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1/04 11:26:58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신간] Hitler: A Global Biography (수정됨)

영국 역사학자 브랜든 심스의 신작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그의 저서 두권이 번역되어 있는데 [유럽: 패권 투쟁의 역사][영국의 유럽]이 있습니다

브랜든 심스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브랜든 심스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최근에 [히틀러]에 대한 평전을 새로 출간했는데, 여러 모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화제작이라고 합니다. 

brendan simms hitler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사실 히틀러에 대한 평전은 이미 무수히 많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가장 유명한 권위자는 Ian Kershaw이죠. 
그래서 2019년 오늘날, 또 갑자기 웬 히틀러냐....라고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브랜든 심스가 새롭게 조명하는 히틀러의 주안점은 [유대인][레벤스라움]도 아닙니다. 
그에 따르면 히틀러가 궁극적으로 증오했던 것은 [영국/미국의 세계질서]였습니다.
히틀러는 유대인들이 영국과 미국의 자본주의를 지배한다고 보았고, 
양국은 결국 유럽대륙을 노예로 만들 것이라고 보았다고 합니다. 
그는 러시아도 유대인들의 음모에 놀아나서 공산화되었다고 믿었고, 
그래서 [유럽을 지키려면, 유대인을 말소하고 영미와 전쟁을 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대단히 도발적인 시각인데, 어떻게 이를 뒷받침하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브랜든 심스는 브렉시트 찬성파이며, 영국이 유럽에 종속되는걸 반대하는 학자라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그는 영국과 미국의 소위 말하는 [Anglo-American 질서]가 유럽대륙의 그것보다 우월하다고 보는 사람입니다. 
따라서 그의 신간은 유럽통합을 찬성하는 리버럴들에게 많이 까이고 있는데
또 다른 유명한 독일역사 전문가 크리스토퍼 클라크는 그의 저서를 꽤 괜찮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 또한 히틀러의 모든 망상을 [영미에 대한 열등감]으로 환원시키는 담론에 대해서는 비판하고 있습니다. 

한국에도 그의 저서가 두권이나 번역되었으니, 이것도 번역되지 않을까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1/04 17:19
수정 아이콘
히틀러는 앵글로 색슨을 독일인과 같은 아리아인 민족 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가요?

영국하고도 전쟁하기 싫어했던걸로 기억하는데... 특이한 관점의 책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503 [정치] [단상] 지소미아 건의 교훈 [53] aurelius10517 19/11/22 10517 0
83495 [일반] [역사] 메이지 유신에 대한 간략한 요약 [18] aurelius8398 19/11/22 8398 9
83486 [일반] [역사] 일본은 언제 자국을 상대화했을까? [11] aurelius8483 19/11/21 8483 10
83483 [일반] [도서] 프랑스인이 쓴 북한현대사 [8] aurelius7802 19/11/21 7802 6
83476 [일반] [북한] 최선희, 북러 국제·역내 전략공조 위해 방문 [6] aurelius8190 19/11/20 8190 1
83468 [일반] [역사] 19세기 프랑스인의 눈에 비친 조선 [29] aurelius12220 19/11/19 12220 35
83462 [일반] [고문서] 조선천주교의역사 (1874年) [12] aurelius7286 19/11/18 7286 8
83450 [일반] [뉴스] 트럼프 "일본도 방위비 4배 더 내라"…연 80억달러 요구 [44] aurelius15757 19/11/16 15757 1
83436 [일반] [단상] 오늘날 세계정세 요약 [39] aurelius12662 19/11/15 12662 31
83411 [일반] [토막글] 청일전쟁의 진정한 승자는 영국? [10] aurelius7806 19/11/13 7806 1
83405 [일반] [역사] 이토 히로부미 이야기 [16] aurelius9072 19/11/13 9072 20
83400 [정치] [논점]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계인 [67] aurelius8145 19/11/13 8145 0
83398 [일반] [단문] 일본과 인도의 오랜 관계 [17] aurelius8726 19/11/13 8726 5
83397 [정치] [단상] 자유한국당 홍콩 관련 논평에 대하여 [69] aurelius10078 19/11/13 10078 0
83392 [일반] [단상] 일본근대사를 배워야 하는 이유 [59] aurelius14165 19/11/12 14165 20
83383 [일반] [역사] 1877년 조선 외교관의 일본시찰 [40] aurelius12624 19/11/10 12624 13
83364 [일반] [인터뷰] 어제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과 이코노미스트 인터뷰 [17] aurelius9684 19/11/08 9684 12
83354 [일반] [도서] 광동무역체제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구 관련 [6] aurelius7107 19/11/07 7107 4
83338 [일반] [단상] 저출산과 인구절벽에 대한 개인적 생각 [260] aurelius12813 19/11/06 12813 14
83314 [일반] [신간] Hitler: A Global Biography [1] aurelius6253 19/11/04 6253 4
83309 [일반] [일본도서] 이번주에 구입한 책 목록 [17] aurelius8948 19/11/03 8948 3
83295 [일반] [단상] 아직도 서양이 압도적이라고 느끼는 분야: 지식 [32] aurelius14016 19/11/01 14016 18
83294 [일반] [역사] 일본 최초 방미사절단의 반응 [11] aurelius12977 19/11/01 12977 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