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18 20:53:19
Name 나주꿀
Subject [일반] 드론은 전쟁의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수정됨)

유튜브를 돌아다니다가 흥미로워 보이는 단편영상이 있길래 짧게 잘라내고 자막을 달아봤습니다.


원제는 Slaughterbots이며, 약 7분가량 되는 영상이고 
드론의 군사적 사용에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의 과학자 및 기술자 모임의 후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 영상에서 나오는 드론은 지금 바로 만들어지고 쓰이는 수준은 아니지만 무한동력같은 허무맹랑함까지는 아닌,
'어쩌면 근 미래에 가능할지도?' 싶은 모습을 보면 소름이 끼치긴 합니다.
특히 인종, 복장, 체격등을 미리 설정해서 초정밀 대인폭격을 꿈꾸는 미래를 보면 말이죠.


2019년 가을에 사우디 아람코 정유시설을 공격한 것은 후티반군의 드론이었고
2020년 초, 이란의 카셈 솔레이마니를 폭격해서 죽인게 미국의 드론으로 알려져서 드론은 또 다시 그 가치를 입증했고
그리고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에서 아제르바이잔의 드론에게 아르메니아의 군대가 폭격당하는게
생생하게 유튜브 영상에 올라가서 화제를 불러오기도 했죠.  

어쩌면 미래 전쟁의 화두는 '무인'과 '정밀성'에 달리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0/12/18 21:01
수정 아이콘
선진국들 중심으로 군인이 죽기 시작하면 정치적 부하(반전여론)가 커지기때문에...사람 없이 뭔가 할 수 있다면야...그런 부하관리가 쉬워질거라...
antidote
20/12/18 21: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쟁의 미래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이미 바꾸고 있는 중이죠.
올해 일어난 나고르노 카라바흐 전쟁에서 드론없이 전쟁을 논하기가 어려워졌을 정도이니까요.
사실 유인기로 지상공격을 하다가 추락하면 조종사 손실과 함께 대지상 폭격 능력도 현저하게 약화되는건데 무인기는 이번에 아제르바이잔이 했듯이 긴급하게 사와서 운용하는 것조차도 가능합니다. 그 드론은 이스라엘과 터키제였을 정도로 이미 최고의 기술선진국이 아니라도 꽤 보편화된 기술이고요.
그리고 미국에서 터키의 드론 관련 공업능력에 타격을 가하기 위해 드론에 사용되는 각종 센서, 액츄에이터류의 수출에 금수조치를 걸어놓기까지 한 상태입니다.(물론 '역시' 이스라엘은 비켜감... 물론 이스라엘의 기술국산화 수준은 터키와는 차원이 다르긴 하겠습니다만)
또 드론의 공격에 앞서 도저히 현대전에서 써먹기 힘들거 같은 구형 AN-2류의 항공기에 원격조종 키트를 장착해서 '드론화'시켜서 방공망을 교란하고 방공망이 교란된 적지에 다른 드론으로 지상폭격을 하거나 대응하는 방공시스템의 위치를 파악해서 공격을 했습니다.
이미 현재의 전쟁을 바꿔놓았고 아마 다음 큰 전쟁이 내일 수준의 근미래가 아니라면 지금같이 찔끔찔끔 날려서 원격조종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당부분이 자동화된 드론 스웜 기술/전술이 미국같은 나라에서 개발되어 등장할겁니다.
20/12/18 21:09
수정 아이콘
절대 군사적 이용을 막을 수 없다고 봅니다. 특히 미국은 인명 피해로 인한 정치적 손해를 안보기 위해 여야, 진보,보수를 떠나서 드론 등 무인무기 활성화에 힘쓸것 같아요. 그리고 갈수록 전면전보다는 국지전, 대리전, 특수전 양상으로 전쟁이 진화할텐데 무인기와 드론등은 그 해답이죠.
선진국일수록 더 진화된 병기로 찍어누를수 있으니 미국등에 특화된 병기 아닐까요.물론 게릴라, 테러등에도 특화되니 그걸 막아내는 거에 수비측은 엄척 힘들것 같습니다. 결국 예견된 미래인 것입니다. 스카이넷과 터미네이터는 두둥!
20/12/18 21:16
수정 아이콘
한국군은 산악 지형+기후 때문에 드론을 써먹기가 좀 어려운 국가긴 합니다.
KCTC에서 통신 불통 속출하는거 보면 어휴
담배상품권
20/12/18 21:19
수정 아이콘
아아전쟁에서 전쟁을 지배한건 드론이지만, 그건 아아전쟁이라 그런거고, 재래식 유인기의 힘이 남아있는 현 시점에서는 이른 이야기지요.
물론 10년, 20년 후에는 아예 다른이야기가 될겁니다.
벌점받는사람바보
20/12/18 21:21
수정 아이콘
드론때문에 전파같은게 국제표준과 달라질수 있겠네요
GREYPLUTO
20/12/18 21:37
수정 아이콘
여기야 무인화가 너무 늦어서 망할 삘이지만
왠만한 강대국이면 드론 고려 안하는건 어리석은 행동입니다
이달의소녀
20/12/18 22:05
수정 아이콘
마지막 영상의 작은 드론으로 인해 시가전의 양상이 바뀔 수도 있다고 봅니다
사람보다 드론을 갈아넣는게 싸게 먹힐거거든요
20/12/18 22:20
수정 아이콘
홍진호도 드론을 잘 썼으면 벙커링을 막았겠죠?
고등어자반
20/12/19 09:15
수정 아이콘
아니, 이게 이렇게 이어지나요?
자루스
20/12/19 14:31
수정 아이콘
아니.... 이건 상상도 못했는데.....
옆구리에 쿡
동년배
20/12/18 22:41
수정 아이콘
전쟁 당사국들에게 규제라는건 무의미하죠. 핵이나 화학 생물학 무기도 아니고
20/12/18 23:28
수정 아이콘
드론에 EMP라도 달아 보내면.. 전쟁 끝날거 같네요..
판을흔들어라
20/12/19 01:12
수정 아이콘
전 반대로 첫 번째 영상처럼 많은 드론이 와도 EMP 한 방이면....
시험치는해
20/12/19 00:20
수정 아이콘
지금은 이성이 남아있는 세상이라 극단적인 전개가 없지만
조금만 더 감정적으로 종교 민족 인종 사회간의 갈등양상이 전개되면
힘있는 집단에서 힘없는 집단으로의 인종청소 같은 일도 얼마든지 손쉽게 가능할 수 있겠네요..

사람이 직접 가서 그 많은 사람들을 죽이는 것도 아니고 단순히 드론을 뿌려서 특정 인종을 말살시키는거라면
예전처럼 전쟁을 치뤄서 상대를 말살하겠다는 엄청난 리스크가 극단적으로 줄어드는거니
911처럼 정치적인 건수만 주어진다면 반대여론 어느정도 묵살하고 홀로코스트 저지르는것도 아주 어려운 상상은 아니겠군요..
퀀텀리프
20/12/19 00:34
수정 아이콘
저런 중소국가도 드론으로 이렇게 전쟁을 수행할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죠.
향후 전쟁은 이렇게 해야 된다고 보여준 셈이죠.
드론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가 나오지 않으면 지상전의 왕자인 탱크의 입지가 매우 좁아지겠군요.
담배상품권
20/12/19 01:07
수정 아이콘
그 말은 냉전때부터 나왔는데 결국 탱크 아직 쓸만하다...로 귀결되더군요.
Mephisto
20/12/19 01:52
수정 아이콘
계속 발전되서 무인기간의 대리전까지만 발전한다면 전쟁의 개념자체가 바뀔겁니다.
총력전 이전의 분쟁은 무인기간의 대전이 되겠죠.
그리고 총력전을 통해서 사상자가 발생할 상황이 된다?
모든 그순간 국민을 동원해서 총력전을 펼치는 국가는 바로 공공의 적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이미 전쟁이 사람의 생명이 걸린 문제가 아니라 국가간의 이득을 위해 서로간의 무기로 치고받는 개념으로 바뀌어버렸으니까요.
Mephisto
20/12/19 02:1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무인기간의 전쟁이 가장 마음에 드는게 민간인,일반병의 피해없이도 본토에 틀어박혀서 전쟁을 질러대는 수뇌부를 요격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긴다는 점입니다.
피알엘
20/12/19 08:45
수정 아이콘
흐름이라고 생각되네요.
F-35나 F-22, AH-64, Su-57, 라팔 등 모두 무인기와 연계한 운용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무인기에 댜한 대응책으로서 전파 방해 장치 등도 이미 배치되어 있고요,
올해 군사 무기 존시회에는 보변 휴대용 소총 같은 외형의 지향성 무인기 교란 전파 발사기도 등장했습니다.
얼마전 전쟁에서 아르메니아도 무인기에 대한 대응으로 로시아에서 수입한 전자전 정비를 통해 재밍을 수행하긴 했습니다. 성공적으로 무인기를 무력화시킨게 단 4일간에 불과했지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176 [일반] 갤럭시 탭도 이제 카카오톡이 됩니다! [50] 나주꿀13188 21/01/26 13188 3
90173 [정치] 국가인권위원회가 박원순 전 서울시장 관련 피해자의 피해 주장을 사실로 인정했습니다 [67] 나주꿀15201 21/01/25 15201 0
90157 [일반] [번역]설탕은 왜 중독되는가, 설탕은 어쩌다 80%의 식품에 들어가게 됐나 [77] 나주꿀12552 21/01/24 12552 28
90134 [일반] 확찐자의 확산, 다이어트를 이야기 해봅시다(레시피 추가) [20] 나주꿀10281 21/01/23 10281 7
90125 [일반] 왜 미국인은 그토록 뚱뚱한 사람이 많을까 [167] 나주꿀20099 21/01/22 20099 15
90021 [일반] 강철비, 정상회담 그리고 북한의 핵잠수함 [25] 나주꿀9884 21/01/14 9884 4
90008 [일반] [이미지스압] 튀니지 수능 풀어보실라우? [36] 나주꿀8856 21/01/13 8856 3
89987 [일반] 서울은 눈이 또 쏟아집니다 [57] 나주꿀12627 21/01/12 12627 4
89949 [일반] 대화면 타블렛 사용후기들(서피스, 아이패드프로, 갤럭시탭까지) [86] 나주꿀16527 21/01/09 16527 4
89932 [일반] 번역]인스타그램은 당신의 남성성을 거세하는가? [44] 나주꿀15824 21/01/08 15824 18
89884 [일반] '콩고 왕자' 라비가 조건만남 사기를 쳐서 추방 될 수 있다고 합니다 [60] 나주꿀14835 21/01/06 14835 1
89840 [일반] 반달가슴곰은 산골 이웃이 될 수 있을까 [69] 나주꿀10319 21/01/04 10319 7
89789 [일반] 여러분은 얼마나 오래 살고 싶으신가요? [52] 나주꿀7860 21/01/02 7860 0
89767 [일반] 신년목표 영어, 관점 바꿔 바라보기 [16] 나주꿀11180 21/01/01 11180 5
89736 [정치] [속보] 복지부, 내년 의사국시 2번 치룰 것 [416] 나주꿀20810 20/12/31 20810 0
89711 [정치] 집 나간 탕아, 환멸중도 분들 어디로 가시렵니까 [182] 나주꿀13903 20/12/30 13903 0
89675 [일반] 성북동 외국 대사관저에서 인권 변호사 만난 이야기 [24] 나주꿀9506 20/12/28 9506 6
89528 [일반] 수비드 머신, 생각보다 요긴한 요술방망이 [44] 나주꿀10439 20/12/23 10439 7
89505 [정치] 정은경 청장을 해임하자는 국민의 힘 의원 [217] 나주꿀16145 20/12/23 16145 0
89471 [정치] 문 대통령, 오늘 5부요인 청와대 초청, 코로나 극복 논의, 그런데 말입니다....? [91] 나주꿀13161 20/12/22 13161 0
89424 [일반] 크리스마스 기분이 안나는 크리스마스 [28] 나주꿀8194 20/12/20 8194 8
89380 [일반] 드론은 전쟁의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20] 나주꿀9317 20/12/18 9317 3
89357 [일반] 2016년 롤드컵 4강전,맨해튼에서 있던 국뽕의 추억 [23] 나주꿀7046 20/12/17 7046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