 제가 이런 류 영화를 못 봤던 이유와 어느 정도는 맞닿아있는 이유인데요. 저도 모든 것들이 긍정적이고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제가 이런 류 영화를 피해왔던 이유는 '두려워서' 였던 것 같아요. 그러니까, 제가 <기생충>을 정말 좋은 영화라고 생각하고, 뛰어난 영화라고 글까지 썼지만, 그걸 두 번 보진 못했던 이유와 동일한 이유라고 이해해 주시면 좋겠어요. 그러니까, <세븐>의 마지막 대사를 자의적으로 따오자면, 세상은 싸울 가치가 있지만, 아름답지는 않다는 이야기에 공감하지만, 그걸 직시하고 바라보는 건 저에게 다른 용기가 필요한 성격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 있어서 <다음 소희>는 너무나도 서늘하고, 너무나도 아픕니다. 저는 제목의 그 '다음'과 '소희'가 이렇게 서늘하고 복잡한 감정을 일으켜 버릴 지, 너무나도 적절하면서도 아픈 제목이 되어버릴지 보기 전엔 몰랐어요. 저는 그러니까, 형사의 캐릭터가 지나치게 일침에, 소위 말하는 '사이다'에 몰려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걸 제외하더라도, 영화의 시선과 영화의 톤이 충분히 건조하고 또 담담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어떤 상처는, 어떤 아픔은 그저 손대지 못하고 가만히 바라보게 됩니다. 섣불리 손댈 수도, 제멋대로 고쳐보겠다고 건드릴 수 없는 그런 상처들이요. <다음 소희>는 솔직히 말하자면, 조금은 아슬아슬합니다. 지나치게 뜨거워질 때가 있고, 감정적으로 과잉이 될 뻔한 순간들이 없지 않아요. 하지만, 저는 이 영화를 보면서 그런 상처를 바라보는 시선이 느껴졌습니다. 억지 힐링이 아니라, 억지 사이다가 아니라, 그냥, 그렇게, 상처를 바라보고 상처에 대해 말하는 시선도 저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p.s. 저는 왜 이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루시드폴의 <평범한 사람>이 귀를 자꾸 맴도는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갈팡질팡
23/02/20 00:15
수정 아이콘
저도 오늘 보고 왔습니다.살다보니 냉소적으로 변해가는 저에게 '정신차려'라고 말해주는 영화였어요. 마음을 잘 닦고 살아가도록 하겠습니다
aDayInTheLife
23/02/20 00:20
수정 아이콘
조금은 덜 ‘뜨거워도’ 될 것 같지만 그렇다고 너무 차갑지도 않은 그런 영화였습니다.
스팅어
23/02/20 07:50
수정 아이콘
매불쇼 추천으로 함 볼까했는데 지방 소도시에서는 상영관 자체가 별로 없더군요.
마음 불편해지는 영화는 잘 못 보는데 궁금해서 한번 보고 싶네요.
aDayInTheLife
23/02/20 08:15
수정 아이콘
저도 참 힘들었습니다만, 그래도 봐야할 거 같은 생각이 들어서 보게 되더라구요. 힘들걸 알면서도 봤습니다..
울산현대
23/02/20 08:44
수정 아이콘
저도 윗 댓글처럼 매불쇼 추천 때문에 한번 보려고 합니다.
좋은 영화를 소개 시켜줘도 우매한 대중들이 안본다는 도발에 넘어갔네요. 크크
aDayInTheLife
23/02/20 08:53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도발이 너무 센데요.
-안군-
23/02/20 13:35
수정 아이콘
유투부에 이 영화를 추천하는 영상을 봤는데, 댓글에 누칼협, 알빠노 시전하는걸 보니 이게 사람들인가 싶더라고요. 그게 지금 젊은 세대들의 보편적 정서가 아니길...
aDayInTheLife
23/02/20 15:26
수정 아이콘
잘 모르겠습니다. 누칼협 / 알빠노는 참 뭐랄까 각자도생에 어울리는 신조어지만 누군가는 진짜로 칼에 협박 당하면서 밀려나고 있으니까요. 장난 삼아 쓰는 건 그러려니 싶지만 너무 진지하게는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적어도 저는 그러고 싶어요.
23/02/20 14:07
수정 아이콘
보고 싶어져 검색을 좀 해봤으나, 연가를 안 쓰면 볼 방법이 없네요..
aDayInTheLife
23/02/20 15:24
수정 아이콘
아…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796 [일반] 코로나19 신규 확진 2만6147명…전주 대비 2600여명 늘어 [51] 톤업선크림12126 23/05/17 12126 1
98649 [일반] 이번 CFD 사태 근황(feat 대주주) [22] 맥스훼인11323 23/04/29 11323 3
98582 [일반] 아내 이야기 1 [41] 소이밀크러버7362 23/04/25 7362 60
98559 [일반] [스포] 재개봉 기념 <인셉션> IMAX 후기 / 대구 IMAX 첫 직관 후기 [24] 김유라7514 23/04/23 7514 3
98411 [정치] (스압) 선거제도 개편안 시뮬레이션 -2- 중대선거구와 비례대표제 [9] DownTeamisDown10756 23/04/10 10756 0
98408 [정치] 4.5재보궐선거 패배 책임자는 전주 정운천? 전북도당,전주당협위원장 사퇴 [28] 사브리자나10892 23/04/09 10892 0
98372 [정치] 오늘 재보궐선거 결과 보고 느낀 점 [112] 깐프17387 23/04/06 17387 0
98335 [정치] 선거제도 개편안 시뮬레이션 -1- 4년간의 변화 [15] DownTeamisDown10109 23/04/01 10109 0
98235 [정치] 외국인 가사도우미 법안이 발의 후 철회, 재발의되었습니다. [74] 계층방정14738 23/03/22 14738 0
98025 [정치] 이재명 체포동의안 찬반 2표 차로 '박빙 부결'…민주당 '단일대오' 깨졌나 [408] 아수날28752 23/02/27 28752 0
98005 [일반] 옛날 일본노래 이방인의 커버곡 영상들 [11] 라쇼8856 23/02/25 8856 5
97958 [일반] 운전 한 달 후기 및 자동차 옵션 이야기 [87] 소이밀크러버13330 23/02/20 13330 13
97954 [일반] <다음 소희> - '다음'과 '소희' 사이의 서늘함.(약스포) [10] aDayInTheLife7803 23/02/19 7803 3
97889 [정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권오수 유죄…집행유예 [156] SkyClouD18367 23/02/10 18367 0
97874 [일반] [정보]유게에 돌아온 라이스버거 글을 보고.. [13] Ha.록9252 23/02/08 9252 2
97868 [일반] 백화점이 전자양판점에 먹히는 날 [45] 이그나티우스14079 23/02/07 14079 47
97859 [일반] (스압) 대한민국 건국후 주요 대형 인명피해 사고 [49] Croove16850 23/02/05 16850 23
97689 [일반] [역사] 2001년 가장 핫했던 먹거리 - 삼각김밥 [54] Fig.118570 23/01/13 18570 66
97481 [일반] [웹소설] 혁명은 내 취향이 아니었다 추천 [21] 삼화야젠지야11002 22/12/20 11002 6
97331 [일반] 지코의 새삥을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2] 포졸작곡가7634 22/12/06 7634 6
97067 [일반] 등기부 등본상 깨끗한 집을 사고 전재산를 날린 사례 [189] 마음에평화를21259 22/11/02 21259 25
96836 [일반] [역사] 고등고시 행정과(1950~1962) 역대 합격자 일람 [20] comet2114246 22/10/10 14246 15
96766 [일반] 사극 드라마 노래 모음입니다. [6] 라쇼12279 22/10/02 12279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