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5/04 07:38:31
Name 강가딘
Subject [일반] [스연] 중국 축구힙회에서 외국인 선수 귀화 전담팀을 만들었네요 (수정됨)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200163

지난 2015년부터 중국에서 '축구굴기'한 이름으로 축구 부흥 프로젝트를 진행해온거 아시는 분은 알겁니다
하지만 5년동안 프로젝트를 진행한 결과는 지지부진하죠.
2019 아시안컵에선 8강에서 이란한태 0-3으로 털리고 2022 카타르월드컵 2차예선에선 필리핀하고 0-0으로 비기지 않나
올 1월에 열린 도쿄올림픽 최종예선 겸 AFC U-23 챔피언십에선 광탈...
그러다 2019 아시안컵에서 카타르가 귀화선수들을 적극 활용해서 우승컵을 들자 생각을 바꿨는지 적극적으로 귀화를 추진중입니다
이거 잘하면 11명 모두 귀화 선수들로 된 중국 대표팀을 볼수도 있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wersdfhr
20/05/04 08:14
수정 아이콘
중국이 귀화에 엄청 인색한 나라라고 알고 있는데 역시 월드컵 앞에서는;;;
스위치 메이커
20/05/04 08:35
수정 아이콘
축구 대표팀이 못 이기면 군대 훈련 보내는 나라에서 누가 가고 싶어할까요.

인프라의 문제지 선수 풀이 없는 게 아니죠. 비단 중국만의 문제도 아니구요.
비상의꿈
20/05/04 08:41
수정 아이콘
저런 식의 접근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리가 없는데..
시린비
20/05/04 08:55
수정 아이콘
한국 아이스하키 대표팀도 어느때는 거의 귀화팀이었다는 이야기를 어디서 들은거같은데...
중국에선 축구가 그런 느낌이 될런가...
20/05/04 09:37
수정 아이콘
아이스하키의 경우 상당수 있었지만 거의까진 아닙니다. 아이스하키는 특성상 선수교체가 자주 필요하기에 귀화선수가 꼭 필요했고 활약했다고 해도 원래의 한국선수들도 같이 활약하며 실력을 키울 기회가 되었고요. 무엇보다 귀화까지하며 성적을 끌어올리지 않았으면 개최국임에도 올림픽에 출전 자체를 허가받지 못할 상황이었죠.
시린비
20/05/04 09:44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귀화한 선수들만 모여찍은 사진같은게 퍼져서 그것만보고 잘못 알았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린민메이
20/05/04 08:56
수정 아이콘
중국 힙회라는 제목에 어그로 끌려서 왔습니다.
오우, 좀 놀 줄 아는 놈들인가?
홍준표
20/05/04 09:20
수정 아이콘
크크 저도 이 댓글 달러 왔습니다 너무 힙할거같네요
20/05/04 10:06
수정 아이콘
본문 말미의 쉬화 선수들도 뭘지 궁금하네요 크크
興盡悲來
20/05/04 09:00
수정 아이콘
귀화하기 가장 어려운 나라들 중에 하나가 중국인데....21세기에 '국적'이라는게 무슨 의미를 가지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츠라빈스카야
20/05/04 09:47
수정 아이콘
귀화선수로 팀만들면 중국이 축구 잘하는게 되나...;
크레토스
20/05/04 10:16
수정 아이콘
어차피 귀화하면 중국인인데 중국이 잘하는게 되는건 맞지 않나요? 뿌리가 무척 얕을뿐이죠. 주전 한두명만 부상당해서 공백 생기면 그걸 토종 중국인 선수가 메워야 하는..
츠라빈스카야
20/05/04 10:20
수정 아이콘
명목상으론 그말이 맞긴 한데, 대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가는 좀 그래서요.
중국이 잘한다고 하면 어느 정도 그 나라의 전체적인 수준이 높다는 의미가 되는데, 저건 그냥 중국이 사다가 꾸린 팀이 잘한다는 느낌이라...
한국이 NBA올스타 귀화시켜서 올림픽 메달 딴다고 한국이 농구 잘한다고 인정할 사람이 얼마나 있겠어요..
DownTeamisDown
20/05/04 10:33
수정 아이콘
귀화선수가 어느정도 들어가냐에 따라서 다르죠.
예를들면 저번 아시안컵 우승한 카타르도 인정하기 힘든게 거기도 귀화선수가 많아서
카타르 대표팀이 강한거지 카타르 선수들이 축구를 잘한다고 보기가 힘들죠

근데 중국은 그 카타르보다 더 심하게 할것같은 느낌인데 말이죠
카타르도 6명만 귀화선수인데...
ioi(아이오아이)
20/05/04 10:39
수정 아이콘
우리 입장에선 귀화선수가 많으냐 적으냐에 따라 다를 텐데
해외 입장은 다를 수도 있습니다.
당장 프랑스 대표팀을 순수 프랑스 국적만 남기면 그냥 11명이 될까 말까 수준인데
아무도 프랑스가 축구 못한다고 말 안하니까요
DownTeamisDown
20/05/04 10:44
수정 아이콘
하긴 프랑스 같은경우에는 어렸을때부터 데려와서 키우긴 합니다.
다만 프랑스의 경우 국적을 좀 일찍줘서 욕을 덜먹는거고요
거기에 프랑스가 데려오는 선수들은 구 프랑스 식민지 출신이라는 것도 있기는 합니다.

카타르 부터 욕먹기 시작하는건 타국 청소년대표에서 뛰는선수를 데려오거나(이거는 그래도 욕 좀 덜먹음)
거기에 아예 유스급 선수가 아니라 완성된 성인선수들을 데려오기 때문이죠.

아마 중국은 카타르보다 더 욕먹지 않을까 싶습니다.
크레토스
20/05/04 10:48
수정 아이콘
귀화하면 귀화한 선수들은 중국선수죠.
귀화해서 국대까지 달았는데 귀화전 국가 선수는 아닐거 아니에요.
그건 주전과 후보의 차이가 크다고 하는거죠.
DownTeamisDown
20/05/04 10:51
수정 아이콘
중국선수는 맞는데...
사람들이 따로보긴 할겁니다.
귀화한선수하고 안한선수하고.
중국에서도 그럴꺼고 다른나라 에서도 따로보긴 하겠죠.

이제 국대로테이션이라도 하려나요 중국에 선수뺐기기 싫으면 A매치 출전시켜서 못나가게 하는 나라도 나오려나요?
20/05/04 10:21
수정 아이콘
저런 식으로 귀화 절차를 완롸시키면 기존의 중국인 귀화 준비하던 사람들(예를 들어 도인비라던가) 에게도 숨통이 트이려나요
DownTeamisDown
20/05/04 10:35
수정 아이콘
아마 특별절차라 다른사람에겐 영향 없지 않을까 싶네요
사실 영주권은 받을것 같으니 도인비 로컬분류는 되지않을까 싶긴합니다만
LPL 기준에 따라서 결정되는것 같기도 하고말이죠
글로벌로 따지면 로컬 해줘야하는데 말이죠.

만약에 롤이 당장 올림픽 정식종목이라도 된다면... 또 모르지만요.
그러면 결혼까지 하는 선수들 같은경우 국적이 나올수도 있어보입니다.
興盡悲來
20/05/04 11:34
수정 아이콘
'중국 축구 국가대표'라는게 국가에서 밀어주는 사업이라 가능한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 중국에서 프로게임단을 밀어준다고 해도 단순히 LPL 육성, 진흥이 목적이라면 그냥 현재상태만 유지해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별 다른 변화는 없을거에요... 만약 e스포츠 국가대항전이 크게 흥행한다면 모를까...
Lord Be Goja
20/05/04 10:40
수정 아이콘
프랑스축구도 구식민지(알제리)출신으로 국적변경한 빼면 전력 잘 안나오죠.
미국의 두뇌풀에서 아시아계이민자들 빼도 인재풀이 상당히 줄어들테고..
일회성이 아니라면 ,외국인이 귀화해서 그나라의 전력이 되는것에 대한 거부감은 이제 내려놔야 할거같습니다.
DownTeamisDown
20/05/04 10:45
수정 아이콘
일회성으로 안보이려면 유망주 단계부터 국적주고 땡겨와야 일회성이 아니게 될겁니다.
중국은 거의 올대급 이후의 성인선수들을 데려오는것 같아서 거부감이 드는거죠.
저건 누가봐도 1회성같고 거기에 돈으로 우승을 사는모양새라
하피의깃털눈보라
20/05/04 10:44
수정 아이콘
뭐 일본도 귀화선수 꾸준히 잘 썼고
사실 한국만 이상하게 축구쪽만 귀화에 대해 너무 엄격하긴 해요
곰성병기
20/05/04 11:53
수정 아이콘
엄격하기보다 즉전감이 될만한 귀화할 선수가 없는거죠. k리그 최고 외국인선수가 귀화해도 국대 스쿼드가 두꺼워질순 있어도 주전은 장담못하죠.
하피의깃털눈보라
20/05/04 12:08
수정 아이콘
왜 없어요.
있었는데 조건이 빡빡해서 못한거죠.
곰성병기
20/05/04 12:38
수정 아이콘
누가있었는데요?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피파규정상 이중국적자나 부모쪽에 한쪽이라도 안걸쳐있으면 5년연속 국내에 거주해야되는데 그런조건 만족하고 실력까지 겸비된 선수가 누가있었는지 궁금합니다.
하피의깃털눈보라
20/05/04 12:47
수정 아이콘
전성기 다 깎여서 귀화했는데도 본프레레가 선발할까 고민했다가 순혈정서 여론때문에 무위로 돌아간 이싸빅의 사례가 있습니다만.
달마시안
20/05/04 13:04
수정 아이콘
그건 너무 옛날이죠. 실력 충분하고 조건 갖춘 외국인이 귀화하고 싶다고 하면 반대 여론이 그렇게 강하지 않을 겁니다.
2020년 상황과 14~5년 전 상황을 단순비교 하면 안되죠.
하피의깃털눈보라
20/05/04 13: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처음부터 시대언급없이 '꾸준히'라고 말씀드렸는데 옛날이라고 하시면 드릴말씀이 없네요
쵸코하임
20/05/04 12:11
수정 아이콘
귀화선수가 뛰려면 그만한 자격을 갖추어야죠. 용병이 케이리그 열심히 뛰어서 귀화자격을 획득할 시점이 되면 기량하락....
그렇다고 그 귀화선수가 엄청 뛰어난 상태냐면 사실 그건 아니거든요. 그리고 그들이 귀화해서 뛸만큼 매력적인 곳도 아니기도 하고요.
하피의깃털눈보라
20/05/04 12:11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그 자격을 얻는게 중국, 일본보다 엄격하다는 이야기 였습니다만.
주먹쥐고휘둘러
20/05/04 12:14
수정 아이콘
신의손 정도 제외하면 외국인 선수 중에 딱히 귀화까지 추진해야 할 레벨의 자원이 없었고 선수 중에서도 정말 진지하게 귀화를 하려는 선수도 없었으니까요. 신의손은 진지하게 국대발탁 이야기까지 나왔지만 김병지, 이운재가 등장하면서 굳이 국대콜업할 이유가 없어져버렸죠.
20/05/04 11:22
수정 아이콘
언제까지 중국이 삽질만하진않겠죠. 스포츠로 눈을 돌리기 좋은 시기기도 하구요. 롤도 그렇잖아요. 한국선수 2명씩 끼어있고 감코도 한국사람이어도 지면 지는거고 중요한 경기에서 몇번더 지면 2부 리그 되는거죠
VictoryFood
20/05/04 11:51
수정 아이콘
국제대회에 출전한 적이 있으면 귀화해도 국제대회 출전금지 뭐 이런 규정은 없나요?
20/05/04 11:59
수정 아이콘
이전 국적으로 A매치에 출전한 기록이 있으면, 바꾼 국적으로 A매치에 출전할 수가 없을 겁니다 아마.
강가딘
20/05/04 12:04
수정 아이콘
성인 A매치 한번이라도 출전하면 다른 나라로 귀화해도 못 뛰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하피의깃털눈보라
20/05/04 12:11
수정 아이콘
이게 원래 국가에서 A매치 경력이 있으면 귀화하면 출전 못하는게 원칙인데
가끔 예외 선수가 있습니다.

마리오 페르난데스(브라질 -> 러시아)라던가
이번에 중국에 귀화한 굴라르도 브라질 A매치 출전 경험이 있는데 어떻게 하려는지 귀화했더라고요.
DownTeamisDown
20/05/04 12:22
수정 아이콘
제가 알고있던 정보가 있어서 찾아보니
두선수다 친선경기만 한경기씩 뛰었더군요
A매치중에 최소한 대륙컵 예선 이상은 되야 인정해주는것 같기도 합니다.
하피의깃털눈보라
20/05/04 12:29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20/05/04 12:28
수정 아이콘
A매치여도 친선경기만 뛴 선수는 가능합니다.
브라질, 스페인 이중국적이었던 디에고 코스타도 그런식으로 스페인 국대에서 뛰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782 [일반] [도서] 일본 첩보요원들의 역사: 1895~2013 [6] aurelius8864 20/08/25 8864 2
87781 [정치] 의료 파업과 관련된 이야기 [199] 밥오멍퉁이31827 20/08/25 31827 0
87525 [일반] MSCI가 선정한 선진국 23개국 & 신흥국 24개국 [26] 비타에듀11241 20/08/04 11241 0
87467 [일반] [잡담] 새로 부활한 흑룡회는 뭐하는 단체인가? [21] aurelius13046 20/07/31 13046 3
87443 [일반] [단상] 일본 주류의 역사관과 대외관에 대한 몇가지 생각 [37] aurelius12018 20/07/30 12018 28
87440 [일반] [번역] 일본 NSC차장 - 역사의 교훈 - 조선 식민 지배 [17] aurelius10461 20/07/30 10461 6
87379 [일반] 왜 중국은 미국을 4년안에 끝장내야만 하는가? [197] 아리쑤리랑73198 20/07/26 73198 224
87286 [일반] [역사] 근대 서양과 동아시아의 만남, 그리고 미래 [7] aurelius9371 20/07/18 9371 17
87178 [일반] "8월의 폭풍"으로: 소련과 일본의 40년 충돌사-16 (feat.행복회로) [12] PKKA8057 20/07/10 8057 8
87065 [일반] [도서] 민족자결을 부정한 중국, 소수민족을 보호한 일본 (2) [8] aurelius9461 20/07/05 9461 2
86865 [일반] [역사] 1803년, 일본 최초의 서양사 입문 서적 및 지리백과사전 [8] aurelius8612 20/06/23 8612 1
86737 [일반] [역사] 은의 제국: 은이 만든 세계 [16] aurelius9980 20/06/15 9980 4
86192 [일반] 봉사단체와 관련된 재미있는 사업이 하나 있습니다 [20] 목화씨내놔10896 20/05/12 10896 25
86157 [일반] 중국은 패권국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가? [67] 아리쑤리랑26655 20/05/11 26655 133
86010 [일반] [스연] 중국 축구힙회에서 외국인 선수 귀화 전담팀을 만들었네요 [41] 강가딘11722 20/05/04 11722 1
85734 [일반] 뉴 멕시코. [57] This-Plus9756 20/04/17 9756 0
85720 [일반] 제 인생에 국제기구. (aurelius 님의 글에 덧붙여) [5] boslex8405 20/04/16 8405 6
85464 [일반] [도서소개] 동남아시아에 대한 포괄적 통사 [27] aurelius8938 20/03/31 8938 17
85279 [일반] 지난 20년과 앞으로의 국제정세에 관해. [91] 아리쑤리랑33726 20/03/22 33726 109
85019 [일반] [번역] 코로나바이러스와 함께 떠난 여행 [2] aurelius8611 20/03/12 8611 5
84889 [일반] [단상] 일본의 조선합병과정에 대한 몇 가지 생각 [7] aurelius7796 20/03/05 7796 14
84795 [일반] [일본 도서소개] 지경학이란 무엇인가? [6] aurelius7606 20/03/01 7606 2
84568 [일반] 부산 확진자, 일본, 필리핀. 대구 방문 + 대전 확진자 자가격리 어기고 친구만남+아울렛+우체국 방문 [60] Leeka13415 20/02/22 13415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