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1/07 10:54:16
Name 梨軒
Subject [일반] Meltdown & Spectre 유출의 끝나지 않는 영역 - Android 기기
새해 벽두부터 IT 보안 쪽으로 대형 문제로 시끌벅적합니다.

현재 주요 Target 은 Intel 의 CPU 들로 성능을 높이기 위해 비순차처리를 수행하는 펜티엄 프로의 후예들이 멜트다운과 스펙터 보안 유출에 위험이 있는 것으로 결론난 상황입니다. 하드웨어는 당장 고치기 어려우니 소프트웨어로 패치를 하는 형태로 보안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스펙터 유출에 대해서는 현존하는 거의 모든 아키텍처가 가지고 있는 취약점으로 보이고 IBM도 POWER 아키텍쳐가 해당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발표한 상황입니다. 이쯤되면 Oracle 의 SPARC 아키텍쳐도 의심해볼만 합니다만, 발표가 없네요.

이미 많은 매체들에서 멜트다운 유출이 훨씬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주요 대상은 앞서 언급한 Intel 의 x86/64 CPU 들입니다. 하지만 멜트다운과 스펙터 유출에 대해 보고한 구글의 프로젝트 제로팀의 불로그에는 ARM Cortex 57 CPU 도 멜트다운에 대해 안전하지 않다고 경고하였고, ARM 역시 Cortex 75 는 Intel CPU의 수준으로 위험하고, Cortex 15, 57, 72 는 그보다는 아니지만 멜트다운을 응용한 공격에는 취약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어서, 프로젝트 제로의 지적이 타당한 것으로 보입니다.

ARM Cortex 57 을 채용한 AP는 퀄컴 스냅드래곤 810과 삼성 엑시노스 옥타 5433, Nvidia Tegra X1 등이 있습니다. 구글에서 현재 Android에 대한 패치를 공개하였고 구글 브랜드 기기들은 OTA 업데이트가 가능한 상황입니다만, 그 외의 기기들은 제조사 Update 에 달려있어서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입니다. (ARM Cortex 15는 태블릿에 많이 들어가는 AP에서 많이 사용되네요.)

더 걱정되는 것은 하드웨어 결함을 소프트웨어로 막는 것이라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고 결국 지속적으로 보안 패치가 필요하다는 점인데, 빠르게 대응되는 PC 의 OS 들이나 애플의 iOS 기기, 구글 브랜드의 Android 기기들은 상황이 나은 편이지만, 비 구글 브랜드의 Android 기기들은 제조사 Update가 그렇게 신속할지는 의문인 상황입니다.

사견이지만 결국 위에 언급된 멜트다운에 취약한 CPU 들을 제외한 하드웨어로 갈아타는 것만이 현재로는 최선으로 보입니다. 스펙터만 신경써도 되니까요.

사족:
ARM Cortex 72, 75에 대한 위키피디아의 설명을 보니 이 설계들은 GPU, DSP 등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장비들에 SoC 형태로 들어가나 봅니다. 이쪽 분야는 어떤 문제가 도사리고 있을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부키
18/01/07 11:05
수정 아이콘
암드로 가즈아아아아아!
Suomi KP/-31
18/01/07 11:10
수정 아이콘
그나마 소니는 한달에 한번씩 계속 업데이트해줘서 다행이죠...

- 삼성폰 쓰다가 옮긴 이유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모지후
18/01/07 19:53
수정 아이콘
오, 엑스페리아 시리즈 한국에 아직 나오나요? 어떤가요? (안드로이드폰 안써본 유저)
18/01/07 19:56
수정 아이콘
불편합니다. 그나마 강점(방수,음향)이던 부분들도 이미 삼성엘지에 다 따라잡히고, 개취의 영역인 디자인마저도 많이 밀리는 상황이라...
모지후
18/01/07 19:58
수정 아이콘
아.........삼성, LG폰 말고 다른 걸 써보고 싶었는데, 선택사항이 없네요OTL
18/01/07 21:00
수정 아이콘
단지 삼성엘지를 제외한 폰을 쓰시려 한다면
엑페도 대안이 될 수는 있습니다.
아래분처럼 통신사앱을 혐오하시는 경우에도 대안이 될 수는 있죠.
삼성.엘지.애플.소니 등 대부분의 폰을 사용해본 입장에서
디자인은 이미 개취의 영역이라 특출나게 뛰어난 브랜드가 없고
성능은 플래그쉽기준 큰 차이가 없어졌습니다.
그럼 남는건 사용자 편의성인데...
OS, 각종 페이, 통화중 음성녹음가능여부 , 사후지원, 액정의종류,팬 유무...등 골고루 알아보시고 고르시면 될 듯 하네요.
모지후
18/01/07 21:09
수정 아이콘
저도 통신사 강제앱은 싫어하는 편인데 통화중 음성녹음가능여부 , 사후지원 좀 조사해보고 구입해야겠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Suomi KP/-31
18/01/07 20:09
수정 아이콘
뭐, 전 엄청 편합니다. 결정적으로 자급제 폰으로만 나와서 쓰레기같은 통신사 강제 어플들이 아무것도 없다는게 속이 시원하다 못해 아주 좋네요.
18/01/07 11: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블랙베리 유저는 이미 소프트웨어로 고쳐줄 거라는 희망이 없습니다..
블랙베리OS는 버려진 상태라..

이 폰을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가 사용인구가 너무 적어서 해커들 타켓이 될 가능성도 낮다는 점이었는데 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376 [일반] [짤평] <코코> - 따뜻한 죽음의 세계 [59] 마스터충달7033 18/01/11 7033 7
75375 [일반] 제천 화재 참사의 조사 결과가 발표 되었습니다. [29] 무가당11450 18/01/11 11450 1
75374 [일반] 비트코인 이슈에 대해 보며 느낀 생각 ㅡ 코인글 아님 [102] VrynsProgidy8788 18/01/11 8788 5
75373 [일반] [잡담] 내게는 주로 평온했던 이맘때. [11] 은하관제4343 18/01/11 4343 5
75371 [일반] 일주일도 안된 코린이입니다. [56] 엽기제라툴8281 18/01/11 8281 1
75370 [일반] 현재 가상화폐판의 모순점 [68] 홍승식9227 18/01/11 9227 18
75369 [일반] 암호화폐 정책에 대한 생각 [51] Lord Be Goja7748 18/01/11 7748 0
75368 [일반] 한반도 역대 최저기온,최다 적설량을 알아보자 [37] 자전거도둑10027 18/01/11 10027 0
75367 [일반] 법무부,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 추진 [498] 아유21714 18/01/11 21714 6
75366 [일반] 블레이드 러너가 개봉합니다. [16] 공격적 수요6604 18/01/11 6604 4
75365 [일반] 시간이 남은 김에 정리한 제 세계관(인지, 이성, 공동체) [8] 와이써시리어스5718 18/01/11 5718 3
75363 [일반] 잘생긴 남자의 인생은 어떠할까(feat. 웹툰 외모지상주의) [74] 장바구니37732 18/01/10 37732 0
75362 [일반] 암호화폐 세금에 대한 생각 [93] 삭제됨9422 18/01/10 9422 0
75361 [일반] [잡담] 사람은 바뀔까요? [22] 스웨트5537 18/01/10 5537 10
75360 [일반] 까칠남녀, 결국 폐지 결정됬습니다. [79] 피카츄백만볼트16037 18/01/10 16037 7
75359 [일반] 중국에서 공연못하는 팝가수들 목록과 그 이유 [24] bigname10197 18/01/10 10197 2
75357 [일반] 소액으로 가상화폐를 해 보았습니다. [106] 백그람에백원14913 18/01/10 14913 1
75356 [일반] 해외 취업, 말레이시아 생활에 대하여 [53] 삭제됨18234 18/01/10 18234 12
75355 [일반] 50일동안의 육아일기 [25] 비싼치킨10341 18/01/10 10341 23
75354 [일반] 문재인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157] 순수한사랑21606 18/01/10 21606 37
75353 [일반] <코인주의> 비트코인 크라우드채굴의 장단점 분석 [23] 삭제됨9990 18/01/10 9990 5
75352 [일반] 종교에 대해 [25] 와이써시리어스7021 18/01/10 7021 4
75350 [일반] 수술 23시간 32분전. [76] 순규성소민아쑥10042 18/01/10 10042 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