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6/14 19:43:51
Name 유쾌한보살
Subject [일반] 국 이야기.





유월이 시작되고 보리가 누르스럼하게 익어가면,  시댁에선 <꼬랑치 미역국>을 자주 끓여 먹었습니다.
꼬랑치는 이 때가 가장 맛나다고들 하지요.
통통허니 살도 오르고 노르짱~ 하니 기름도 돌았습니다.
비늘 없이 미끌거리는 몸통에 호감 못 주는 외모이긴 해도,
이 시기의 꼬랑치는 오돌거리는 살이 고소한 맛까지 있습니다.

길이 30센티 정도 펄떡거리는 놈을 사다가 ..
너댓 토막내어(관세음보살...) 돌미역에 양념은 멸장 하나로
뽀얀 국물에 기름이 동동 뜨는 미역국을 끓여 내었습니다.


무국 미역국 콩나물국 ....처럼, 재료 두 가지와 양념 하나로

바다를 혀끝으로 느끼게 한다거나,

투명한 시원함이 답답한 가슴 속을 훑고 지나가게 한다거나,

땅 속에서 50여일을 견딘 무맛으로 잠시나마 삶의 고단함을 잊게 한다거나...

뭐 그런.. 맛을 내려면 비법 아닌 비법,
다시 말해 세월이 필요하다는 이치를 요즘에야 알게 되었네요.




결혼 전엔 생선 넣은 미역국을 먹어본 적이 없었지요.
주로 멸치나 건홍합을 넣은 미역국이었습니다.  (연례행사로 소고기)
근데 시댁에선 주로 제철의 활어 생선으로 미역국이나 쑥국 등을 끓이더군요.
그러면 싱싱한 활어는 다아 미역국과 엮일 수 있느냐... 하면,    아닙니다.


설 지나.. 논과 에 얼음이 녹고 매화가 피면,   도다리.

보리가 익고 녹음이 푸르러가면, 꼬랑치.

추석 쇠고 서리 내리기 전까지는 감성돔.


뜨끈한 생선미역국 한 그릇에 밥 말아 먹었다고,
근심 걱정까지 털어낼 순 없어도, 든든해서인지 한결 여유로운 마음이 되는 기분이곤 했지요.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철 활어>란 점인데요.
같은 감성돔이라도 계절에 따라 맛이 확연히 다르더란 말입니다.
그래서 봄에 감성돔을 사거나 가을에 도다리를 흥정하는 주부를 보면,
마치 여름에 오리털 점퍼를 입거나 겨울에 반바지 입은 사람을 보는 느낌이랄까요.
하기사 요즘은 거의 대부분 생선이.... 양식이라, 제철을 따져쌌는 게 오히려 우습지만 말입니다.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국(음식)이 있는 것 같더군요.


막내고모가 시집가기 전에 자주 부쳐주던 파전 (남편)

여름에 도랑치고 나면 어머니가 끓여주시던 추어탕.

할머니댁에 가면 큰어머니가 들깨가루 넣어 끓여주시던 토란국.

 미끌거리며 목구멍으로 넘어가던 토란의 그 느낌.

장마가 길어지면  자주 먹던 감자수제비.

식구가 두레상에 빙 둘러 앉아 고개를 처벅고 먹던,  그 뜨거운 수제비.

선풍기는 털털거리며 돌아가는데

반찬은 두레상 한 가운데 놓인  열무짠김치 하나.

하굣길에 친구들과 가끔 들르던(가난한 시절이라 자주는 못 가고)  시장통 입구 만보당 찐빵.
달디 단 팥죽을 듬뿍 끼얹은 찐빵...



잊지 못하는 게 음식 맛인지, 그 음식에 얽힌 사연이나 이야기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 맛을 떠올리면  연이어 연상되는 기억이나  추억, 혹은 그 누군가들.
다시는 그 맛을 못 보기에 더욱 소중해지는  그들입니다.



오늘,  간만에 어시장까지 진출하여 길이 30센티 꼬랑치 암놈 두 마리를 사 왔습니다.
내일 아침에 꼬랑치 미역국을 끓여야겠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6/14 20:25
수정 아이콘
우리 사이트의 큰누님 반갑습니다.
유쾌한보살
19/06/14 20:44
수정 아이콘
고마워요... 어머님이 아니어서...
19/06/14 21:15
수정 아이콘
어... 머님?
유쾌한보살
19/06/14 21:37
수정 아이콘
제가 좀....올드합니...흐흙...
19/06/14 21:48
수정 아이콘
제가 좀 더 젊었어야 하는데...ㅜ
사악군
19/06/14 21:51
수정 아이콘
다른 사람들도 젊지 않아서 고마우실 일은 아닙니다..흐흐흐
19/06/14 21:13
수정 아이콘
참 좋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유쾌한보살
19/06/14 21:38
수정 아이콘
우리(응?) 통했습니까..
오리엔탈파닭
19/06/14 21:23
수정 아이콘
감각 중에 시각 이미지가 가장 강하다고들 하지만 제일 오래 무의식에 남아서 기억을 돌려놓는 것은 향기라고 하더라구요.
어릴 때 먹었던 음식들이 새삼 그리워지네요.
유쾌한보살
19/06/14 21:41
수정 아이콘
그렇습니다. 향기.... 조만간 향기(냄새)에 관한 글을 써보고 싶군요.
사악군
19/06/14 21:57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꼬랑치가 뭔지 몰라 찾아봤더니 등가시치라고 하고 장치라고 불리는 올챙이처럼 생긴 바다물고기중에 하나군요. 은근히 저렇게 생긴 고기가 많네요..
유쾌한보살
19/06/15 06:51
수정 아이콘
시어머니는 `장갱이` 라고 부르시더군요.
5월 말에서 6월 말 그 즈음까지만 맛있고, 겨울엔 살이 퍼석해서 그냥 줘도 안 먹는다는 말씀도 하셨지요.
저는 아직도 ` 그 맛 `을 구분하지 못하지 말입니다.
메이진
19/06/15 00:45
수정 아이콘
제목만 보고 글쓴이 맞혔어요..
유쾌한보살
19/06/15 06:54
수정 아이콘
고맙습니다.
나쵸치즈
19/06/15 08:41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아침으로 뜨끈한 미역국 먹고싶어지네요~
유쾌한보살
19/06/15 13:27
수정 아이콘
미역국에 새알(찹쌀+맵쌀) 여남은 알 넣어서 끓이면, 밥 안 먹어도 국만으로 아침밥이 되더군요.
19/06/15 09:38
수정 아이콘
저도 생선 넣은 미역국 먹어보고 싶네요. 제가 하기는 좀 무서운데 어디 한번 먹어볼 곳 없으려나..
유쾌한보살
19/06/15 13:29
수정 아이콘
처음엔 약간 비린 맛이 있습니다.
봄에만 <도다리 미역국>을 끓여 파는 횟집들이 더러 있더군요.
칼라미티
19/06/15 12:55
수정 아이콘
생선 넣은 미역국 맛이 궁금하네요. 먹어본 적이 없어서...
유쾌한보살
19/06/15 13:33
수정 아이콘
경우에 따라 약간 비린 듯해도 자꾸 먹다보면,
쇠고기나 조개 홍합보다 미역과의 궁합이랄지...조화랄지....생선이 더 맞는 것 같더라고요.
하우두유두
19/06/16 10:15
수정 아이콘
글 좋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062 [일반] 최후의 승자 [2] 성상우6412 20/01/17 6412 2
83518 [일반] 김장은 다들 잘 하셨나요? (feat 좋은 절임배추 구매하는 법) [6] 크림샴푸7221 19/11/23 7221 4
83509 [일반] 창세기의 전략 [22] 성상우7448 19/11/22 7448 3
83417 [일반] [앨범]평범한 래퍼의 비범한 앨범, 오도마 - [9] 정글자르반6844 19/11/14 6844 3
81606 [일반] 도무지 참을 수 없는 분노가 치밀어오르는 존윅3 쒸익쒸익 (스포) [41] 에리_910001 19/06/26 10001 8
81488 [일반] 국 이야기. [21] 유쾌한보살6149 19/06/14 6149 17
81381 [일반] [연재] 제주도 보름 살기 - 열두째 날, 숙소 이동 [4] 글곰5806 19/06/03 5806 13
81316 [일반] [연재] 제주도 보름 살기 - 여섯째 날, 우도 [28] 글곰6634 19/05/28 6634 23
80967 [일반] 공주보 교량, 지하수, 가뭄 그리고 가짜뉴스(PD수첩) [24] 읍읍13338 19/04/27 13338 24
80785 [일반] 어찌 그 때를 잊으랴. ㅡ 사물탕. [10] 이순6788 19/04/13 6788 19
80493 [일반] 인생 [18] happyend7267 19/03/20 7267 30
79936 [일반] [번역 펌]인삼과 서양삼, 역사와 현실, 신화와 사실 [39] 醉翁之意不在酒10186 19/01/30 10186 20
77045 [일반] 컴플렉스 이야기 [24] 위버멘쉬9623 18/05/21 9623 25
75532 [일반] 생존을 위한 이기적인 몸부림. 나와 역사공부 [12] 9년째도피중5684 18/01/22 5684 10
75125 [일반] 고기의 모든 것, 구이학개론 #8 [16] BibGourmand12280 17/12/24 12280 33
74828 [일반] [단편] [기담] 귀(鬼) [13] 마스터충달6171 17/12/04 6171 11
74674 [일반] 1377년, 한반도가 불타오르다 [26] 신불해14309 17/11/21 14309 30
74656 [일반] 정사 삼국지 관련 인상적인 주요 대사들 '100선 모음' [43] 신불해15763 17/11/18 15763 30
74588 [일반] 정사 삼국지 관련 인상적인 몇몇 대사들 [49] 신불해13660 17/11/14 13660 20
74410 [일반] 낳은 정, 기른 정 [9] 나이스데이6706 17/11/01 6706 25
74303 [일반] 영화 리뷰 리틀 포레스트 [7] 솔빈6494 17/10/24 6494 2
74009 [일반] 천하무적의 군인 황제, 혹은 옥좌에 앉은 광대-후당 장종 이존욱 [20] 신불해14127 17/09/29 14127 34
73943 [일반] 2000년, 그들이 발렌타인 21년산을 마셨던 날 [26] 글곰7280 17/09/26 7280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