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5/28 23:57:52
Name 글곰
File #1 20190528_135430.jpg (1015.1 KB), Download : 57
Subject [일반] [연재] 제주도 보름 살기 - 여섯째 날, 우도


  아침식사는 어제 먹고 남은 닭강정. 날씨는 맑음. 바람은 매우 거셈. 힘껏 점프했다가는 공중제비를 돌며 한라산 중턱까지 날아갈 것 같은 바람이었다. 제주도에는 바람이 많다는 옛말이 틀리지 않은 모양이었다.

  우도로 출발하기 전에 성산항에 전화를 넣어 보았다. 금일 정상운행이라는 답변을 받고 성산항으로 향했다. 우도는 렌터카 출입 금지였지만 서울에서 개고생하며 차를 끌고 온 내게는 해당 없는 이야기였다. 나보다 나이가 많을 것 같아 보이는 배에 차를 싣고 우도로 들어갔다. 시간은 오래 걸리지 않았다. 거센 바람과 일렁이는 파도 탓에 배가 꽤나 흔들렸지만 멀미 기운을 느끼기도 전에 이미 목적지였다.

  우도에는 배가 드나드는 포구가 두 군데 있다. 선착장을 나오면 차량을 빌려주는 곳이 가득했다. 작은 경차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2인승 삼륜차를 선택했다. 렌터카 입도가 금지된 후로 전기 삼륜차는 우도의 명물이 된 모양이었다. 그러나 커플들이 해맑은 미소를 지으며 쌍쌍이 삼륜차에 타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괜히 눈꼴이 시고 배알이 뒤틀렸다. 젠장. 니들은 여자친구나 남자친구가 있어서 좋겠구나. 나는 애인도 없고 연인도 없고 단지 아내밖에 없는데.

  우도는 작은 섬이었다. 한 바퀴 도는 데 넉넉잡아 두 시간이면 충분했다. 늦은 점심식사를 곁들여 느지막이 다녔는데도 네 시간이 미처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비록 작을망정 우도는 아름다운 섬이었다. 흰색과 옥색과 검푸른 빛이 뒤섞인 바다는 무척이나 이국적이었고 기묘한 모습으로 우뚝 솟은 절벽은 절로 감탄을 자아냈다. 특히 제주도에서 또다시 배를 타고 들어가야 한다는 지리적 문제 때문인지, 사람들의 손길이 지나치게 닿은 관광지 느낌이 비교적 적어서 좋았다. 다만 우도 어디를 가나 흔히 볼 수 있는 땅콩 아이스크림은 단언컨대 그저 그랬다. 굳이 두 번 먹고 싶지는 않은 맛이었다.

  점심은 섬소나이라는 식당에서 먹었다. 메뉴가 다섯 종류인데 그중 셋은 (비싼) 짬뽕이고 나머지 둘은 피자라는, 꽤나 괴악한 조합을 자랑하는 곳이었다. 하지만 해물을 잔뜩 넣은 짬뽕 국물은 의외로 맛이 좋았고 피자는 아이가 잘 먹었으니 결과적으로는 최고의 선택이었다. 아이와 함께하는 여행에 최적화되어 있다고나 할까.

  밥을 먹은 후 때마침 가게를 찾아온 까만 색 동네 개를 쓰다듬으며 아이는 무척이나 기뻐했다. 그래서인지는 모르겠으나 다시 제주도로 돌아오는 배 안에서 아이는 내게 물었다. 우리 우도에 또 올 수 있을까? 나는 웃으며 대답했다. 당연하지. 그리고 속으로 생각했다. 네가 이제는 엄마 아빠와 다니기 싫다고 투덜거릴 만한 나이가 되기 전이라면 말이지.

  선착장으로 돌아오는 길은 일부러 삼륜차가 많은 해안도로를 피해 내륙의 골목길을 택했다. 해안도로에 비하면 한적하다 못해 한산하기까지 한 길을 따라가며 오래된 시골집 담장 옆을 지나치다 문득 우도에 뿌리박고 사는 주민들을 생각했다. 매일 수천 명이나 되는 관광객들이 끊임없이 들락거리는 섬의 모습을 보며 그들은 무슨 생각을 할까? 관광객을 상대로 한 가게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섬의 경제가 관광을 중심으로 완전히 재편된 게 확연했지만, 그럼에도 우도에는 여전히 작은 을 가꾸고 바다에 나가 그물을 던져 먹고 사는 평범한 주민들이 있었다. 그들이 바라보는 과거의 우도와 지금의 우도는 과연 어떠할까?

  단지 뜨내기일 뿐인 나로서는 짐작할 수조차 없는 일이다.

  다시 성산항으로 돌아온 우리는 섭지코지로 향했다. 섭지코지라는 명칭의 의미와 유래에 대해서는 입구 근처의 판때기에 적혀 있었지만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주차장은 붐볐고 사람들은 많았으며 걸어야 하는 거리는 생각보다 길었다. 그러나 걸어가면서 보는 해변의 풍광은 그럴 만한 가치가 있었다.

  섭지코지를 한 바퀴를 돌아보는 데는 대략 한 시간 반 정도가 걸렸다. 햇살은 따가웠지만 거센 바람 덕택에 덥지는 않았고, 사람은 많았지만 평일 오후였던 탓에 치일 정도는 아니었다. 그러나 여름 휴가철에 이곳을 찾아왔더라면 분명히 크게 후회했을 거라는 예감은 들었다. 이곳이 별로라는 뜻은 아니다. 다만 사람이 적을 때 와야 더 좋을 것 같다는 뜻이다. 하기야 대부분의 관광지들이 그렇겠지만.

  우도에 이어 섭지코지까지 돌아보자 오늘 하루도 알뜰하게 흘러갔다. 식당에 들려 밥을 먹으며 오늘은 단 한 번도 내 손으로 밥을 차리지 않았다는 사소한 기쁨을 마음껏 만끽했다. 더 좋은 건 식탁 위에 새로 산 빵이 있다는 사실, 즉 내일 아침에도 나는 스스로 밥을 차릴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다. 만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29 00:38
수정 아이콘
글 잘 읽고 있습니다.

근데 한 가지 궁금한건, 보름 살기랑 보름 여행이랑은 뭐가 다른건가요? 왜 굳이 여행이라 안하고 살기라고 이름 붙이는건가요?
제랄드
19/05/29 07:19
수정 아이콘
베이스 캠프 유무, 자가 취사 빈도가 아닐까 싶네요.
어느 정도 살림도 하는, 일종의 현지인 코스프레?
19/05/29 10:22
수정 아이콘
돈을 막 쓰면 여행
조금 덜 쓰면 살기
아주 덜 쓰면 다녀오기
로 전문가들은 구분합니다.
19/05/29 10:3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 그 정의를 따르면 제가 해왔던건 대부분 다녀오기였네요 ㅠ
Notorious
19/05/29 01:0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저도 이번에 제주도 가보려고하는데 글이 큰 도움이 되네요. ^^
19/05/29 22:50
수정 아이콘
재미나게 다녀오세요~!
19/05/29 02:22
수정 아이콘
사진도 예술이네요 잘 읽고 갑니다
제랄드
19/05/29 07:33
수정 아이콘
우도 해안가 식당에서 자연산 멍게, 해삼, 문어 등등을 먹었었죠. 허름한 가게 외관과는 달리 어마어마하게 비싼 가격이었어요. 제주도 중문시장에서 회를 배 터지게 먹었던 다음날보다 여기가 더 비쌌습니다. 주문할 때마다 아주머니가 해안가에서 직접 줏어오길래 그러려니 했습니다. 자연산+여행뽕에 취했던 상태이도 했고.
나중에 나름 제주도 잘 아는 지인에게 들었는데, 그거 다 시장에서 (중국산) 사온 다음 그물망에 넣어서 해변에 던져놨다가 주문 들어오면 하나씩 가져오는 거라고 하던데, 진위 여부는 모르겠습니다. (아닐거야... 아닐꺼야...)
참돔회
19/05/29 07:59
수정 아이콘
으악
전직백수
19/05/29 10:43
수정 아이콘
으아악
알리야
19/05/29 10:53
수정 아이콘
으아아악
19/05/29 12:13
수정 아이콘
멍게 해삼 문어가 바닷가에서 잡을 수 있는 해산물이 아니라... 해녀들이 깊은 바다속까지 잠수하는 이유가 있습죠 ㅠㅠ
제랄드
19/05/29 21:50
수정 아이콘
제주도에서 (해녀가?) 잡은 걸 해변가 어딘가(?)에 모아놨다가 주문 때 가져온다... 고 하셨는데... 과연? ㅡ,.ㅡ (맞을 거야... 맞을 거야...)
Hammuzzi
19/05/29 08:35
수정 아이콘
우도에 한번정도 꼭 가보게되고싶은 글입니다! 제주도 놀러가보고싶네요!
19/05/29 22:50
수정 아이콘
한 번 가 보시죠. 추천합니다.
Zoya Yaschenko
19/05/29 10:19
수정 아이콘
여행지는 한적하면 한적할 수록 좋더군요. 맛이 살아나는 기분
srwmania
19/05/29 10:23
수정 아이콘
오 사진 좋습니다.
19/05/29 22:49
수정 아이콘
제 사진이 좋다는 칭찬은 난생 처음 들어봅니다.
이쥴레이
19/05/29 10:35
수정 아이콘
우도 좋죠.

제주도 일주일 여행때 생각나는 명소는 우도와 성산일출봉이었습니다.
우도에서 파도가 많아서 대여한 스쿠터를 가지고 가지는 못했지만 내륙도는 버스투어가 있어서 표 끊어놓고 잘 이용했습니다.
해변가는 아직도 끝내주었다고 생각하네요.

돈이 많다면 언제가는 우도가서 살지 않을까 합니다. 크크
CozyStar
19/05/29 13:05
수정 아이콘
올해초 우도에 낚시를 갔다가 만난 현지인과 대화중 제가사는 곳이 고향이라는 기막힌 우연이 있었는데
어쩌다 우도까지 들어왔냐고 물어보니 결혼해서... 그 말투의 늬앙스는 니들은?..... 크크크
19/05/29 22:51
수정 아이콘
혼자라면 그냥 걸어서 돌아도 괜찮겠더라고요. 그 정도로 풍광이 좋았습니다.
그루트
19/05/29 11:04
수정 아이콘
제주도 가고싶어지는 글이네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사업드래군
19/05/29 11:52
수정 아이콘
직장 생활 하면서 10년간 보름은 커녕 1주일 휴가도 제대로 간 적이 없는데, 저도 제주도 가서 한 번 느긋하게 지내보고 싶네요...
마리아 호아키나
19/05/29 13:39
수정 아이콘
2주 전에 다녀왔는데 일자리만 있으면 3년 정도는 살고싶더라구요.
후기 잘 보고 있습니다.(2)
19/05/29 22:52
수정 아이콘
3년은 저로서도 무리인 게, 생활비를 마군이 벌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마'이너스통장...ㅠㅠ
Multivitamin
19/05/29 17:44
수정 아이콘
땅콩아이스크림은 별로죠(2) 우도는 높은 관광객 물가만 빼면 좋더군요.
에인셀
19/05/29 21:24
수정 아이콘
우도, 삼륜차, 커플. 메모 완료했습니다. 흐흐.
19/05/29 22:52
수정 아이콘
우도(에서는)
삼륜차(에 탄)
커플(을 공격한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062 [일반] 최후의 승자 [2] 성상우6412 20/01/17 6412 2
83518 [일반] 김장은 다들 잘 하셨나요? (feat 좋은 절임배추 구매하는 법) [6] 크림샴푸7221 19/11/23 7221 4
83509 [일반] 창세기의 전략 [22] 성상우7448 19/11/22 7448 3
83417 [일반] [앨범]평범한 래퍼의 비범한 앨범, 오도마 - [9] 정글자르반6844 19/11/14 6844 3
81606 [일반] 도무지 참을 수 없는 분노가 치밀어오르는 존윅3 쒸익쒸익 (스포) [41] 에리_910001 19/06/26 10001 8
81488 [일반] 국 이야기. [21] 유쾌한보살6149 19/06/14 6149 17
81381 [일반] [연재] 제주도 보름 살기 - 열두째 날, 숙소 이동 [4] 글곰5806 19/06/03 5806 13
81316 [일반] [연재] 제주도 보름 살기 - 여섯째 날, 우도 [28] 글곰6635 19/05/28 6635 23
80967 [일반] 공주보 교량, 지하수, 가뭄 그리고 가짜뉴스(PD수첩) [24] 읍읍13338 19/04/27 13338 24
80785 [일반] 어찌 그 때를 잊으랴. ㅡ 사물탕. [10] 이순6790 19/04/13 6790 19
80493 [일반] 인생 [18] happyend7267 19/03/20 7267 30
79936 [일반] [번역 펌]인삼과 서양삼, 역사와 현실, 신화와 사실 [39] 醉翁之意不在酒10186 19/01/30 10186 20
77045 [일반] 컴플렉스 이야기 [24] 위버멘쉬9623 18/05/21 9623 25
75532 [일반] 생존을 위한 이기적인 몸부림. 나와 역사공부 [12] 9년째도피중5684 18/01/22 5684 10
75125 [일반] 고기의 모든 것, 구이학개론 #8 [16] BibGourmand12280 17/12/24 12280 33
74828 [일반] [단편] [기담] 귀(鬼) [13] 마스터충달6172 17/12/04 6172 11
74674 [일반] 1377년, 한반도가 불타오르다 [26] 신불해14309 17/11/21 14309 30
74656 [일반] 정사 삼국지 관련 인상적인 주요 대사들 '100선 모음' [43] 신불해15763 17/11/18 15763 30
74588 [일반] 정사 삼국지 관련 인상적인 몇몇 대사들 [49] 신불해13660 17/11/14 13660 20
74410 [일반] 낳은 정, 기른 정 [9] 나이스데이6706 17/11/01 6706 25
74303 [일반] 영화 리뷰 리틀 포레스트 [7] 솔빈6494 17/10/24 6494 2
74009 [일반] 천하무적의 군인 황제, 혹은 옥좌에 앉은 광대-후당 장종 이존욱 [20] 신불해14127 17/09/29 14127 34
73943 [일반] 2000년, 그들이 발렌타인 21년산을 마셨던 날 [26] 글곰7280 17/09/26 7280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