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2/19 15:25:30
Name Justitia
Subject [정치] 선거제도 이야기(2) - 석패율제가 뭐길래 (수정됨)
< 선거제도 이야기(2) - 석패율제가 뭐길래 >

그저께 올린
https://pgr21.co.kr/freedom/83779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특징과 레소토의 시행착오]
에서 이어지는 선거제도 글입니다.

어제 3+1(바른미래,정의,민주평화,대안정치)에서 30석 캡을 받아들이는 대신 석패율제는 그냥 유지하자(이번에 석패율제가 비로소 나온 게 아니고 패스트트랙 원안에 석패율제가 있습니다)는 식으로 단일안을 내고, 더불어민주당은 30석 캡은 오케이하지만 석패율제는 안된다 해서 아직 협의가 안 되고 있다는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그런데 2012년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민주통합당은 석패율제를 도입하자는 입장의 선봉에 서 있었습니다.
대체 이게 뭐길래 7년 전과 입장이 반대가 되었을까요?


1.
석패율이란 惜敗, 즉 아깝게 진 후보의 득표율입니다.
석패율 산정방식은 정하기 나름인데, 실제 시행하고 있는 일본은 당선자 득표수 대비 득표비율로 정합니다(이번에 올라간 패스트트랙 원안 방식도 이와 같습니다).
당선자가 10만 표를 얻었는데 자기가 9만 9천표를 얻고 떨어지면 석패율은 99%가 되는 것이지요.
※ 후보자들의 평균득표를 기준으로 한다든가 하는 방식도 가능합니다. 방식은 정하기 나름입니다.

석패율제는 현재 일본에서만 시행하는데, 비례대표명부에 지역구 후보를 중복입후보시키고, 그들끼리 경쟁시키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대구경북의 지역구 의석수는 27개인데요. 현행법의 253:47에 의하면 지역구와 비례가 대략 5:1이니까 대구경북권의 비례의석은 5석이 될 겁니다.
※ 현재 논의되고 있는 것은 준연동형이지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현행 제도인 병립형으로 설명합니다.

3당 이하의 득표력 추정이 널뛰기할 수밖에 없어서 현실적으로 이 숫자대로야 안 나오겠습니다만, 일단 역대 총선결과에 준하여 대구경북권의 비례대표 제2투표에서 자유한국당이 55%, 더불어민주당이 35%를 얻었다고 가정하지요.
5석이니까 나머지 정당은 얼마가 나오든 비례의석이 없고, 자유한국당이 3석, 더불어민주당이 2석을 가져가겠습니다.

이때 명부 2번에다가 지역구 후보자를 몰빵하는 겁니다. 몰빵하는 숫자는 법으로 정할 수도 있고 정당에서 정하게 하는 방식도 있을 수 있겠지요.
※ 2번인 이유는, 1번은 여성할당이기 때문임

원래 우리나라의 구속식 정당명부는 중앙당에서 정하고 유권자는 선택권이 없는데요. 석패율제 하에서는 비례대표 명부에 대한 간접적인 투표가 일어나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전체 지역구 후보자 중 "가장 아깝게 떨어진 후보 개인"이 당선되는 것이 아닙니다. 정당이 비례의석을 받아야만 경쟁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죠.
예컨대 甲지역구에서 석패율 99%로 낙선한 바른미래당 후보가 있다고 하더라도, 바른미래당이 비례의석이 없으면 그냥 말짱꽝입니다.
이와 달리 乙지역구에서 석패율 60%로 낙선한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그 이상의 석패율을 기록한 당내 경쟁자가 없다면 당선이 되겠죠(이에 따라 乙지역구는 지역구 의원이 사실상 2명이 됩니다 - 이는 이중등록이 관례인 독일도 마찬가지여서, 한 지역구에 의원이 2~3인인 경우가 꽤 많습니다).
결국 석패율 제도는 아깝게 떨어진 "지역구후보자 개인"의 구제제도가 아니고, "정당 내"에서 비례명부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1-1.
독일은 왜 안 할까요? 지난 글에서도 말씀드렸지만 독일에서는 중복입후보제만 시행하지요.
그런데 독일도 이 중복입후보제를 사실상 석패율제에 가깝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석패율이 높을 만한 후보를 상위순번에 공천하는 관행이 있거든요.
주별로 똑같지는 않지만, 대부분은 상위순번부터 한 번호씩 경선을 하는데 일단 추천위에서 번호추천을 하고, 그 다음에 도전자가 있으면 경선을 합니다. 그런데 추천에 있어서의 중요요소가 지역구 득표력입니다.
의외의 선전으로 득표율이 확 올라간 사람이 아니면 대부분의 석패율 상위자가 의원이 됩니다.
비례대표의원의 거의 전원이 지역구 낙선자입니다.
석패율이 높은데 자기편이 잘 해버리는 바람에 의회에 못 가는 경우는 가끔 있습니다. 해당 주의 자기당 지역구 당선자가 너무 많아서 비례추가의석이 0이면 석패율 예상 1번이어서 비례 1번을 받더라도 낙선하니까요.


2.
어제 더불어민주당이 반대를 했습니다만, 사실 이건 고 노무현 대통령이 계속 추진했었던 제도입니다. 계속 부산에 출마에서 장렬히 전사했던 그 경험에서 우러나온 것이었죠.
그래서 2012년까지는 거꾸로 민주통합당이 이를 추진했었구요. 정작 통합진보당은 반대를 했었습니다.
당시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는 한나라당이 수도권에서 망할 건데 석패율제 했다가는 나경원과 전여옥이 생존해서 국회로 들어온다고 쌍수들고 반대를 했습니다. 고 노회찬 의원도 당시 대변인으로서 반대입장을 냈죠.
이거 때문에 당시 후보단일화 논의가 엎어질 뻔 하기도 했습니다.

사실 더불어민주당의 영남지역 당원들은 이거 하고 싶을 겁니다. 근데 중앙당은 싫어하네요. 왜 입장이 바뀌었을까요?
그리고 2012년의 통합진보당과 2019년의 정의당 사이에서는 무슨 변화가 있었던 것일까요?


3.
다시 한번 전제하고 넘어가자면, 석패율제는 아깝게 떨어진 지역구후보자 개인의 구제제도가 아니고, "정당 내에서" 비례명부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위 예에서 보셨습니다만, 현행의 병립형 비례대표제 하에서 권역별로 쪼개면 비례의석이 몇 개 안 나옵니다.
거기서 석패율제를 하면 해당지역 2당만 좋습니다. 3당부터는 비례의석을 거의 못 받으니까요.
전국 단위 비례대표제를 하면 표를 모아서 계산하는데, 권역별로 쪼개면 그나마 몇 개 받는 비례의석이 더 줄어들 것 같으니 통진당은 이걸 받을 수 없었던 거죠.

2012년으로 돌아가 봅니다. 민통당은 어딜 가든 2당 안에 듭니다. 한나라당은 호남에서 2당이 못 됩니다. 통진당은 호남 빼고 2당 안에 못 듭니다.
이유가 어렴풋이 보이시죠? 통진당은 호남과 (배정의석수가 커서 3당 이하에게도 비례의석이 배분되는) 수도권을 제외하면 다 사표가 되는 것이니 받아들일 수가 없었죠.
석패율제 자체가 문제가 아니었던 겁니다.

그런데 이제는 준연동형이 되니까 계산방식이 달라집니다. 5석 안에서 비례의석을 나누는 것이 아니고 32석을 기준으로 의석수를 나눈 다음에 지역구 의석수를 빼는 방식이니까요.
자유한국당은 대구경북에서 비례대표를 한 석도 못 가져갑니다. 나머지를 다른 정당이 나누겠지요.
석패율을 적용해도 문제가 없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4.
비례대표에 대한 선호가 낮은 사람들의 주된 이유는, 내가 관여하지 않은 절차에 의하여 당선자가 결정된다는 점에 대한 저항감이지요.
그런 점에서 석패율은 중앙당이 사실상 의원을 결정한다는, 구속식 비례명부의 단점을 피하는 명분이 있는 제도입니다.
전 글에서도 말씀드렸지만, 독일식 비례대표제에서 지역구 선거결과가 비례명부의 0번을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과 비슷한 맥락입니다.

2012년 당시 통합진보당이 반대했던 것은, 석패율제를 할 경우 위와 같이 비례의석이 줄어든다는 문제도 있긴 했지만, 하나의 문제가 더 있었습니다.
국민들에게 인지도가 낮은 당권파는 비례순위가 밀리고 참여계가 대거 입성한다는 것입니다.
당내경선을 하면 이기지만 유권자에게 맡기면 밀린다는 것이었지요.


5.
석패율제는 이론상으로 중진 구하기가 되진 않습니다. 그냥 지역구에서 득표를 많이 하면 비례경쟁에서 이기는 겁니다.
참여정부 당시 정무수석이던 유인태도 석패율제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지였다고 밝히면서 "전여옥, 나경원 살려주니 반대한다고 하는 것은 석패율의 기본조차 모르는 것"이라고 반박하기도 했죠.

물론 언론에 많이 알려진 중진이 득표율이 높을 가능성이 있기는 한 것이니 전혀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러나 속내는 그것이 아니지요.


6.
중진구하기용은 안된다는 명분을 내세운 더불어민주당의 진의는 겉으로는 밝히지 않은 점에서 찾아야 합니다.

석패율제는 소수당의 지역구 출마를 촉진합니다.
실제로 이중등록제이지만 석패율제 비슷하게 운영되는 독일을 보면, 비례대표로만 당선되는 3당 이하의 후보자들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모두 지역구에 중복입후보합니다. 득표성과가 다음 선거의 비례순위에 영향을 미치니까요.

단순다수대표 소선거구제 하에서는 당선가능성이 없는 소수당 후보는 나가든 말든 헛수고입니다. 이 때문에 원하지 않는 후보의 당선을 막기 위해 중도사퇴하기도 합니다.
※ 물론 현재도 소수당 간판으로 열심히 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줄세우기투표를 대비한 정당투표확보용이기도 하고, 다음 지선을 위한 이름알리기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석패율제를 적용하면 지역구에서 끝까지 완주하는 것이 엄청나게 중요해집니다.
지역구 후보가 비례명부에서 석패율을 적용받으려면, 떨어지더라도 출마를 해야 하고, 최대한 1위와의 득표격차를 줄이도록 노력해야 되니까요.

2등 못하면 소용없는 것 아니냐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을텐데, 자기 당 내에서의 경쟁인 만큼 등수는 상관없습니다. 득표력이 중요한 것이니까요.
예컨대 위 대구경북에서 정의당이 비례대표 2석을 얻고 2번 자리가 석패율 자리라고 하죠.
甲구 : 당선인 자유한국당 7만표 / 2위 더불어민주당 6만표 / 3위 정의당 A 2만표
乙구 : 당선인 자유한국당 9만표 / 2위 새로운보수당 6만표 / 3위 정의당 B 2만표
丙구 : 당선인 자유한국당 12만표 / 2위 정의당 C 2만표 / 3위 우리공화당 1만표

이렇게 되면 다 똑같이 2만표씩 얻었고, 심지어 C는 2등까지 했습니다만 1위와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순위가 밀리고, A가 석패율이 가장 높아서 비례 2번으로 당선인이 됩니다.
더불어민주당이 가장 걱정하는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6+2로 2를 주저앉히거나 사표심리를 자극하면 (2가 자유한국당으로 갈 가능성은 희박하니) 이길 수도 있었을 것 같은데(사실 단일화는 그다지 효과가 없는 방식입니다만 믿음의 영역이죠), 따로따로 나오니 자기당 후보만 떨어지고 자기당을 제외한 나머지 둘은 국회에 입성합니다.

즉 2012년(2016년에도 일부)에 있었던 단일화는 없거나 최소한에 그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이 그동안 써 왔던 "지역구에서는 정의당 찍으면 사표" 주장도 의미가 없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석패율제 대신 비슷한 제도인 독일식 중복입후보제를 주장하는 이유가 명백하게 드러납니다.
이중등록제로 비례명부가 픽스되면 지역구에서 열심히 득표할 유인이 사라지니까요.
※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독일은 정당명부 선순위라고 해서 소선거구에서 대충 뛰지 않습니다. 다음 선거의 명부순위 결정에 영향을 미치니까요. 중앙당이 그때그때 기준을 달리 적용하는 우리나라 비례명부와는 다르지요.


7.
지난 글에서 뉴질랜드는 다수대표제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요.
과연 쉽게 되었을까요? 뉴질랜드의 양대정당이 천사라서 3당 이하의 제안을 덜컥 받아서 선심을 썼을까요?
소수당이 아무리 주장해도 거대정당들은 까딱도 하지 않는데요. 이건 선진국이라고 다르지 않습니다.
묘한 선거결과가 반복되고, 선거에서 이겨보자고 거창한 말을 꺼냈다가 막상 이기고 나니 자기 말을 뒤집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여러 번 일어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되었는데요. 사실 천운에 가깝습니다.
선거제도에 대하여 정당이 내세우는 명분이 무엇이든간에 그 뒤에 숨은 속내는 자기 편 챙겨주기 위한 의석수 추구일 수밖에 없으니까요. .
지난 글에서 말씀드린 레소토와 알바니아에서 일어난 복사정당 꼼수짓도 마찬가지 맥락이지요.


원래 뉴질랜드 이야기로 월급도둑질을 하려 했으나, 석패율 보도가 나오다 보니 먼저 쓰게 되었네요. 뉴질랜드 이야기는 다음에 하도록 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뿌엉이
19/12/19 15:33
수정 아이콘
요즘 벌어지는 선거제 논의는 개혁도 아니고 그냥 나눠 먹기식 머리싸움이라
반대하고 찬성하고가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더민주는 다른 법안통과을 위해 의석수 손해보고 패키지로 하는거고 나머지당은 한석이라도 더 먹을려고 하는거죠
근본적인 문제는 지역구 선거 제도 하에서 비례식 명분을 같다 붙여서 뭘 만들려니 노답이죠
19/12/19 15:49
수정 아이콘
지역구 나누기나 의원수 정하기등을 국회가 아니라 다른 곳에서 하도록 하는게 좋아보이긴 합니다만 뭐 당연히 각 정당에서 추천한 분들이 들어가서 할 가능성이 높아서 뭔 차이가 있을려나 싶다가도 그렇더라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듯 싶긴한데 그 조차도 국회에서 법을 만들어 통과시켜야 하는 일이라 언제나 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그건 그렇고 전 각 당이 명분을 내세워서 자기당의 당선자를 더 내려는 자체를 비판할 생각이 없습니다.
그 명분이 구릴때 비판이야 가능하겠습니다만 명분이 있고 어느쪽의 명분이 더 확실하냐에 따라 협상을 하고 그 협상의 결과가 조금이라도 나은 결과가 나온다면 불만이 있더라도 해야 한다고 봅니다.
민주당이나 소수 야당들이나 다 각자의 이득이 있는 것이겠지요.
다만 어떤 선거제 변경도 현재보다는 지형 자체를 흔든다는 점에서 해볼만한 일이고 흔들리기 시작하면 흔들리는 걸 막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찬성합니다.
솔로15년차
19/12/19 16:10
수정 아이콘
이게 대의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에 의한 것이죠. 선거법도 결국 법이니까 국민이 결정해야하는 것이라 대표성을 띈 곳에서 법을 결정해야만 하죠.
제가 연동형 비례제를 선호하는 여러 이유들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게리멘더링의 영향이 적어지니까요.
꺄르르뭥미
19/12/20 02:53
수정 아이콘
헌법에 "국회를 통과한 선거법은 4년이 지나야 효력을 갖는다" 정도로 문구를 넣어야한다고 봅니다.
사악군
19/12/19 15:56
수정 아이콘
선거법에 대해서는 현재 올라온 안의 제도가 너무 복잡한거 같아서
구체적인 내용이나 적용되었을 경우의 셈법은 살피지 못했는데 이렇게 정리해주시니
훨씬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들도들
19/12/19 16:00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솔로15년차
19/12/19 16:0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석패율이건 뭐건 간에 이중등록에 찬성하는 편입니다. 노무현이나 노회찬 같은 케이스 때문인데요. 단점도 있지만 단점을 감수해야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현시점의 근원적인 문제는 결국 국회의원 숫자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보고요. 일단 늘려야죠.
mudblood
19/12/19 16:31
수정 아이콘
민주당 입장에서는 본인들의 비례의석을 양보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댓가로 사법개혁 법안 통과를 받은 것인데, 석패율제 도입시 지역구에서마저 소수정당들의 피나는 노력 때문에 피해를 볼 가능성이 커지니까요. 영남에서 매번 2등으로 밀려 떨어졌기 때문에 석패율 적용을 원하던 과거 민주당과는 달리, 지금은 영남에서도 수많은 헤딩 끝에 드디어 노력으로 의석을 따낼 수 있는 상황까지 만들어졌고요. 선거제 개편으로 얻을 이득이 정말 단 하나도 없게 된 거죠. 민주당에서 야4당의 선거제 개편안에 진심으로 찬성하는 사람은 아마 대통령밖에 없을 겁니다. 어차피 대통령 본인에겐 나가야 할 다음 선거가 없으니까요.
솔로15년차
19/12/19 16:37
수정 아이콘
지금도 영남에선 석폐율제를 도입하면 민주당 후보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현재 의석도 영남에서의 민주당 정당지지율에 비해 적게 나오는데다, 의석이 더 낮아질 가능성도 높으니까요.
이 부분은 그냥 민주당 내에서 영남권 국회의원들이 힘이 없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라 봐야죠. 어차피 11명인데다, 대부분 초선인데요. 11명 치고, 초선 치고 당내에서 영향력은 있는 편이겠지만, 그래봐야 소수인거죠.
mudblood
19/12/19 16:45
수정 아이콘
석폐>석패
네, 영남지역 당원들과 출마자들은 제발 되기를 원하고 있겠죠. 그런데 석패율제 도입으로 인한 당선자에게 줄 금뱃지는 각자 당의 비례 의석에서 차출해가는 것이기 때문에 중앙당 입장에선 자당의 전체 의석 수에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금뱃지가 0개이던 지역에서 몇 개라도 생김으로서 얻을 교두보 역할의 국회의원은 16년에 이미 획득해서 별 메리트가 없고요. 반면 석패율제 도입으로 열심히 뛸 소수정당 출마자들은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정의당과 바른미래당의 수도권 출마자가 지금까지완 다르게 자기들 갈아넣으면서 최대한 득표율 올리기에 집중할 경우 민주당이 수도권에서 볼 손해는 온전히 민주당의 전체 의석 수로 연동됩니다. 상황이 생각하던 것보다 심각해질 수 있다는 걸 코앞에 닥치니 실감한 거겠죠.
소독용 에탄올
19/12/19 16:43
수정 아이콘
국회의원 수를 두배 이상 늘리고
지역대표성을 지방자치로 넘기고 지역구를 없엔 뒤에 완전비례대표로 바꾸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례대표선정문제라면 개방명부식을 굴릴수도 있으니까요....

의원정수에 손을 못대니 보정의석도 못굴리는 방식에 지역구를 못줄이니 뭔가 이도저도 아닌 물건이 나온거죠.
DownTeamisDown
19/12/19 17:12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는 지역구가 아예 없는 개방명부식은 못합니다 거기다가 국회의원 숫자까지 늘리면 후보가 3000명은 넘을꺼고 어쩌면 만명 볼 수도 있습니다.
전국을 20개 정도의 지역으로 나누면 개방명부식 해볼수 있을것 같긴 합니다
Quantum21
19/12/19 16:56
수정 아이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지지 정당에 관계없이 모두에게 유익한 내용인것 같습니다.

사실 이런식으로 진영논리 없이 단지 제도에 관한 내용은 정치카테고리가 아니어도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읽는 분들도 조심해야만 분란없이 잘 유지될테지만요..
Justitia
19/12/19 17:28
수정 아이콘
일반으로 하고 싶은데 현안에 관한 내용이 있어서 일단 이번 편까지는 정치로 했습니다.
뉴질랜드 부분은 거의 현안과 관련이 없는 역사적 내용이니 다음 편에는 과감하게 일반으로 해 보겠습니다.
푸른호박
19/12/19 18:03
수정 아이콘
좋은글 감사합니다. 변화와 개혁은 항상 응원합니다. 그에 따르는 희생과 부작용이 있다는걸 인지해야 하고요.
검찰개혁 난이도 너무 높아요. 권력 최상층이라
청춘거지
19/12/19 18:04
수정 아이콘
공수처, 검경수사권 때문에 민주당에서 저러고 있는데 이제 그만 했으면 합니다.

밥 그릇 싸움 하는거 꼴도 보고 싫고 안 그래도 싫어하는 심상정 정동영 이런 사람들 얼굴도 그만보고싶습니다.

비례위성정당 생기는껀 뻔하고 앉아서 정의당은 의석수 꿀꺽 하겠지요. 민주당, 자유한국당 비레표는 사표가 될테구요.

선거법은 직관적이고 쉬워야합니다. 지역구 나누고 비례는 비례득표로 나눈다. 얼마나 깔끔해요?

연동형이고 석패율제고 뭐든 선거법 반대합니다. 검경수사사권조정은 꼭 통과했으면 하는데 선거법 원하는대로 안해주면 야4에서 반대하겠지요.

그래도 어쩔수 없습니다. 내년 총선에서 여당이 공약하고 의석수 만들어서 다시 통과시키는방법밖에요.

지금 법사위에 묶인 법안 본회의에 올라간 예산부수법안과 많은 법안들 이게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밥 그릇 싸움 그만하고 여당 야당 항상 말하는 그 민생 좀 챙깁시다.
VictoryFood
19/12/19 22:40
수정 아이콘
사실 연동형 비례도 깔끔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국회의원 총수를 선거 결과에 따라서 늘리면 됩니다.
지역구는 지역구 대로 하고 비례득표에 따라서 비례국회의원을 제한없이 늘리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지역구가 300이라고 했을 때 A정당이 200석, B정당이 100석, C,D 정당이 0석을 얻고 비례득표를 A,B,C,D 모두 25%씩 얻었다고 하면 비례국회의원을 B 정당에 100석, C 정당에 200석, D 정당에 200석으로 왕창 늘려줍니다.
그러면 비례득표에 맞춰서 A,B,C,D 정당은 25%씩의 국회의원이 생기게 되는 거죠.
(여기에 본문에서 말하는 석패율이 들어가냐 마냐가 되는 거구요.)
그런데 이렇게 하면 국회의원이 무려 800명으로 늘어나게 되어 국회를 싫어하는 국민들의 반대하죠.
the hive
19/12/19 18:05
수정 아이콘
유승민을 보내버리려고 저렇게 까지 하나 싶었는데...내부사정일수도 있겠군요
VictoryFood
19/12/19 22:32
수정 아이콘
이런 글에는 추천 버튼 눌러야 하는데 추천 버튼이 없네요. ㅠㅠ
꼬마군자
19/12/19 23:33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지훈'카리스
19/12/20 07:56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설명 감사드립니다
트루할러데이
19/12/20 09:16
수정 아이콘
오오, 단순히 아깝게 진 사람에게 회생의 기회를 주는 제도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19/12/20 11:16
수정 아이콘
지난 글도 그렇고 정치 카테고리라 추천 드릴 수 없는 게 아쉽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837 [정치] 전국 오피스텔, 전월셋값 큰 폭으로 동반 상승 [39] Leeka10391 21/01/04 10391 0
89821 [정치] 정부 거리두기 정책에 첫 공식적 반기를 든 업계가 나옵니다. [171] 회색추리닝18357 21/01/03 18357 0
89539 [정치] 정경심 유죄 판결을 받은 걸 보고 그동안의 이야기들을 쭉 읽던 중에 이런 기사를 보았습니다 [12] 닌자359500 20/12/24 9500 0
89425 [정치] 거짓말한 건 아닌데 화가나는 보도반박자료 [10] style11195 20/12/20 11195 0
89353 [정치] 국토부, 36곳 조정대상지역으로 신규지정 [100] relax11771 20/12/17 11771 0
88919 [정치] 공보의가 바라보는 K-방역 [148] 줄리엣18928 20/11/26 18928 1
88828 [정치] (추가)국토교통부 전세대책발표 + 추가 규제책 발표 [272] 맥스훼인16202 20/11/19 16202 0
88739 [정치] 문재인의 검찰개혁. [180] 플라20070 20/11/11 20070 0
88653 [정치] 서울 전셋값 0.7% 상승…11년 만에 '최고' 기록 [43] Leeka9908 20/11/05 9908 0
87821 [정치] 한동훈과 '육탄전'…정진웅 부장, 차장검사 승진, 윤석열 측근들은 좌천 [98] 미뉴잇12984 20/08/27 12984 0
87630 [정치]  김부겸 "호남은 문제없는데…보수당 묻지마 지지하는 영남은 문제" [116] 미뉴잇16097 20/08/12 16097 0
87254 [정치] 최근의 서울시장 관련 여러 소식들 [202] 쿠보타만쥬24671 20/07/15 24671 0
86819 [정치] 코로나19 제2차 유행 방지는 실패같네요. [66] Friday13961 20/06/20 13961 0
86673 [정치] 주호영 "내일 국회 파행 가능성..원 구성 진전 없어" [106] 감별사10972 20/06/11 10972 0
86287 [정치] 진중권의 미통당 강연 내용 정리 [111] 텅트14550 20/05/17 14550 0
86110 [정치] 권영진 대구시장이 지역 라디오 진행자를 고소했습니다. [58] GRANDFATHER__14043 20/05/08 14043 0
84271 [정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정부 대응 관련 여론조사 결과 [73] 덴드로븀11007 20/02/05 11007 0
84082 [정치] 원내 정당이 하나 더 생겼네요. [43] 유료도로당13296 20/01/19 13296 0
83809 [정치] 새로운보수당, ‘성매매 여성 비하’ 민주당 제명된 홍준연 구의원과 ‘반 페미니스트’ 인사들 영입 [209] 나디아 연대기20405 19/12/20 20405 0
83799 [정치] 선거제도 이야기(2) - 석패율제가 뭐길래 [23] Justitia7377 19/12/19 7377 0
83158 [정치] 조국 사태가 남긴 생각들 (2) - 이현 강사 [45] bifrost13177 19/10/17 13177 0
83112 [정치] 민주·한국 지지율 격차 0.9%p···文 대통령 지지율도 최저치 경신 [275] 미생19565 19/10/14 19565 0
83080 [정치] 대구 경북 차세대 리더 1위 [39] 갈색이야기13834 19/10/11 1383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