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8/04 17:09:17
Name 비타에듀
Link #1 MSCI.COM
Subject [일반] MSCI가 선정한 선진국 23개국 & 신흥국 24개국
요즘 연금저축떄문에 요거저거 알아보다가 MSCI 지수라는게 눈에띄어서
한번 MSCI.COM들어가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1. 선진국 (23개국)

북미 (2개국)
미국 / 캐나다

유럽 (15개국)

오스트리아 /  벨기에 /  덴마크 /  핀란드 /  프랑스 /  독일 /  아일랜드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포르투갈
스페인 / 스웨덴 / 스위스 /  영국

중동 (1개국)

이스라엘

아시아 (3개국)

일본 /  홍콩 / 싱가포르

오세아니아 (2개국)

호주 / 뉴질랜드

그리고 이 선진국을 추종하는 MSCI 지수 의 비중은
(ETF인데 국내엔 KODEX 선진국 MSCI WORLD로 상장되어있음)

1위 미국 65.53%
2위 일본 7.96%
3위 나머지 14개국 5.96%
4위 영국 4.41%
5위 프랑스 3.41%

6위 스위스 3.23%
7위 캐나다 3.13%
8위 독일 2.90%
9위 호주 2.11%
10위 네덜란드 1.35%

그래봤자 천조국이 압도적..인데 저 65% 차지하는 미국의 MSCI 지수가 S&P500 지수와 유사하다고 해서 KODEX 선진국 MSCI WORLD를 구입하는 분도 많더군요


2. 신흥국

북중미&남미 (6개국)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콜롬비아 /  페루 /  멕시코


유럽 (6개국)

체코 /  그리스 /  헝가리 /  폴란드 / 러시아  터키

중동 (3개국)

사우디 아라비아 / 카타르 /  UAE

아시아 (9개국)

한국 / 중국 / 인도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 필리핀 / 대만 /  태국

그리고 이 신흥국을 추종하는 MSCI 지수 의 비중은
(ETF인데 국내엔 ARIRANG 신흥국 MSCI로 상장되어있음)

1위 중국 40.95%
2위 대만 12.28%
3위 한국 11.61%
4위 나머지 15개국 11.01%
5위 인도 8.02%

6위 브라질 5.14%
7위 남아공 3.76%
8위 러시아 3.23%
9위 태국 2.27%
10위 멕시코 1.73%

중국이 압도적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8/04 17:13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계좌로 arirang 신흥국etf를 조금가지고있는데 요근래 많이오른게 중국 상승이 이유였네요
이호철
20/08/04 17:18
수정 아이콘
한국정도면 그래도 선진국 정도 아닌가 싶었는데 아직 안 끼워주는군요.
20/08/04 17:20
수정 아이콘
아마 msci 선진국에 포함되려면 규제 관련해서 조건 몇개가 있는데 그걸 당국에서였나 일부러 충족안시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호철
20/08/04 22:0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아마추어샌님
20/08/04 20:28
수정 아이콘
규모로 인해 선진국이 아닌게 아니라 규제때문에 신흥국에 머물러 있다고 봐여 될거예요.
나라가 더 발전하더라도 아마 주욱 신흥국일걸요. 거의 타협 안되는 부분이던걸로...
이호철
20/08/04 22:06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완전연소
20/08/04 17:33
수정 아이콘
중국이야 그렇다고 하고, 코시피의 비중이 대만 보다 낮다는 것은 좀 의외네요.
루크레티아
20/08/04 18:18
수정 아이콘
우리 개도국이에염 뿌우
HA클러스터
20/08/04 18:21
수정 아이콘
우리 개도국 혜택줘요. 빨리줘요!
20/08/04 18:23
수정 아이콘
천조국은 선진국말고 분류를 따로 해줘야할듯요;;
Conan O'Brien
20/08/04 23:12
수정 아이콘
일진국;;
큐리스
20/08/04 18:26
수정 아이콘
FTSE 선진국 지수에는 들어가 있죠. 2009년부터...
그래서 우리나라는 선진국이면서 신흥국입니다.
모데나
20/08/04 18:3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선진국 아닌건 인정하는데, 우리나 대만 대신 홍콩 뉴질랜드가 거기에 들어가 있는건 의아함. 아일랜드도 좀 그렇고. 아이슬랜드는 또 어디갔나.
키노모토 사쿠라
20/08/04 18:51
수정 아이콘
코로나 때문에 그런가.. 선진국 별거 없네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음란파괴왕
20/08/04 18:57
수정 아이콘
우리 개도국 맞씁니다 선진국 시켜주지 말아주세요
훈수둘팔자
20/08/04 19:27
수정 아이콘
꺼흑 마이깟
우린 개도국이라구요! 선진국 취급을 하면 내가 죽는다고요!
어서 미국 가서 개도국 코스를 하세요 어머니!
월급네티
20/08/04 19:31
수정 아이콘
대만도 대단하긴하네요. 작은 섬나라인데
잉여신 아쿠아
20/08/04 19:50
수정 아이콘
한국은 아가야
아가는 아껴줘야 해
silent jealosy
20/08/04 21:0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언제까지 아가에여??ㅠㅠ
20/08/04 22:24
수정 아이콘
이제 슬슬 한계가 오지만 가능한 계속 아가였으면 좋겠습니다. 합법적(?)으로 청소년 요금내고 버스타는 성인인셈이라...
silent jealosy
20/08/05 03:26
수정 아이콘
차라리 지금이 좋은거군요?? 선진국 대열에 끼면 관세 높아지고 그런건가요??
샤한샤
20/08/04 21:23
수정 아이콘
이스라엘 포르투칼 이런건 대체..;;
월광의밤
20/08/04 23:36
수정 아이콘
의도적으로 선진국 안들어가는거죠. 선진국 들어가면 여러모로 안좋은 점도 많아서
20/08/04 23:53
수정 아이콘
뭔가 대기업 안하고 중소기업 하는 느낌...상장 안하는 느낌

이런건가요?
20/08/05 00:20
수정 아이콘
포르투갈이라니
타이팅
20/08/05 09:14
수정 아이콘
김흥국은 어떨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782 [일반] [도서] 일본 첩보요원들의 역사: 1895~2013 [6] aurelius8864 20/08/25 8864 2
87781 [정치] 의료 파업과 관련된 이야기 [199] 밥오멍퉁이31826 20/08/25 31826 0
87525 [일반] MSCI가 선정한 선진국 23개국 & 신흥국 24개국 [26] 비타에듀11241 20/08/04 11241 0
87467 [일반] [잡담] 새로 부활한 흑룡회는 뭐하는 단체인가? [21] aurelius13046 20/07/31 13046 3
87443 [일반] [단상] 일본 주류의 역사관과 대외관에 대한 몇가지 생각 [37] aurelius12015 20/07/30 12015 28
87440 [일반] [번역] 일본 NSC차장 - 역사의 교훈 - 조선 식민 지배 [17] aurelius10460 20/07/30 10460 6
87379 [일반] 왜 중국은 미국을 4년안에 끝장내야만 하는가? [197] 아리쑤리랑73198 20/07/26 73198 224
87286 [일반] [역사] 근대 서양과 동아시아의 만남, 그리고 미래 [7] aurelius9370 20/07/18 9370 17
87178 [일반] "8월의 폭풍"으로: 소련과 일본의 40년 충돌사-16 (feat.행복회로) [12] PKKA8055 20/07/10 8055 8
87065 [일반] [도서] 민족자결을 부정한 중국, 소수민족을 보호한 일본 (2) [8] aurelius9461 20/07/05 9461 2
86865 [일반] [역사] 1803년, 일본 최초의 서양사 입문 서적 및 지리백과사전 [8] aurelius8612 20/06/23 8612 1
86737 [일반] [역사] 은의 제국: 은이 만든 세계 [16] aurelius9980 20/06/15 9980 4
86192 [일반] 봉사단체와 관련된 재미있는 사업이 하나 있습니다 [20] 목화씨내놔10896 20/05/12 10896 25
86157 [일반] 중국은 패권국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가? [67] 아리쑤리랑26653 20/05/11 26653 133
86010 [일반] [스연] 중국 축구힙회에서 외국인 선수 귀화 전담팀을 만들었네요 [41] 강가딘11721 20/05/04 11721 1
85734 [일반] 뉴 멕시코. [57] This-Plus9755 20/04/17 9755 0
85720 [일반] 제 인생에 국제기구. (aurelius 님의 글에 덧붙여) [5] boslex8405 20/04/16 8405 6
85464 [일반] [도서소개] 동남아시아에 대한 포괄적 통사 [27] aurelius8938 20/03/31 8938 17
85279 [일반] 지난 20년과 앞으로의 국제정세에 관해. [91] 아리쑤리랑33721 20/03/22 33721 109
85019 [일반] [번역] 코로나바이러스와 함께 떠난 여행 [2] aurelius8610 20/03/12 8610 5
84889 [일반] [단상] 일본의 조선합병과정에 대한 몇 가지 생각 [7] aurelius7796 20/03/05 7796 14
84795 [일반] [일본 도서소개] 지경학이란 무엇인가? [6] aurelius7606 20/03/01 7606 2
84568 [일반] 부산 확진자, 일본, 필리핀. 대구 방문 + 대전 확진자 자가격리 어기고 친구만남+아울렛+우체국 방문 [60] Leeka13414 20/02/22 13414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