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1/07 23:02:05
Name 퀀텀리프
Subject [일반] 지구는 둥글다
둥글다는 말을 쓰고보니 이게 맞는 단어인가 하는 생각부터 든다. 둥글다.. 둥글다?
구글로 검색해보니 맞는 표현인것 같다.

요즘 세상에도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거부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한편으로는 "지구가 둥글면 어떻고, 네모지면 어떤데.. 그래서 어쨌다고?"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다.

그러나, 지구가 둥글다는 발견은 인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지구가 편평하다고 생각했을때는 원거리를 항해하면 배가 지옥으로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그러니 멀리 갈수 없었다.
지구가 둥글다고 하니  용기를 내어 바다 끝까지 가게 되어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게 되었다.
아메리카 대륙이 역사속에 본격적으로 들어오게 된것이다.

그 이후 서구 열강들은 수많은 배를 지구 곳곳으로 보내어 식민지 쟁탈전을 벌이고
대영제국이 해가 지지 않은 제국을 건설한바 있다.

오늘날 전세계를 지구촌이라고 할만큼 연결이 되고
하루에도 수천대의 비행기가 지구의 이쪽 저쪽을 왕래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 모든 것은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발견한 것에서 출발한다.

코페르니쿠스의 지구구체설(지구구형론)은  그 시대 사람들에게 "그래서 어쨌다고" 라는 반응이 있었을것도 같다.
그러나 이후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주 차원으로 보면 빅뱅론이 이에 비견할만 하다.
130억년전  한개의 점이었던 우주가 대폭발 하여 오늘날의 우주릉 형성했다는 이론이다.
인간의 지능으로 지구, 우주, 생명의 신비를 발견해 가는 것을 보면 놀랍다.

요즘은 유투브등에서 우주 시뮬레이션설(가상세계설)이 많이 올라온다.
시뮬레이션 이론이 증명이 된다면 인간의 지식은 또다른 차원으로 발전할듯 싶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캡틴리드
18/01/07 23: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대 사람들이 많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지구가 둥글다"라는 사실이 대항해시대 때 알게 되었다는 것인데, 고대 그리스 시절, 중세 때 이미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습니다. 애초에 아리스토텔레스도 지구는 구형이라고 주장했는걸요.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측정도 지구가 구형이라는 사실을 기반으로 한 것이고, 천동설에서도 지구를 구형으로 표현하지요. 코페르니쿠스도 지구 구형설을 주장한게 아니라 지동설을 주장한 것이죠. 천동설, 지동설과 지구구형설, 지구평면설은 전혀 다른 이야기입니다.
콜럼버스나 마젤란의 항해는 험한 바다에서 상상할 수 없을정도로 오래 항해를 해야하기 때문에 반대의견을 받았던 겁니다.
홍승식
18/01/07 23:26
수정 아이콘
닉이 글쓰신분이랑 너무 비슷해 보여서 왜 자답하시나 했어요. 크크크크
18/01/07 23:36
수정 아이콘
콜럼버스의 경우는 콜럼버스의 당시 주장처럼 아시아 가기 위한 목적이고, 당시에 알려진대로 아메리카 대륙이 없다고 가정하면 뻘짓 그자체..
괄하이드
18/01/08 00:02
수정 아이콘
에라토스테네스는 진짜 엄청난것 같아요. 기원전의 사람인데 '지구가 둥글다' 수준을 넘어서서 지구의 둘레(약 4만km)를 거의 정확하게 계산했다는게... 진짜 놀라울 따름입니다.
jjohny=쿠마
18/01/07 23:46
수정 아이콘
윗분 말씀대로, 글쓴 분께서 이래저래 잘못 알고 계신 것들이 있습니다. 아래 링크들을 참고하셔요.
https://namu.wiki/w/크리스토퍼%20콜럼버스#s-2.2
https://namu.wiki/w/플랫%20에러
좋아요
18/01/07 23:51
수정 아이콘
아 이제 둥글다는 표현만 보면 특정인물이 생각나게 돼 버렸(..)

늙어죽기 전까지 우주 끝에 뭐가 있는지 설명해줄 과학자느님을 영접할 수 있기를.
18/01/08 07:05
수정 아이콘
지구는 둥글지만 우주는 평평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크크
퀀텀리프
18/01/08 10:52
수정 아이콘
흠.. 글을 쓰면서 뭔가 찜찜하다 했는데 여러 오류들이 있군요.
일단 코페르니쿠스가 아닌 "과학자"라고 하는 것이 맞겠네요.
그리스 철학자들의 얘기는 알고는 있는 내용이지만 지구구체설의 인식이 식자층에서나마 받아들여진 시점의 문제인것 같고요.
그외 플랫오류나 콜럼버스 신화는 교과서기반의 상식이 잘못된 것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348 [일반] CPU 취약점 분석 - 멜트다운 [45] 나일레나일레16389 18/01/10 16389 68
75347 [일반] 잡담)애기키우기 힘드네요 [77] 염력 천만14310 18/01/10 14310 30
75346 [일반] 에데사와 500인의 아랍도적 [10] 물의백작6025 18/01/09 6025 6
75345 [일반] 작전과 작전 사이 (1) - 이대도강 [13] 이치죠 호타루8012 18/01/09 8012 7
75344 [일반] 남북회담이 끝나고 합의문이 발표되었습니다. [74] 홍승식12954 18/01/09 12954 5
75342 [일반] 거래소들이 정말로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을까요? [86] 예수15860 18/01/09 15860 16
75341 [일반] 1987을 보수정부에서 진실을 밝혔다는 자유한국당... [38] 마르키아르12476 18/01/09 12476 0
75340 [일반]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 발표 [133] 길갈18006 18/01/09 18006 8
75339 [일반] 비행기가 뜨는 이유를 아십니까? (이과아님) [53] 차인남자11976 18/01/09 11976 4
75338 [일반] 그래도 지구는 돈다. [25] 세인트8813 18/01/09 8813 23
75337 [일반] [뉴스 모음] 가짜뉴스 메이커 조선일보 외 [19] The xian16697 18/01/09 16697 34
75336 [일반] 개헌에서의 대통령 권한 분권에 대해 [77] 홍승식8581 18/01/09 8581 5
75335 [일반] UAE 사태는 유시민의 예언대로 마무리 될것 같습니다. [277] CE50022976 18/01/09 22976 12
75333 [일반] 초서 간찰에 대하여 [12] 빤스는비너스7086 18/01/09 7086 22
75331 [일반] 한라산 당일치기 후기 [23] 늅늅이8736 18/01/08 8736 11
75330 [일반] 외지에서 일하는게 이렇게 힘든줄 몰랐어요. [43] 모어모어10697 18/01/08 10697 4
75329 [일반] 안과의사가 말하는 라식/라섹에 대한 설명 및 위험성 [76] 홍승식19443 18/01/08 19443 3
75328 [일반] 미국 뉴스위크 기레기 클라스 [28] HejHej10490 18/01/08 10490 0
75327 [일반] 드디어 위안부 협의가 재시동하는 것 같네요. [50] 그룬가스트! 참!9439 18/01/08 9439 9
75326 [일반] 당뇨 확진, 그 후 1개월 [60] Song111756 18/01/08 11756 8
75325 [일반] 과연 테슬라는 살아 남을 수 있을 것인가 [69] 세인12180 18/01/08 12180 2
75324 [일반] 왕따 치과의사 강창용 [103] Cafe_Seokguram17729 18/01/08 17729 6
75323 [일반] 대통령 무지막지하게 싫어하는 택시탔던 이야기 [76] RnR13338 18/01/08 13338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