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3/16 15:27:39
Name 나주꿀
File #1 루마니아_출산율.jpg (26.0 KB), Download : 59
Subject [일반] 사람은 S-ZZZZZ를 연타한다고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수정됨)


출산율 이야기, 지겹지만 댓글 어그로는 잘 끌리는 중독성 있는 주제입니다.
그런데 오늘은 현재 우리나라 이야기 말고, 딴 나라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잘못된 출산율 정책하면 한번 정도는 꼭 언급되는 차우셰스쿠 시대의 루마니아죠.


[루마니아의 기적의 출산율]

위에 있는 이미지를 보시면 1966~67년도 사이에 그래프가 확 튀는 구간이 보이실 겁니다.
단 1년만에 1.9에서 3.6으로 점프하는 기적의 출산 정책을 보여줬습니다.
(구글에 루마니아 출산율로 검색하시면 나올겁니다) 

차우셰스쿠는 출산 장려 정책이 아니라, 출산을 [강제]하는 정책을 폈습니다.
아이를 낳으면 출산 장려금을 준다. 집 청약권을 준다, 보육시설을 확충한다
이런게 아니었어요.

-한 가정당 4~5명의 아이를 낳지 않으면 가혹한 세금을 메김.
-피임과 낙태를 금지시켰습니다. 피임약이나 피임기구를 수입하면 사형 및 강력한 처벌을 받았죠.

뭐, 그 외에도 경악할 만한 짓거리는 어마어마하게 해뒀지만, 그건 댓글에 아시는 분이 채워주시는 걸로...


[기적의 출산율이 가져온 부작용]

부작용은 심각했습니다. 일단 유아사망율이 증가했죠. 아이를 가질 준비가 안된 사람들한테 강제로 아이를 낳으라고
하니 애들을 제대로 키울 수 있을리가 없지 않겠습니까. 원하지 않는 임신에 강제된 출산으로 태어난 아이들은 고아원에
버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심지어 차우셰스쿠가 물러난 직후까지도 루마니아의 고아원은 정말 지옥 그 자체였습니다.

영상이 보기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영상을 무슨 3개나 올렸어? 라고 생각하신다면 첫 번째 것만 보세요. 4분 정도 됩니다.
(아주아주 급하시다면 2분 25초부터 보셔도 됩니다. 이것만 보셔도 제가 하고 싶은 말은 다 하는거에요)

영상 1



영상 2

1990년대에 찍힌 영상입니다.


영상 3


아이러니한 점은 1967년도에 이런 정책이 시작됐고, 이때 태어난 아이들은 사회에서 제대로 대우받지도 못했어요. 
남아도는게 청년들인데 일자리는 모자라고 불만은 쌓여갔지요. 결국 이 세대들(차우셰스쿠의 아이들)은 
1989년, 루마니아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차우셰스쿠를 끌어내렸지요. 


[차우셰스쿠의 최후]

보통은 사형을 집행할 때, 사형집행인의 트라우마를 덜어주기 위해서 여러명의 사수 중 일부에게만 실탄을 
지급하고 나머지에겐 공포탄을 지급하는데, 차우셰스쿠의 경우엔 이놈을 죽이겠다고 벼르는 사람이 워낙 많아서
사형집행인 모두에게 실탄을 한 탄창씩 줬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래서 결론은?]

짧게, 간략히 말하면 
애들을 억지로 낳게 한다고 해도 사회가 여전히 아이들이 제대로 된 사회 구성원으로 자랄수 없는 환경이라면
오히려 사회에 불만이 쌓이고, 국가의 안정성이 무너질 수 있다, 이 정도로 요약하면 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3/16 15:28
수정 아이콘
s z가 뭘까 생각했는데 저글링이군요....
우와왕
21/03/16 15:48
수정 아이콘
아항 이거였구나
내맘대로만듦
21/03/16 15:52
수정 아이콘
스타1은 [sz sz sz sz]
스타2는 [szzzzzzzzz]
타마노코시
21/03/16 15:59
수정 아이콘
여기서도 느껴지는 세대차..ㅠㅠ
나주꿀
21/03/16 16:02
수정 아이콘
제가 협동전만 파다보니까 그렇게 적었네요 크크
하르피온
21/03/16 15:31
수정 아이콘
오버로드랑 미네랄이 충적되야죠 크크
21/03/16 15:37
수정 아이콘
아이를 낳아도 되겠다는 인식이 들게끔 사회가 변화해야죠...
21/03/16 15:39
수정 아이콘
저 말도 안되는 거대한 사회실험 덕분에 강제로 낳아야 한다는 주장이 다른 나라에서 힘을 잃은게 인류적으로는 다행이라 해야할까요. 씁쓸한 현실입니다.
21/03/16 15:51
수정 아이콘
국가 주도의 산아정책은 포기하던가, 아니면 엄청난 예산과 인원을 들여 육아와 교육시스템을 통째로 뜯어고치던가.

저런 방식은 망하기 딱 좋죠.
하얀마녀
21/03/16 16:0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출산율이 오를 이유를 찾기가 힘드니까 그런가보다 하는데..... 경제선진국들은 물론이고 복지 선진국이라는 북유럽 출산율조차 꾸준히 낮아지고 있는걸 보면 출산율 저하 문제라는게 정말 답이 있는 문제이긴 한가 싶은....
iPhoneXX
21/03/16 16:16
수정 아이콘
본능적으로 의식주 해결되면 다시 많이 낳지 않을까 싶어요. 물론 과거에 비해 눈높이가 높아진건 맞고..결혼 문화도 달라졌으니 여전히 높진 않겠지만요. 돈 있는 능력 있는 사람들 중에 비혼 숫자가 많을까요 아니면 빈곤층이 비혼 숫자가 많을까요. 지금 30~40대 미혼/비혼은 사람들은 그렇다쳐도 10~20대 미래에 결혼할 사람들은 취업도 안되고, 부동산은 미쳤는데 결혼할 생각이 아예 안날듯 합니다.
엑시움
21/03/16 16:16
수정 아이콘
출산율 햅버은 사실상 종교적인 가치관 외에는 답이 없죠. 사람이 너무 배가 부르고 너무 많이 배우면 아이를 안 낳으니... 그렇다고 일부러 가난해지고 무식해질 수는 없고...애 안 낳는 걸 문제삼는 이유가 그 배부른 걸 유지하기 위함이니까요.
어떻게든 아이를 낳는 것이 행복이라는 인식 확산과 출산비용을 최대한 절감시키는 것밖에는 아예 방법이 없어요...
21/03/16 16:19
수정 아이콘
sz는 둘씩 낳게 하는거니, sd만 해도 어딘가 싶네요.
21/03/16 16:47
수정 아이콘
크크 전투력으로 봐도..
-안군-
21/03/16 18:03
수정 아이콘
그래도 드론은 돈을 벌어옵니다??
antidote
21/03/16 16:22
수정 아이콘
1989년에 차우세스크가 총살당했는데 2021년 현재에 고아원이 문제가 된다면 그 때 태어난 아이들은 30살이 넘도록 고아원에 있는건가요?
일부는 사실이겠지만 일부는 경도된 프로파간다로 보이는데...
나주꿀
21/03/16 16: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첫번째 두번째 영상에 나온 고아원은 1990년에 찍힌 겁니다. (차우세스쿠 축출 1989년)
3번째 영상의 경우엔 2018년에 그나마 상황이 나아져서 고아원이 줄어들었다고 나오는 거고요.
어떻게 해야 30살까지 고아원에 있었다는 결론이 나오는지, 그리고 이게 왜 프로퍼간다인지
잘 모르겠어서 그런데 혹시 제가 글을 잘못 쓴 부분이 있나요?
antidote
21/03/16 18:02
수정 아이콘
일단 차우세스크 자체가 실패한 공산주의 독재자로 그가 한 거의 모든 정책이 부정당한 상태입니다. 그중에 잘한게 있을지는 모르겠으나-찾기는 어렵겠죠. 공산권 붕괴 당시 실패국가로 떨어졌기 때문에 90년대 당시 따져보면 죄다 실패로 끝났을거라서 못한거밖에 없을테니- 못한걸 더 못한 것으로 폄훼되었기도 합니다.
일단 낙태를 금지했다는 점에서 차우세스크의 정책은 서구권에도 만연한 여성주의와 PC적인 가치관에서 비롯한 악평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죠.
그리고 차우세스크의 인구 정책은 한사람당 4명 이상을 낳게 하는 수준의 출산에 대한 강력한 징벌적 정책을 바탕으로 하는데 이는 산업화 시기의 적정출산율이라고 간주되는 2.0 내외를 크게 뛰어넘는 수치로 중국이나 한국에서 행해진 산아제한 정책의 두배 이상에 해당하는 값이라 부작용이 안생기기 어려운 수준의 과도한 목표 설정일 뿐만 아니라 전혀 확충되지 않은 인프라를 바탕으로 시행된 정책으로 보육공기관/관련 기업/공교육 인프라 등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아동을 한꺼번에 풀어놓는 정책이었기 때문에 실패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반면 한국은 현재 1.0 미만으로 출산율이 굴러 떨어져 중장기적으로 사회의 유지가 힘든 상태일 뿐만 아니라 4.0같은 비현실적 출산율을 목표로 삼고 있지도 않으며 현재 급격한 결혼 및 산아의 감소로 인한 지방의 인프라 소멸로 인해서 장기적으로 볼 때 지금 시도라도 해볼 수 있는 것들의 대부분은 미래에 인프라가 완전히 망가져서 아예 시도조차 해볼 수 없는 상황이 됩니다.
단적으로 학교 폐교나 보육시설, 유치원의 폐쇄, 지방 결혼식장의 줄도산 같은 것들입니다. 이런것들이 가역적으로 보일지 몰라도 사실상 비가역적으로 망가져 가는 사회 전반의 시스템입니다.
차우세스크같은 극단적인 사례를 본받아 우리는 안된다고 하면 그냥 프로파간다에 경도당하신 겁니다.
당시 루마니아가 실패한 정책은 저거 뿐만이 아니라 각종 공업화 등도 90년대 시점에서 봤을 때 사회 전반의 시스템이 공산권 붕괴로 완전히 망가지면서 죄다 실패를 했는데, 루마니아가 실패했으니 하면 안된다는 마인드면 한국은 여전히 농업이나 해먹고 살았어야 합니다. 동의하십니까?
루마니와의 실패와는 별개로 "저건 안된다"라고 생각해볼만한건 루마니아 수준의 4.0 이상을 처벌로 강요하는 정책 수준인 것이지 출산율을 늘리는 것은 불가능하고 사회가 붕괴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프로파간다라는 것이죠.
특히 낙태금지로 인한 부작용 같은 것들은 여성주의나 PC쪽의 영향을 받아서 그동안 굉장히 부정적으로 폄훼되어 왔습니다. 이는 한국 뿐만 아니라 서방권 대부분의 국가에서 해당하는 문제입니다.
나주꿀
21/03/16 18: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1989년에 차우세스크가 총살당했는데 2021년 현재에 고아원이 문제가 된다면 그 때 태어난 아이들은 30살이 넘도록 고아원에 있는건가요] 어떻게 해야 30살까지 고아원에 있다고 생각하셨는지 여쭤봤는데 그거에 대한 대답은 안해주셨네요?

2. 저도 한국 출산율이 절망적으로 낮은 상태에서 다시 출산율을 회복시켜야 한다는 생각은 당연히 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제가 쓴 글 중에서도 왜 출산율이 낮은지에 대해 쓴 글도 있고요. 이 글을 쓴건 어제 올라온 출산 장려 대책 글에서 너무 급발진적으로 이야기를 하길래 좀 어이가 없어서 반박 겸 쓴 것도 있습니다.

3. 출산율을 올리려면 출산을 하는게 유리한 환경쪽으로 사회 분위기를 바꾸던지, 제도를 바꾸던지 하는 식으로 가야지. 저렇게 루마니아 식으로 피임약 팔면 사형, 애 안낳으면 월급의 30%압수 이런 식으로 하면 나라 망합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제가 말하는 건 '억지로' 애를 낳게 했을때 사회가 그걸 받아들이지 못하면 붕괴된다는거지, 그러니까 우린 자포자기하고 멸망합시다가 아닙니다.]
antidote
21/03/16 18: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시적으로 사회의 수용량을 넘어서는 아동이 태어난다면 고아원에 애들이 폭증한다거나 하는 식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차우세스크가 실각하고 나서도 몇년간 당연히 고아원에 아동들이 많을 수는 있었겠죠. 애들이 1~2년만에 사라지는게 아니니까.
그리고 저 시기 루마니아는 출산정책의 실패 뿐만 아니라 공산 독재의 실각 및 그동안 거래해오던 여러 공산권 국가들의 시스템이 죄다 붕괴하면서 극심한 경제난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는데 90년대에 경제도 망했는데 고아원에 아이들이 들어차고 지원조차 제대로 안되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입니다. 국민도 나라도 돈이 없으니까요.
즉 90년대에 고아원에 아이들이 많던 것은 출산정책의 실패도 있지만 공산권 전체의 실패와 겹쳐서 경제난이 거기에 가세한 것이라는 겁니다.
저 때 경제권이 완전히 붕괴했던 나라들을 보면 루마니아급까지는 아니더라도 사람들의 생활이 처참하게 붕괴된 사례가 다수 있습니다. 대표적인게 러시아이고요. 그 뒤로 러시아는 푸틴의 독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제 좀 비교가 될 것 같나요?
그 뒤로 차우세스크의 출산 정책이 폐지되었으니 고아원들의 사정은 그 이전에 비해서 점진적으로 나아졌을 겁니다.
그리고 제시하신 그래프에서 보시듯이 지금 1.6이상의 출산율을 보이고 있을텐데 지금 상황에서도 고아원이 처참한 상태이냐는 것이지요.
그렇지 않을겁니다. 사회의 극심한 어려움에 따라 사회 전반이 탄력적/비탄력적으로 민간 스스로 / 정부의 정책에 따라서 변했을 것이고 어떤부분에서는 개선이 되었을 것이고 어떤부분은 악화되었거나 현상유지에 그쳤을 겁니다.
90년대의 공산권 붕괴에 따른 전반적인 국가의 고통이 2021년 현재에도 아직도 심각하게 지속되고 있는것인지를 다시 돌아봐야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30세가 여전히 고아원에 있거나 한 상황이냐고 반문드린 것입니다.
90년대의 고통은 출산정책의 실패에서 비롯한 것이 아니라 차우세스크 실각을 비롯한 여러 문제들을 포괄하는 공산권의 전반적인 정책실패와 사회 인프라의 붕괴라는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봐야지 실패한 출산 정책이 그 시대 고통의 유일한 원인인 것으로 봐서도 안됩니다.
맛있는새우
21/03/16 16:22
수정 아이콘
s-zzzzzzzzzzz... 무슨 의미인지 궁금했는데, 참신한 표현이네요 크크크크

그런데 한국의 현실 비춰보면 저글링보다 SCV 연타로 찍는 게 더 어울릴지 모르겠습니다 크크크크
나막신
21/03/16 16:24
수정 아이콘
근데 예전에 1900년대 중후반에 벌려놓은게 많아서 지금 경제활동하는 세대가 노인될때 젊은 연령이 없어서 걱정되는거 때문에 문제인거지 출산율이 낮은거 자체는 큰문제는 아니죠? 이대로 100년후라고 치면 안정적인 0.3대 출산율 유지 이런식일 수도 있고
카라카스
21/03/16 16:27
수정 아이콘
문제가 아닐리가요.. 2명이 결혼해서 1명도 안 낳는다는건 세대별 인구가 반토막 난다는겁니다.
나막신
21/03/16 16:31
수정 아이콘
아 2명이 n명한테 인수인계하느냐 개념이라 딱2명이 이상적인 거겠군요 ㅜㅜ 이것도 잘이해한건지 모르겠네요 흐흐
Equalright
21/03/16 16:52
수정 아이콘
사고나 자연감소 고려하면 2명도 애매하고 2.1~2는 되어야 안정적입니다.
이리스피르
21/03/16 17:31
수정 아이콘
인구 구조를 생각하면 출산율이 2.1~2.2쯤 되야 도중에 죽는 사고 등으로 죽는 사람 포함해서 인구구조가 선형으로 유지되죠. 그 이상이면 이전 출생아가 많았던 때처럼 피라미드 구조가 되는거고 2.1~2.2 밑으로 떨어지면 역피라미드 형태가 되는거고요. 그리고 그 역피라미드 형태의 기울기가 가파라지면 질수록 나라는 망하는거고요. 기본적으로 국가는 세금을 통해 유지되는데 역피라미드의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면 적응하고 뭐고할 겨를도 없이 인프라고 뭐고 다 망하니까요
나이스후니
21/03/16 17:59
수정 아이콘
많이 문제가 되죠. 간단하게 전자회사를 창업한다고 하면, 기계과, 화학과, 전자과, 경제학과, 마케팅, 구매, 인사관리등등 여러 분야의 사람이 필요한데, 이런 사람들을 충족시킬 사람이 부족합니다. 그리고 회사 입장에서 창업을 하는 비용은 똑같은데 물건을 구매할사람이 반토막이 되니, 경제 자체가 활성화가 되지 않습니다.
한학년 학생이 50명일땐 축구도 하고, 농구도하지만, 10명이 되면 할수있는게 없는것과 같죠
21/03/16 16: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에도 적었지만 개인적으로 이 문제는 인공자궁 기술이 발달해서 보편화되는게 첫번째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른 문제도 있긴 하겠지만, 일단 출산이 그 자체로 여성에게 가해지는 신체적 부담, 경력단절 위험, 경제적 부담이 크니 그걸 없애야 된다 봐요.
강동원
21/03/16 16:42
수정 아이콘
페미들이 워낙 강경한데다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해서 오히려 묻히고 경시되는 감이 있지만
말씀하신 것과 같이 출산으로 인한 신체적 부담, 경력단절 위험, 경제적 부담은 분명히 존재하죠.
이걸 해결하면 사실상 남성(정확히는 임산부의 배우자)에게도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투더문
21/03/16 16:45
수정 아이콘
실패했다고 얘기만 들었는데.. 진짜 부작용이 심각했네요. 현대에 와서는 가능하지도 않겠지만.
보리차
21/03/16 16:48
수정 아이콘
아이낳는게 메리트가 되면 하지 말래도 낳습니다.
농경사회나 전잭 직후는 다자녀가 곧 노동력이니 낳지만 양육부담의 허들이 높이 올라간 지금 아이낳는 메리트가 정서적 만족 외에는 없죠.
21/03/16 16:49
수정 아이콘
국가가 많이낳게 하는 건 불가능하지만

안낳게 하는 건 충분히 가능하다...
우리아들뭐하니
21/03/16 16:54
수정 아이콘
아이는 사랑입니다.
지금 사회에 절대적인 사랑이 부족한건 아닌지 생각이드네요.. 신뢰 존중 사랑 의리...
valewalker
21/03/16 16:55
수정 아이콘
W-zzzzzz면 좋을텐데..
나주꿀
21/03/16 17:34
수정 아이콘
미국은 세계각지에서 인재들이 아메리카 드림때문에 오니
차원관문으로 광전사(Zealot)가 오죠.
다른 나라들은 저글링을 뽑지만요
라이언 덕후
21/03/16 16:59
수정 아이콘
지금에 와서는 저거 비슷하게나마라도 구현할 수 있는 나라는 중국밖에는 없어보이고, 중국이라도 아무리 보완하고 하더라도 별 수 없이 했다가 망한다는 예상밖에는 안듭니다.
중국이라면 다릅니다. 할 수도 있는데 중국이 빈부격차를 해결할 수 있는 무슨 초월적인 뭔가가 있는것도 아니고...
유재석
21/03/16 17:02
수정 아이콘
1960년대의 루마니아와 2020년대의 대한민국은 시기도, 사회 분위기도 다를테니 한번 시도해봄직하진 않을까요?
루마니아처럼 3,4명은 아니더라도 1명은 낳도록 강제한다거나.. 덜 가혹하게요.

뭐 현실성 없는 얘기지만... 흐흐
DownTeamisDown
21/03/16 17:20
수정 아이콘
일단은 결혼은 해야...
아니면 미혼모여도 가능하게 할수도 있지만 여자만 책임씌운다고 그단체에서 뭐라고 할수도
-안군-
21/03/16 17:32
수정 아이콘
어찌보면, 저런 정신나간 정책의 덜 매운맛이 영국의 챠브족이라...
사실상 서구 선진국 중에서 출산장려정책중에 성공사례가 있긴 한가 모르겠어요.
애 셋 낳으면 먹고살 걱정 안해도 된다는 수준의 복지를 제공한다는 프랑스도 출산율이 그렇게까지 많이 오른건 아니라던데...
이리스피르
21/03/16 17:35
수정 아이콘
근데 지금 우린 그 많이 오른게 아니라는 출산율이라도 감지덕지인 상황 아닌가요...
-안군-
21/03/16 17:42
수정 아이콘
저는 이 댓글에서 우리나라 얘기는 한적도 없는데요;;;
어느나라라도 좋으니 저정도로 심각한 부작용 없이 출산율을 반등시킨 예가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 피지알엔 전문가 분들이 많으시니 말이죠...
antidote
21/03/16 18:31
수정 아이콘
차브족 정도면 충분히 성공적인 수준이라고 봅니다.
어차피 모든 사람이 엘리트가 될수도 없고 될수 있다고 말하는 것도 거짓말인데 사회가 아예 붕괴하는 것보다는 인구의 질을 희생하더라도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차브족이라도 인구를 늘린 영국의 미래(의외로 영국은 그런식으로 저소득층 출산을 늘린 출산 장려책을 포기하지 않은 상태입니다.)와 그렇지 않고 인구의 질에 집중한다는 허황된 프로파간다를 밀고 있는 한국이 미래에 어떤 모습으로 갈릴지를 비교해보는 것도 흥미로운 요소이겠지요.
-안군-
21/03/16 18:36
수정 아이콘
일리있는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영국의 정책이 성공적이었다는 결론이 난다면 다른 나라들이 밴치마킹할 수도 있겠죠.
미뉴잇
21/03/16 19:23
수정 아이콘
제목센스 만점이십니다
나주꿀
21/03/16 19:26
수정 아이콘
이 글을 쓰면서 가장 뿌듯했던게 제목 지을때 였습니다, 크흠
미뉴잇
21/03/17 01:06
수정 아이콘
글 내용도 흥미롭고 잘 읽었어요 글 댓글 따봉 박고 가용..
21/03/16 22:58
수정 아이콘
의도는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만
예시가 너무 극단적인지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421 [일반] 서피스 프로 7, 완벽한 트수 에디션 컴퓨터 [7] 나주꿀9273 21/04/19 9273 4
91415 [일반] 편견, 굳어지거나 깨지거나 바뀌거나 Vol.3 [7] 나주꿀8945 21/04/19 8945 15
91391 [일반] 편견, 굳어지거나 깨지거나 바뀌거나 Vol.2 [22] 나주꿀7889 21/04/17 7889 23
91363 [일반] 편견, 굳어지거나 깨지거나 바뀌거나 [31] 나주꿀9477 21/04/15 9477 36
91184 [일반] [번역] 과학적으로 가장 완벽한 'X' 싸는 방법 [21] 나주꿀11593 21/04/03 11593 58
91159 [일반] [이미지스압]만우절이라고 유튜브가 이상한 영상을 추천해줍니다. [3] 나주꿀9387 21/04/01 9387 2
91139 [일반] 미셸 푸코? 진자 만든 아저씨 아니었어? 성범죄자라고? [50] 나주꿀16624 21/03/30 16624 0
91114 [일반] [번역]코로나 백신은 할랄인가? 속타는 이슬람계 국가들 [40] 나주꿀13232 21/03/28 13232 13
91089 [일반] 1868년생 할머니와의 인터뷰.Youtube [16] 나주꿀10134 21/03/26 10134 7
91082 [일반] 사람은 지리기 직전에, 국가는 백신이 모자랄 때 본성이 나옵니다. [83] 나주꿀19496 21/03/26 19496 16
91040 [일반] 차세대 중형위성 1호 발사성공과 이런저런 이야기들 [11] 나주꿀9583 21/03/23 9583 6
91028 [일반] [번역]66%짜리 J&J 백신대신 95%짜리 화이자 맞고 싶다고? [39] 나주꿀20373 21/03/22 20373 54
91024 [일반] 소의 방귀를 줄여 지구를 구하려면 '이것'이 필요하다 [39] 나주꿀11528 21/03/22 11528 2
91013 [일반] [13] 시간여행도 여행맞죠? [3] 나주꿀8324 21/03/21 8324 14
90970 [일반] [완전스포] 스나이더컷 2017 버젼과 차이점에 중점을 둔 정리 [61] 나주꿀11581 21/03/18 11581 8
90965 [일반] 스나이더컷은 '조'스티스리그와 달랐다 (다 봤습니다. 노스포 후기) [50] 나주꿀11351 21/03/18 11351 2
90918 [일반] 사람은 S-ZZZZZ를 연타한다고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47] 나주꿀12738 21/03/16 12738 18
90898 [일반] 목요일 새벽4시, 영웅들이 돌아옵니다. [43] 나주꿀14435 21/03/15 14435 1
90874 [일반] 여성기에 뇌가 절여져버린 논문, 가치는 있는걸까, 고소는 가능한걸까 [99] 나주꿀18534 21/03/14 18534 9
90868 [일반] 재밌게 보고 있는 혹은 봤'었'던 요리 유튜버들 [54] 나주꿀13796 21/03/13 13796 6
90834 [일반] 정부가 미얀마와 국방·치안 협력 중단을 결정했습니다 [54] 나주꿀13644 21/03/12 13644 25
90817 [일반] [번역] 와칸다, 실존 불가능한 진보된 사회 [52] 나주꿀11133 21/03/11 11133 10
90793 [일반] [번역] 총기규제와 노예제, 헛소리와 거짓말 [34] 나주꿀9216 21/03/10 9216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