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1/14 13:47:22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왜 벨기에의 식민지였던 곳은 네덜란드어가 아닌 프랑스어를 쓸까? - 콩고민주공화국을 중심으로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tayAway
20/01/14 13:51
수정 아이콘
크킹에서 플랑드르 공작을 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플랑드르는 초보자에게 적극 추천하는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죠.
쿠크다스
20/01/14 14:21
수정 아이콘
유로파에서 플랑드르를 얻으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백년은 반란의 땅이죠..
FRONTIER SETTER
20/01/14 18:47
수정 아이콘
하지만 노스퀴토들이 배를 만든다면 어떨까요
aurelius
20/01/14 13:52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좋은 글 감사 드립니다 :)
뚜루루루루루쨘~
20/01/14 14:22
수정 아이콘
닉에서 오는 신뢰감이!!
회사라 사진이 많아 바로는 못 읽지만 선추천 드립니다!
20/01/14 14:24
수정 아이콘
닉글일치...
20/01/14 15: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하... 파트리스 루뭄바라는 이름이 나오니까 정말 감정이 복잡해집니다. 자주 기억하려는 이름이면서도 자주 까먹게 되더군요. 언급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란츠 파농과 함께, 탈식민주의를 이끌었던 프랑스 (언어) 학계의 지식인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인물이었지요. 둘다 조금만 더 오래 살았어도, 피지배-독립에서 시작하는 나라들을 위한 정신적인 가이드를 적어줄 수 있었을텐데 참 아쉽습니다. 이 두 사람이 해방된 조국에서, 독립 이후의 국가를 다루는 글을 쓰려고 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겁니다. 한 명은 병사로 한 명은 암살로... 저는 만일 이 책들이 완성되었다면 한국도 분명 엄청 혜택을 봤을거라고 생각해서 더 아쉽네요.
프란츠 파농이야 프랑스령 식민지에서 교육을 받았다쳐도 루뭄바는 왜 프랑스어가 모국어였는지 궁금했는데 이런 사정이 있었군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블루투스 너마저
20/01/14 16: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포 고 문
콩고 독립국민, 원주민이 아닌 유럽인종, 유색인종 거주민 및 콩고 국민들에게 1908년 11월 15일 부로 콩고독립국을 구성하는 영토의 주권을 벨기에가 갖게된다는 사실을 알리게 되어 영광입니다.

보마, 1908년 11월 16일
결석인 부총독님을 대신하여
식민지 감독관
길랑
동굴곰
20/01/14 16:51
수정 아이콘
씨게 세탁 돌린 나라.
레오폴드 2세는 히틀러, 스탈린이랑 동급에 놔도 할 말이 없을 인간.
20/01/14 16:52
수정 아이콘
요즘 토전사로 유럽 근세사 맛보고 있는 중이라 이런 유럽 근현대사 글보니 더 반갑네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꼬마군자
20/01/14 17:56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처음 알게 됐는데 흥미롭네요.
부질없는닉네임
20/01/14 19:44
수정 아이콘
닉값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밌게 읽었어요.
푸른등선
20/01/15 01:09
수정 아이콘
잘봤습니다. 19세기까지 프랑스어는 일종의 양반들이 쓰는 고급진 말이고 나머지 독일어 네덜란드어 등등은 삼류 아랫것들의 언어라는 인식이 유럽 각국 엘리트들의 생각이었군요..(아, 독일어는 아닌가요? 유럽에서 양반귀족하면 프랑스 오스트리아가 떠오르는데 오스트리아도 게르만이니까?? )
브리니
20/01/15 08:18
수정 아이콘
역사글 너무 좋아요.. 생각이 흐르는 중에 역사를 즐기는건 잔혹한 일인가 하는 물음이 되뇌입니다. 나은 방향으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겠거니하는 혼자만의 명분을 가져봅니다.과연?
달과별
20/01/15 11: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래 네덜란드어권이었던 브뤼셀의 프랑스어화도 비슷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집니다. 네덜란드어 명칭과 프랑스어 명칭이 아예 상이한데서 눈치를 채신분들도 많겠지만 접점이 없이 분리되서 살다가 네덜란드어 화자들이 참다 못해 자녀의 모국어를 프랑스어로 바꾼 경우죠.

현재 벨기에 프랑스어권 왈롱 지역의 쇠락을 목격하려면 공항이 있는 샤를루아만 가봐도 됩니다. 동유럽 수준의 슬럼 도시니까요.

그래도 불어권이나 네덜란드어권이나 같은 나라는 나라인게, 앤트워프 도시개발만 봐도 막장으로 유명한 벨기에 불어권이랑 전혀 다를게 없어요. 로테르담을 지은 네덜란드랑 비교된달까요.
유럽마니아
20/01/15 12:23
수정 아이콘
보충설명 감사드립니다. 앤트워프도 꼭 가보고 싶은 도시지요. 브뤼셀은 지나쳐보긴했는데..ㅠ
달과별
20/01/15 13:40
수정 아이콘
브뤼셀과 분위기가 다른 도시는 아니라고 하면 느낌은 오실 겁니다.

https://www.thetimes.co.uk/article/https-www-thetimes-co-uk-edition-weekend-a-weekend-break-in-antwerp-belgium-fbz8wf7w6-fbz8wf7w6

이렇게 아름다운 광장 한두개가 있고 나머진 이렇죠.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Antwerp_Tower_from_Leysstraat.jpg
내설수
20/01/15 20:06
수정 아이콘
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군과 터키군이 적국의 언어인 프랑스어로 대화했다는 사례가 있을 정도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096 [정치] 조원진과 갈라선 홍문종, 전광훈‧변희재 등과 통합 모색…총선 전 신당 가능성도 [28] 나디아 연대기8550 20/01/20 8550 0
84095 [일반] 안나푸르나 한국인 교사 실종과 국비외유 [74] 치열하게13795 20/01/20 13795 5
84092 [일반] 넷플릭스에서 지브리 작품 21편을 전세계 서비스 예정. [31] 삭제됨11704 20/01/20 11704 2
84091 [일반] 한국(KOREA)형 경제전략모델(2) [3] 성상우5183 20/01/20 5183 2
84090 [정치] 불교계에 육포선물이 왔다고 합니다. (정치) [148] 이른취침15318 20/01/20 15318 0
84089 [일반] [역사] 유길준의 서유견문에 대한 고찰 [1] aurelius7852 20/01/20 7852 4
84088 [정치] 안철수 입국 기자회견 전문 '실용적 중도정치 실현하는 정당 만들겠다.' [113] 니지12268 20/01/20 12268 0
84087 [일반] 영국 식민지 깃발들의 바탕색이 빨강, 파랑인 이유 [20] 삭제됨7682 20/01/20 7682 16
84086 [일반] 용돈의 정의 (feat. 유부남) [64] 카미트리아10891 20/01/20 10891 0
84085 [일반] 이국종 교수가 외상센터장 자리에서 물러납니다. [76] 시원한녹차14076 20/01/20 14076 0
84082 [정치] 원내 정당이 하나 더 생겼네요. [43] 유료도로당14226 20/01/19 14226 0
84081 [일반] [역사] 1906년 어느 조선 지식인의 기고글 [17] aurelius9218 20/01/19 9218 6
84080 [일반] 롯데 신격호 명예회장 별세. 향년 99세 [15] 독수리의습격11576 20/01/19 11576 0
84079 [정치] 유승민 "박근혜 빨리 사면됐으면…정치권 전체 노력해야" [133] 나디아 연대기17057 20/01/19 17057 0
84078 [일반] 아직도 영국 의회에서 사용하는 몇가지 중세 노르만 불어구절 [18] 삭제됨6700 20/01/19 6700 3
84076 [정치] 앞으로 민주당을 찍지 않기로 다짐한 이유 [104] antidote19090 20/01/19 19090 0
84075 [일반] [역사] 1919년 어느 한 조선인 노스트라다무스의 기고글 [33] aurelius14026 20/01/19 14026 19
84074 [일반] 한국의 미래 인구수를 계산해봤습니다. [105] Volha16159 20/01/19 16159 9
84073 [일반] [역사] 1919년 김규식은 파리에서 무엇을 주장했는가? [2] aurelius8000 20/01/18 8000 4
84072 [일반] 겨울왕국은 아렌델의 영토확장을 동화적으로 풀어낸 프로파간다 [23] VictoryFood12592 20/01/18 12592 21
84071 [일반] 인구론은 아직 유효한것 같습니다. [15] 삭제됨8152 20/01/18 8152 0
84070 [일반] 부산도 지역화폐가 나왔습니다. [27] style13930 20/01/18 13930 0
84069 [일반] 최후의 승자(2) [2] 성상우5621 20/01/18 562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