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9/27 16:35:48
Name 나디아 연대기
Subject [정치] 오징어게임 인기에 편승하는 대만 정치인들 (수정됨)
이미지

대만 민주진보당 최연소 여성 국회의원 인증 



이미지

대만 타오위안시 시장의 달고나 인증

이미지

대만해경의 달고나 인증

작년에 대만에서 귀멸의 칼날이 인기였을때 대만정치인들이 귀멸의 칼날을 코스프레하고 했는데 이번에는 달고나 인증으로 가네요.




대만쪽이 친일성향인건 아는데 일본보다 오타쿠문화가 거의 메인으로 자리잡는 느낌입니다.  

대만주류애들이 문화에대해 진보적인지 친일성향이라서 오타쿠 문화에 대해 관대한건지 개인적으로 햇갈리긴합니다. 

거기서 인증한 정치인들의 공통점이 있다면 민주진보당 정치인들이라는것이죠.

20여년전에 중화권에서 한류돌풍을 일으키려면 대만에서 히트쳐야한다는 이야기를 생각해보면 중국에서 인기있다는 기사가 허풍은 아닌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메가트롤
21/09/27 16:51
수정 아이콘
어... 얘네 혐한 아니었나...
세크리
21/09/27 17:15
수정 아이콘
한창 혐한소동 있을때도 한국드라마는 잘 팔렸을걸요?
21/09/27 17:38
수정 아이콘
우리도 일본을 그렇게 싫어하면서... 크흠;;
그리고 중국말고는 뭐 좋아하는사람 싫어하는사람 다 있는거죠 뭐.. 크크
블래스트 도저
21/09/28 02:52
수정 아이콘
요새 혐중정서 강해지고 타이완 No.1 이러니 많이 줄긴 했어요
티모대위
21/09/28 04:37
수정 아이콘
전반적인 기조로는 혐한은 이제 실체가 거의 안남았다고 봐도 되지 않을지..
뿌리깊은 혐한러들이야 여전히 있겠지만은
달밝을랑
21/09/28 19:22
수정 아이콘
쯔위 한국 데뷔쯤부터 해서 극격하게 변해가는 중인거 같더라구요
대한민국 아프칸 수송기가 대만상공 통과하는 날 대만언론에서 하루종일 한국 찬양하는 부흥회를 열었습니다
이라세오날
21/09/27 16:56
수정 아이콘
달고나 샵 수출을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생각해보니 고객별로 커스텀도 되니 기념품으로도 좋고 심지어 먹을 수도 있네요!
21/09/27 17:00
수정 아이콘
한국인이 전세계에 당뇨를 풀었다!
21/09/27 17:04
수정 아이콘
국자 관련주 들어가면 되나요?
죽력고
21/09/27 17:50
수정 아이콘
타이완 넘버 원

아 대만가고싶다...
시간이지나면
21/09/27 18:12
수정 아이콘
어째 동남아쪽이 우리나라 보다 반응이 더 크고 빠른거 같아요.
필리핀 쇼핑몰인가 어딘가는 벌써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로봇 조형물도 설치해놓고..
21/09/27 18:16
수정 아이콘
달고나는 너무 친숙했던 거라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히트칠지 상상도 못 했어요
21/09/27 18:26
수정 아이콘
외국인 입장에서는 저런 게 상당히 새롭고 신선하게 다가오는 모양이군요..

하긴 우리도 과거 구시대 구닥다리라고 느껴졌던 부분도
추후 시간이 더 흐르면 복고 레트로라는 것으로 다시 새롭게 다가오는 경우가 있으니
저런 문화가 없었던 외국입장에서는 때깔좋게 포장 된 상태로 접하면 그럴 수가 있겠네요
자리끼
21/09/27 19:29
수정 아이콘
전 이상하게 달고나관련 기억이 거의 없네요 왜 안했지..
임전즉퇴
21/09/27 21:00
수정 아이콘
정치가 아닌 것도 아니긴 한데 추천찍기가 아쉽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435 [일반] (강스포)오징어게임3 이건 좀... 이라고 생각했던 장면들 [74] 마술의 결백증명6831 25/07/02 6831 21
104418 [일반] [스포 유의] '오징어게임3'에서 보이는 '데블스플랜' [62] 슈퍼잡초맨7636 25/06/30 7636 8
103329 [일반] 오징어게임2 관련 주가 근황 [19] 한이연7677 24/12/27 7677 0
103314 [일반] [강스포주의] 오징어게임2 감상평 [85] 신사동사신9574 24/12/27 9574 3
103243 [일반] 버거킹 오징어게임 2 이벤트 소감 [7] 時雨6716 24/12/20 6716 1
102575 [일반] (스포)오징어게임 뒤늦게 보고 크게 충격받았네요 [81] 마술의 결백증명15329 24/11/02 15329 8
93933 [일반] 오징어게임 가상화폐, 그들만의 오징어게임 [34] 바둑아위험해11667 21/11/02 11667 3
93655 [일반] 조승연님의 오징어게임 리뷰 [32] fefeT18045 21/10/05 18045 4
93633 [일반] [오징어게임][스포] 깐부의 진짜 의미에 대해서 [26] 두 배런15198 21/10/04 15198 34
93547 [일반] 오징어게임에서의 깐부 [47] 로드바이크13398 21/09/29 13398 0
93518 [정치] 오징어게임 인기에 편승하는 대만 정치인들 [15] 나디아 연대기15394 21/09/27 15394 0
93515 [일반] (강스포)오징어게임을 보고나서 끄적이는 생각들 [8] Rays8280 21/09/27 8280 3
93512 [일반] 오징어게임에 염증을 느낍니다 [166] Beam819228 21/09/27 19228 3
93510 [일반] (강스포) 생각나는데로 오징어게임 해석 [25] 드문12364 21/09/27 12364 21
93426 [일반] [노스포] 오징어게임을 보고나서 간략한 평 [90] 김유라17324 21/09/20 17324 5
93409 [일반] 오징어게임 후기(약스포) [87] 어서오고19973 21/09/18 19973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