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1/17 22:10:47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일본의 제국주의에 대하여 (1) : 약자의 제국주의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trieval
19/01/17 23:44
수정 아이콘
이 사상이 일본의 지독한 선민의식과 자기중심주의의 기반이군요. 레이더 사건의 뻔뻔함도 함께 이해가 되네요
펠릭스30세(무직)
19/01/18 02:57
수정 아이콘
사회진화론의 그림자가 가장 크게 드리운게 바로 일본이 아닌가 싶어요.

그럴수 있는 위치여서 그런게 제일 큰 것 같지만.
유소필위
19/01/18 08:10
수정 아이콘
흥미로운 글입니다
19/01/18 09:14
수정 아이콘
흥미로운 글 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본의 제국주의는 서구제국주의와는 뭔가 이념적으로 이질적인 면모가 있습니다. 이런 잘 드러나지 않는 요소에 대해서 한국은 계속해서 골치아프게 연구해야하는 위치에 자리잡게 됬네요.

그런 의미에서 낭만적인 다이쇼에 대한 그들의 관념도 한번 생각해볼만합니다.

왜 일본은 제복을 그리 멋지게 생각하는가. 아름답게 그려지는 일본 역사물은, 군국주의 직전의 메이지 유신 이후 어중간한 산업화된 그 절반의 동양과 서양을 섞여있던 키메라적인 '다이쇼'를 서글프고도 아릅답게 그리는가. 막말 이후로 가장 인기 있는 창착물의 시대가 바로 이 다이쇼인가.

일본인들이 전부 제국주의가 그리운 파쇼잔당이어서 그러기에는, 마치 프랑스의 혁명기가 더러운 정치음모와 잔인한 대량학살로 얼룩진 시기였음에도,

(영국작가이지만) 찰스 도킨스가 역사소설 '두 도시 이야기'에서 "최고의 시절이자 최악의 시절, 지혜의 시대이자 어리석음의 시대였다. 믿음의 세기이자 의심의 세기였으며, 빛의 계절이자 어둠의 계절이었다. 희망의 봄이면서 곧 절망의 겨울이었다."이라고 부를 수 있었던 격동의 시대이자, 인간 드라마의 시대로 '낭만'적으로 보는 것처럼.

'다이쇼' 역시 일본인들에게는 오히려 실패하지 않고, 진정한 '대동아공영'을 이룰수 있었던 '아쉬운' 시기로 보는 오묘한 그런 그리움이 있는 것 같아요. 그 토양에서 '우익'과 더 나아간 '극우'가 등장하는 것이고...
19/01/18 15:19
수정 아이콘
가끔 보면 일본문화 작품 내의 이지메 가해자의 논리랑 비슷한거같아요.

어쨌든 너도 당할만한 허물이 있잖아?

이지메물을 무수히 쏟아내면서 가해자들을 비판하는 서브컬쳐 창작자들이
일본 제국주의 사상에 빠져들어있는 경우가 많다는게 아이러니...

작품에선 온갖 좋은소릴 다 하면서 작가는 이기적이고 저열한 국가관을 SNS에서 표출하니 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847 [일반] 그까짓 거 아빠가 사 줄게! [168] 글곰17640 19/01/24 17640 148
79846 [일반] '연애하지 못함'에 대하여 [109] 삭제됨11880 19/01/24 11880 51
79845 [일반] 여론 참여 심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19] jjohny=쿠마5849 19/01/24 5849 2
79844 [일반] 스무살 우리 적금 가입후기 [21] 읍읍12061 19/01/24 12061 2
79843 [일반] 저는 왜 태어났을까요? [126] 삭제됨14313 19/01/24 14313 14
79842 [일반] 양승태 전 대법원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되었습니다 [31] Davi4ever9053 19/01/24 9053 37
79841 [일반] 엔하위키는 왜 폭파되어야했을까? [54] 고통은없나11990 19/01/23 11990 3
79840 [일반] 육아는 템빨 -6- [31] 비싼치킨10941 19/01/23 10941 17
79839 [일반] 윾튜브 채널이 폭파되었습니다 [109] rottopik17941 19/01/23 17941 9
79838 [일반] 문대통령 "대기업 대주주 중대탈법에 스튜어드십코드 적극행사" [26] 홍승식11181 19/01/23 11181 11
79837 [일반] 미세먼지에 대해서 궁금한 부분을 물어봤습니다. [60] 물맛이좋아요11091 19/01/23 11091 31
79836 [일반] 선거 이론의 현주소 [14] 삭제됨6475 19/01/23 6475 6
79835 [일반] 용산의 추억(2) - 진짜 본편은 지금부터. [16] Croove6997 19/01/23 6997 14
79834 [일반] 자게, 스연게 운영위원 세 분을 모셨습니다. [44] jjohny=쿠마6870 19/01/23 6870 12
79833 [일반] 나는 군대를 다녀왔으니 홍역은 걱정이 없다구!!! [114] 여왕의심복14011 19/01/23 14011 25
79832 [일반] 지지 [28] 형냐8093 19/01/23 8093 2
79831 [일반]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개설후기 [128] 읍읍13624 19/01/23 13624 0
79830 [일반] [외신] 프랑스-독일 신우호조약 "아헨 조약" 체결 [61] aurelius12251 19/01/23 12251 6
79829 [일반] 용산의 추억(1) - 재고와 매입의 정의 [18] Croove8887 19/01/22 8887 18
79827 [일반] "수도권 전셋값 당분간 내리막길" 역전세난 장기화되나 [113] 청자켓17272 19/01/22 17272 3
79826 [일반] 윈도우 이벤트 뷰어 이야기 [7] Love.of.Tears.14769 19/01/22 14769 1
79825 [일반] 헬스 약쟁이들의 부작용. [97] 네오바람21210 19/01/22 21210 9
79824 [일반] 도시화는 완결되었는가? 유목민의 귀환은 다시는 없을 것인가? [33] 삭제됨8106 19/01/22 8106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