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6/02 12:59:36
Name 표절작곡가
Subject [일반] 슈베르트의 마왕
오늘은 슈베르트의 가곡을 들고 왔습니다...

1797년에 태어나서 1828년에 돌아가셨습니다..
빈 근교에서 태어나서 쭉 빈에서 활동하셨죠~

슈베르트의 작품세계 중에서는 가곡을 으뜸으로 칩니다.
나머지는요???
꽤 걸작은 많습니다만은
(피아노곡 - 방랑자 환타지, 교향곡 - 미완성)
슈베르트만의 색깔이 나타난다고 하기에는 좀 모작 같다는 느낌이 있어서요~

허나 슈베르트의 가곡은 이후 작곡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뭔가 반주 음형에 있어서 묘사하는게 직접적이거든요...
(이후 낭만주의 작곡가들이 표제음악을 내세우게 되는데
슈베르트도 한 몫 한겁니다...)



가곡 - 마왕입니다...
아버지가 아들을 말에 태우고 집으로 가는 중인데
어린 아들이 마왕과 여러 귀신들의 환상을 보고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아버지가 여러 말로 안심시킵니다.(괜찮아 안개일 뿐이야~)
아들의 말이 신경쓰여 아버지는 말을 더 빠르게 몰아 집에 도착했는데
아들은 이미 죽어 있었습니다.(사인은 아마도 심장 쇼크??)

아주 아주 어려운 피아노 반주입니다....(피아니스트님들은 동의하실 듯...)
피아노에 있어서 동음 반복은 쥐약에 가깝죠...
관악기는 혀를 tktktk 텅잉하면 간단하게 해결 되고,
현악기는 그냥 활을 왔다 갔다만 하면 해결 됩니다...
허나 피아노라면 얘기가 달라지죠...

단음으로 된 반복은 손가락을 바꿔가며 처리를 하는데
위와 같은 음형으로 된 반복은 무조건 손목 스냅으로 처리해야하죠~
나중에는 손목이 빠질듯이 아려오죠~~

암튼 왜 이런 몰지각(?)한 음형을 반주로 썼느냐??
그건 바로~~
말이 달려가는 소리를 재현하기 위해서죠~
(따그닥 따그닥....)

아버지와 아들이 대화를 하는 동안 말은 계속 달려 갔죠...
그걸 묘사하기 위해 저 몰지각(?)한 음형을 곡이 마칠 때까지 지속해야합니다....덜덜덜

뭐랄까~
패션을 위해 한쪽 눈을 가린다.....??(패션왕~~??)
보다 생생한 묘사를 위해 손목을 포기한다!!!!(슈베르트...)

이런거죠~~

위 곡은 슈베르트의 숭어라는 가곡입니다.
숭어가 냇가에서 팔딱팔딱 생명력 있게 뛰어오르는 장면을
전주의 음형으로 표현해 내었죠~~


////

여담....

마왕 - 

본 시는 대문호 괴테의 시인데 슈베르트가 가곡을 썼고 그걸 들고 괴테를 찾아 갔더니 
괴테가 거들떠도 안보더라하는 인성질이 남아옵니다...
무명 작곡가라 시간이 아까웠을 수도~~
뭐~ 괴테의 문학은 스고이한데 인성이 스고이한건 아니니.....

숭어 -

모 독일의 음악평론가는 
독일의 낭만주의 음악을 알려면 바그너의 5시간되는 오페라보다
숭어 하나 듣는게 더 도움이 된다.
라고 평했습니다~~

////

감사합니다~~
다음엔 더 좋은 음악글로 찾아뵙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0/06/02 13:12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횐님... ....과 ~~표시가 늘어난 것을 보면 횐님도 이젠 세월의 풍파 맞으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표절작곡가
20/06/02 13:16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그렇죠~ 어느새 제가 젊다고는 말 못할 나이가 되었네요~
무적전설
20/06/02 13:15
수정 아이콘
이 파트를 어디서 배웠는지는 기억이 가물한데 해당 구간 가사를 적어보면
아이 : 아빠 마왕이 안보여요 검은 옷에다 관을 썼소
아빠 : 아가 그것은 안개다
마왕 : 예쁜 아가 나와 가자 참 재미나는 놀이하며
표절작곡가
20/06/02 13:17
수정 아이콘
중간에 나오는 가사군요,,^^
20/06/02 13:25
수정 아이콘
요즘 오랫만에 다시 클래식 좀 들어보고 있었는데 좋은 글 감사합니다.
슈베르트 숭어가 옛날에 TV에서 뭔가 우아한 느낌 연출할 때 많이 들리던 그 곡이였군요.

예전에 피아노 배울 때는 모차르트, 베토벤 밖에 몰랐는데, 요즘 인상주의 피아노 곡을 들어보니 같은 클래식이 맞나 싶을 정도로 분위기나 테크닉이 많이 달라져있더라구요. 동양악기나 종소리 같은 다양한 환경음이나 악기 소리를 피아노로 나름 충실히 묘사하는 게 인상 깊었었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0/06/02 13:42
수정 아이콘
음알못 클알못이지만 숭어는 정말 좋아하는 곡입니다. 어린 시절이 떠올라요.
휴머니어
20/06/02 13:45
수정 아이콘
숭어는 이상하게 로다주 영화 셜록에서 모리어티가 부르던게 제일 인상에 남더군요.
서린언니
20/06/02 13:48
수정 아이콘
세탁 끝나면 울려퍼지는 숭어 멜로디...
-안군-
20/06/02 13:59
수정 아이콘
오.. 마왕! 가장 좋아하는 가곡입니다 반주도 지랄(?)맞고 노래 자체도 1인 3역의 심리묘사를 해야하는 지랄맞은(?)곡이죠 크크크...
표절작곡가
20/06/02 14:06
수정 아이콘
참 적절한 표현이 아닐 수 없습니다~~크크크
20/06/02 14: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슈베르트는 성악곡이든 기악곡이든 거의 모든 곡들이 귀에 한번에 착 달라붙는 멜로디를 가지고 있고 있어서 오히려 과소평가당하는 비운의 작곡가인 것 같습니다.

마왕이 원래 엘프 킹(Erlkönig = 영어로 Elf king)이라는 뜻이라는 걸 알고 충격먹었던 기억이 나네요.

보통 마왕 하면 피아노 반주에 남자 성악가가 노래를 부르는 버전으로 듣게 되는데요, 사파(?) 버전으로 몇 가지 인상깊었던 마왕 영상들 두 개 던져놓고 갑니다. (둘다 10년도 더 된거라 화질이..)

소프라노 버전 (Jessye Norman)
얼마 전에 사망한, 유명한 흑인 소프라노 제시 노먼이 부른 버전입니다. 1인 3역의 오페라를 하는 것처럼 목소리 톤과 표정이 확확 변합니다. 아빠 목소리가 여성 성악가라고는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중후하게 내려가는 것도 충격적이고요. 과장된 클로즈업과 표정 연기, 거기에 비디오 연출도 조금 기묘해서 그런지 정말 드라마틱한 퍼포먼스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noeFpdfWcQ

바이올린 버전 편곡 (William Ernst)
에른스트는 19세기 유명 바이올리니스트인데요, 에른스트의 마왕 편곡은 바이올린 최대 난곡 중 하나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연주자는 요새 가장 잘 나가는 바이올리니스트 중 한명인 힐러리 한 (Hilary Hahn)인데요, 분명히 혼자서 연주하는데 바이올린 2대가 따로 연주하는 것같은 느낌이 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WNCbpwC-PQ
표절작곡가
20/06/02 14:52
수정 아이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06/02 15:18
수정 아이콘
이 글보고 나무위키를 찾아봤더니 '숭어'가 아니라 '송어'라고 합니다;;; 저도 방금 처음 알게된...
(분명 1달쯤 전에 열심히 슈베르트 항목을 읽었는데 도대체 왜;;;)

별도로 좋은 글 감사합니다. 어릴적에는 이게 왜 물고기가 헤엄치는 모습이야??라고 생각했는데 피아노반주에 원어로 들으니까 확실히 느낌이 사네요.
표절작곡가
20/06/02 15:21
수정 아이콘
크크크 송어였군요~~

얼마나 속아왔던가.......

(대충 고뇌하는 지식인 짤...)
(그런게 있는지도 모름...)
20/06/02 18:08
수정 아이콘
거울 같은 강물에 송어가 잡히랴~ 좋은 글 매번 감사합니다!
표절작곡가
20/06/02 18:15
수정 아이콘
이렇게 발랄한 곡이 헬피엔딩이죠~~~

결국 잡힘...ㅜㅜ
말다했죠
20/06/02 19:57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992 [일반] 11월 유행에서 2021년 3월 유행을 대비해야한다. - 기준과 원칙에 따른 방역 정책 수립의 필요성 [22] 여왕의심복9734 20/12/01 9734 63
88962 [일반] 90년대 여성 가수들의 J-POP 애니송(3) 슬레이어즈, 하야시바라 메구미 [37] 라쇼13061 20/11/28 13061 12
88653 [정치] 서울 전셋값 0.7% 상승…11년 만에 '최고' 기록 [43] Leeka9894 20/11/05 9894 0
88223 [일반] 태조 이성계가 이방석을 왕세자로 삼던 당시 상황 [53] TAEYEON13839 20/09/26 13839 5
87821 [정치] 한동훈과 '육탄전'…정진웅 부장, 차장검사 승진, 윤석열 측근들은 좌천 [98] 미뉴잇12954 20/08/27 12954 0
87635 [정치] 리얼미터 "더불어민주당 33.4%, 미래통합당 36.5%"ᆢ국정농단 이후 첫 역전 [625] 미뉴잇31359 20/08/13 31359 0
87354 [일반] [역사] 교황청의 역사: 제3부 - 카노사의 굴욕과 서임권투쟁 [9] aurelius8523 20/07/23 8523 10
87263 [정치] 문재인대통령 지지율 오차범위 밖으로 부정적 평가가 높아졌네요. [227] Grateful Days~18204 20/07/16 18204 0
86815 [일반] 추억의 디지몬 OST 10선발 [8] roqur8664 20/06/20 8664 3
86515 [일반] 슈베르트의 마왕 [17] 표절작곡가7772 20/06/02 7772 7
85987 [정치] 윤석열 장모 사건 [89] 만월17354 20/05/02 17354 0
85886 [일반] [스연] K-리그 해외 중계권이 30억원에 팔리나 봅니다. [32] 쵸코하임10566 20/04/27 10566 1
85839 [일반] [스연] K리그 개막 확정 [23] Binch8842 20/04/24 8842 0
85187 [일반] [스연] MLB, NBA 그리고 KBL소식 [11] 말다했죠9586 20/03/18 9586 1
85065 [일반] 저희집 주변(전주시) 약국 마스크 재고.jpg [31] B와D사이의C9804 20/03/13 9804 0
84944 [일반] 지자체에서 무료로 배포하는 무료폰트들 [30] VictoryFood21692 20/03/08 21692 26
84826 [일반] [스연]방탄소년단 컴백 주 회차 음악방송 시청률 [14] 망개떡6773 20/03/02 6773 2
84776 [일반] 프로농구, 사상 초유의 리그 중단…KCC 숙소에 코로나19 확진자 [20]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살인자들의섬11413 20/02/29 11413 0
84659 [일반] [스포츠] 세리에 A의 이탈리아 더비가 무관중 가능성? [10] 아우구스투스5492 20/02/25 5492 0
84604 [일반] 빵지순례 (사진 많음) [36] 모모스201312315 20/02/23 12315 13
84583 [일반] (수정)코로나 19관련, 동네 소비도 필요합니다.. [52] 아우구스투스10183 20/02/22 10183 2
84387 [정치] 선게 오픈을 맞아 해보는 2016년 20대 총선 여론조사 복기 [23] bifrost12103 20/02/13 12103 0
84270 [정치] 법조인들의 정치권행 바람직한 걸까? [88] 마약남생이8281 20/02/05 82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