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4/18 22:07:17
Name VictoryFood
File #1 1.png (30.2 KB), Download : 58
Subject [일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1번 확진자 이후 처음으로 10명대로 줄었습니다


GYH2020041800040004402_P2_20200418154512008.jpg

코로나19 신규 확진 18명…58일 만에 첫 10명대(종합2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1557200

2월 18일 31번 환자가 확진되고 2월 19일에만 51번 환자까지 20명의 확진자가 나오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한 대한민국의 코로나19 확진자가 오늘(4월 18일) 기준으로 18명의 추가확진자로 처음으로 10명대로 줄었습니다.
정확하게 2달이 지난 오늘 다시 신천지 이전으로 돌아갔다는 것은 상당히 상징적인 의미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이렇다고 우리가 코로나19의 위험에서 벗어났다는 것은 아니고 아직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대책을 줄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주에 있었던 총선의 영향으로 확진자가 다시 늘어날 가능성도 있고, 요즘 미세먼지도 없고 딱 밖에 나가고 싶어지는 날씨거든요.

정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생활방역 전환 내일 결정"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0&aid=0002878649

정부 "거리두기 완화해도 교회·술집 등은 예방준칙 필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1556419

정부에서 내일(4월 19일)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 여부를 결정한다고 합니다.
지난 5일 2주간 연장했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시한이 다가왔거든요.
그러면서 생활방역으로 전환해도 감염예방을 위한 예방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고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당장 종료하는 것 보다는 1주 정도 더 지켜보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왜냐하면 15일 총선으로 인한 추가 감염이 있었는지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 해서요.

또 4월 30일부터 5월 5일까지의 6일간의 황금연휴가 있는데 그 전까지는 거리두기를 유지해서 최대한 위험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해서 입니다.
아무리 정부가 막아도 5월 초 연휴에 모두를 다 집에만 두게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한주 정도 더 거리두기를 통해서 최대한 감염자를 줄이고 연휴에 맞춰서 거리두기를 종료하는 것이 가장 좋지 않나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수부왘
20/04/18 22:09
수정 아이콘
아직도 신천지가 언터폭이라고 봅니다. 육군훈련소에서 감염자 3명 모두 신천지였죠. 어딘가에서 감염자들과 함께 지금도 비밀집회 계속하고 있을게 뻔해요
ioi(아이오아이)
20/04/18 22:14
수정 아이콘
이제 슬슬 학교, 스포츠, 연예, 경제 쪽에서 야 이제 슬슬 정상복귀하자 라는 소리가 나오고

이러다 한번 더 크게 터지고 그게 잠잠해져야 원상복귀 된다고 봅니다.
소녀전선
20/04/18 22:16
수정 아이콘
?? : 해치웠나?
봄바람은살랑살랑
20/04/18 22:19
수정 아이콘
선거라는 전 국민적 이벤트도 끝났고, 이후로 2-3주 안에 별 일 없다면 그래도 안정세로 들어갔다고 봐도 되지 않을까 생각중입니다
파아란곰
20/04/18 22:20
수정 아이콘
진짜 카페에 사람들 미어 터집니다. 그냥 야외 꽃놀이만 가주세요 눈물눈물
인물들의재구성
20/04/18 22:21
수정 아이콘
계속 이대로 살순 없으니까요. 누가 총대 메긴 해야죠.
됍늅이
20/04/18 22:21
수정 아이콘
어차피 사람들 돌아다니는 숫자 보면 사람들은 정부의 권고보다는 일일 감염자 숫자 정보에 더 민감한 것 같습니다. 이걸 몇주 더 늘려 본들 무슨 의미가 있을지...
레게노
20/04/18 22:22
수정 아이콘
킹치웠나?
20/04/18 22:30
수정 아이콘
킹회적갓리두기 종료?
하늘하늘
20/04/18 22:33
수정 아이콘
하루 확진자 20명대(해외유입빼고) 정도에서 타협하고 스스로 생활방역을 항시 교육하고 스스로 잘 지킨다는 전제하에
모든걸 정상으로 돌리면 좋겠습니다.
매일 출퇴근시간엔 지하철이 붐비고 고강도사회적거리두기라고 해도 그동안 돌아나닐사람은 다 돌아다녔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상의 영역에선 전파가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출퇴근 지하철 수준으로 사람이 붐비는 곳에 있어도 마스크만 제대로 쓰면 감염될 가능성이 극히 낮고
2미터 이상 간격이 있는 야외에선 마스크도 불필요하죠.
또 가족같이 내가 상대의 감염여부를 알수 있는 상대와는 밀접접촉해도 무방하구요.

신규확진자 0을 목표로 하고 유지하는건 방역비용이 너무커서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WoodyFam
20/04/18 23:47
수정 아이콘
문제는 이번 주말을 기점으로 정말 많은 사람들이 그 마스크를 던져버린 느낌입니다.
자갈치
20/04/18 22:39
수정 아이콘
전 방심하면 안된다고 봅니다. 방심하다 서로 모이게 되면 확진자가 100명이 될지 2000명이 될지 모르죠..
독수리가아니라닭
20/04/18 22:47
수정 아이콘
까놓고 이제 사람들 계속 붙잡아두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루에 20명도 안 나오는 거 보면 긴장이 안 풀어질 수 없겠죠.
그래도 하다못해 마스크는 썼으면 좋겠어요...
한없는바람
20/04/18 22:52
수정 아이콘
싱가포르가 안심했다 하고 개학을 한 순간 펑하고 터져버렸죠
방심은 절대 할 수가 없어요...
하늘하늘
20/04/18 23:44
수정 아이콘
싱가폴은 초반 봉쇄만 믿고 '추적검사'와 '경증환자검사'를 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2개월동안 배양하다가 감염경로를 모르는 확진자가 70퍼 이상이 되자 바로 락다운 실시하고
대규모 검사를 시행해서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드러난 경우입니다.
싱가폴 확진자가 폭발한건 개학과는 상관없습니다.
스타슈터
20/04/19 00:54
수정 아이콘
싱가포르는 개학과는 상관없고 외국인 노동자 숙소 집단감염이 터진게 큽니다... 한국 신천지 터질때처럼 숙소 인원 대상으로 전부 검사를 하는 중인데 검사하는 족족 확진자가 나와서 올라가는 추세죠. 결정타는 마스크 착용 권고를 WHO 지침대로 유증상 환자만 쓰는걸로 했다가 추적불가인 확진자가 점점 불어났고 결국 정부가 모두 마스크 착용을 하는 쪽으로 선회했죠.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개학이 직접적 원인인 적은 없고 개학을 한지 얼마 안되서 대형 감염 클러스터가 속출하는 바람에 겹쳐 보인거고 그걸 기자들이 묶어서 입맛대로 기사를 쓰는것 같네요...
동년배
20/04/18 22:58
수정 아이콘
해외 빼면 10명 정도로 어느정도 일상으로 돌아오기는 가능할 수준 같습니다.
다만 신천지 같이 내부에서 쉬쉬하고 배양하다 대량으로 전염되는 사례 또 나오지 않게 마스크 쓰고 열나고 기침나면 일단 쉬는 문화 정착시키고 바로 바로 테스트하는 식으로 가긴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정부가 알아서 하겠지만 정부 주도의 대형 행사 등은 하지 말고 민간에서 참석인원 체크하고 체온재고 위험하다 싶으면 참가 불허하는 정도 방역 준비 안되어 있으면 행사는 못하도록 해야 하고요.
거친풀
20/04/18 23:0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술자리, 스포츠, 공연, 종교 행사가 제일 걱정이라고 봅니다
기타는 뭐 하라고 해도 이젠 다 지쳐서 말 안 듣겠죠. 이미 다 말 안듣고 있기도 하구요
그냥 상시 대응팀을 엄청 확대하고 조금만 일터지면 우륵륵 가서 경리하고 테스트하고 치료하고 해야겠죠.
국회 열리면 보건 복지부와 질본을 확대 하는 쪽으로 가는걸 논의 할 모양인듯 하내요
..항후엔 전염병 관리를 위해 유전자 생물 화학 통계예측 쪽 인력을 확보해서 상비군 같은 시스템이 나와야 할듯 합니다. (이게 질본인가 글적 글적)
VictoryFood
20/04/18 23:03
수정 아이콘
현재 차관급 본부인 질본을 장관급 외청으로 올리지 않을까 싶어요.
어쩌면 식약처처럼 국무총리 직속기관으로 갈지도요.
20/04/18 23:2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개학 원탑으로 봅니다.
애초에 통제가 힘든 집단에 아이들은 무증상 상태에서 혼자 학교와 집, 학원, 시가지 등등 모든 곳을 다니겠죠.
본인은 크게 아프지 않더라도 슈퍼 감염자가 될 가능성이 엄청 높습니다.
그래서 정부의 오프라인 개학 시기에 대한 결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VictoryFood
20/04/18 23:32
수정 아이콘
[단독] "교육부, 5월 고3부터 단계적 등교 개학 검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5&aid=0000808953

5월초 개학 검토하고 있답니다.
거친풀
20/04/18 23:53
수정 아이콘
그나마 고3은 좀낫게다 싶지만...불안 불안 하네요
거친풀
20/04/18 23:55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정말 원탑 중에 원탑이네요.
이젠 중3보다 초딩이 젤 무서운 세상이 될수도 있겠습니다.
스타카토
20/04/18 23:14
수정 아이콘
해치웠나? 방심은 금물이라고 인터넷에서 저도 함께 외치지만...
길가를 가다보면 카페마다 사람은 미어터지고 공원엔 텐트와 돗자리가득
아파트 놀이터마다 마스크안쓴 아이들이 가득하게 놀고있고...
엄마들은 아이들 노는동안 신나게 수다떨고...음식도 나눠먹고있고...
캠핑장 예약율은 꽤 높더군요. 동해안쪽은 90%가 넘고...
교회마다 부활절이후 오프라인 예배로 많이들 바꾸고..
학원은 이미 대부분 오픈했더군요.
선거날에 학원에서 전화오더군요 보낼거냐고...
다른 아이들은 등원하기로 했다고...
낚시함께하는 친구들은 어제부터 애들 데리고 낚시갔고...
이미 코로나가 끝났나 싶은 분위기에요.
이러다 2차폭발일어날까 참 걱정되는데...
결국 우리 아이는 어린이날 이후에 등원하기로 결심했어요. 아무래도 분명 조만간 폭발할것 같거든요.

안심되면서 참 불안불안한 요즘입니다.
내가 너무 예민하나 싶기도 하고 그러네요.
우주소녀
20/04/18 23:16
수정 아이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확진자가 줄었는데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그만하면 확진자가 다시 늘어나는거 아닌지 특히 육군훈련소 신천지 3명은 매우 찝찝한 상황인것 같아요.
Janzisuka
20/04/18 23:25
수정 아이콘
지금부터 딱 한달만 모두 빡세게 마스크라도 잘 하면 좋겠어요 이후 해외입국자들에 대한 조사만 성실히 해도 전세계 안정세까지 버텨질거 같은데

제 주변부터 이미 여행이나 외출 가는 모습(sns등)이 늘기 시작했고 물론 다행히도 마스크는 쓰고 가지만...

마스크 생활화는 당분간 꼭 강조해줬으면 해요

저야 가게 안쉬고 하다보니 자가격리 수준이긴한데..
12시 마감하고 맥주 한잔 하고 싶은거 꾹 참고는 있네요
아 침고여..
진짜 판데믹 끝나면
제일 먼저 목욕탕 가고 싶습니다..모텔도 가고싶고 코노도 바도 가고싶고...참자ㅜㅜㅜㅜ
Montblanc
20/04/18 23:26
수정 아이콘
사회적 거리두기를 마냥 연장할수도 없는게 지금 사람들이 체감이 안돼서 그렇지 각종 경기지표가 정말 절망적입니다.
조금씩 자연적으로 주말마다 풀릴수 밖에 없을텐데 시험적으로 주시를 해봐야겠죠.
20/04/18 23: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미 그동안 진행해온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는 많이 몸에 배었다고 봅니다.
이걸 푼다고 해서 회사에서 위생 강조나 체온 측정 등을 안하지는 않을 거에요. 어차피 걸리면 회사 닫는건 마찬가지인데요.

이번에 신천지 청년이 육군훈련소에서 걸렸는데 사회적 거리두기 해도 숨어서 퍼뜨릴 사람은 퍼뜨리고 안해도 마스크 끼고 다닐 사람은 할거라고 봅니다.

생활방역으로 들어가되, 등교만 늦추는 방향이면 될 것 같아요.

그동안 주말 지나면 혹시나 교회에서 퍼지지 않을까 걱정도 했었고 실제로도 그런 기간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철없는 사람들이 꽃놀이 간다고 기사도 나오고 하지만 생각보다 주말이 여러번 지났음에도 점점 줄어들고, 특히나 지역감염이 소규모 집단 감염이 있었음에도 한자리수로 유지된다는 건 사람들의 의식 수준이 많이 올라갔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시험적으로 풀되, 마스크는 꼭 하고 다니길 강조해주면 좋을 것 같다고 봅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0/04/18 23:30
수정 아이콘
신규확진자가 30명을 넘지 않기 시작한게 4월 6일부터입니다. 당연히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렇게 적게 나오는 상황에서 사람들의 경계심이 유지되기 힘든 것도 인지상정 아닌가 싶기도 해요. 전 주말마다 꼭 자전거를 타고 한강공원을 다녀오곤 허는디, 지난주까지만해도 마스크착용룔이 엄청 높았는데, 오늘은 마스크 착용률이 제가 보기로는 꽤 낮아졌더군요. 조정 자체는 불가피하다고 보고, 그에 맞춰서 대비책을 잘 강구하는 쪽으로 갈 수 밖에 없지 않나 싶네요
WoodyFam
20/04/18 23: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오늘 서울시내 보면 체감상 1/3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거나 제대로 착용하지 않고 돌아다니는 느낌입니다. 번화가의 사람들 밀도는 코로나 이전의 80% 수준은 족히 되어보이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불안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한번은 다시 터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잊지 말아야 할것은 지금의 1만명 감염자도 초기의 고작 30명의 사람들로부터 시작됐다는 점입니다.
Janzisuka
20/04/19 00:07
수정 아이콘
....댓글 보고 쭈욱 내리다가 월드비전에서 소금밥 먹어요 보고 정기후원했네요....으어...ㅜㅜ
힘내...ㅜ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648 [일반] 오늘은 하늘이 참 예뻤어요 [17] 及時雨8861 21/07/23 8861 13
92488 [일반] 랑종 유료 시사회 소감 (바이럴에 당했다 2) -미세먼지 스포- [37] Skyfall14775 21/07/11 14775 5
91802 [일반] 거 1등, 1등 하는데, 그 유록스라는게 뭐요? (요소수 이야기_약스압) [73] 은하관제21394 21/05/23 21394 41
91412 [일반] 달리기 좋아하세요? [67] likepa12392 21/04/19 12392 22
91389 [일반] [13]우면산 대성사 산책 [3] 及時雨7165 21/04/17 7165 6
91121 [일반] 미세먼지가 최악인 날에는 집구석에서 맛있는 걸 먹읍시다 [29] 비싼치킨10119 21/03/29 10119 25
90533 [일반] 응봉산 산책 [10] 及時雨5215 21/02/21 5215 6
90523 [정치] 높으신 분들은 중국을 참 좋아하나 봅니다 (피드백) [158] 나주꿀18620 21/02/20 18620 0
88317 [일반] 하늘이 참 예쁜 날 [11] 及時雨7211 20/10/07 7211 16
87201 [일반] 과거와 현재의 국뽕 - 민족적 국뽕과 성취적 국뽕 [19] 데브레첸9072 20/07/11 9072 3
86962 [정치] 반 꼴찌가 공부 못해도 잘사는 방법을 설교한다면? [60] antidote10106 20/06/28 10106 0
85750 [일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1번 확진자 이후 처음으로 10명대로 줄었습니다 [31] VictoryFood12096 20/04/18 12096 2
85470 [일반] [보건]유럽과 코로나 그리고 스웨덴 [78] 도뿔이16889 20/03/31 16889 2
85352 [일반] 작년과 올해 미세먼지/초미세먼지 비교 [39] 간손미11803 20/03/25 11803 5
85246 [일반] COVID-19와 기상과의 관계 [103] 여왕의심복13735 20/03/20 13735 31
85148 [일반] 다들 구글 미니홈 받으셨나요? [50] Elden Ring10953 20/03/17 10953 1
84220 [일반] 삶의 질을 높여주는 건조기 [53] 청자켓10117 20/02/01 10117 0
84159 [일반] 우한 폐렴에 대해 제가 보고 들은 것들. [49] 오클랜드에이스19282 20/01/27 19282 68
84060 [일반] 자동차 에어컨필터에 대한 고찰 [17] nickasmu7929 20/01/17 7929 1
83713 [일반] 김장시즌입니다! 김냉을 청소합시다!! [17] 비싼치킨7778 19/12/12 7778 11
83647 [일반] 수도권 및 6개 특광역시 공공기관 차량 2부제가 실시되었습니다. - 이과의 산수놀이로 보는 실효성 [62] 초록옷이젤다11395 19/12/05 11395 9
83133 [일반] 환경부의 미세먼지 메뉴얼. 심각 단계시 민간 강제 2부제, 임시 공휴일 검토 [23] 아유8141 19/10/15 8141 2
83081 [일반] 생애 첫차 구매기 [83] 건투를 빈다12772 19/10/11 12772 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