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2/19 19:26:47
Name 나이스데이
Subject [일반]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업무적인 관계로 오랜 시간을 함께 하는 선배, 후배, 동료들이 있습니다.
이들과 가깝게 혹은 멀게 지내는 작은 이야기를 들려드릴까 합니다.


저는 일이 힘든 상황보다 사람이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이들은 저의 사생활(식사, 운동, 주말 등)에 너무 가깝에 들어와 혼자 보내고 싶은 시간을 빼았기는 느낌을 주고.
또 다른 이들은 너무 밀어내서 업무진행(인수인계, 보고 등)조차 어렵게 만드는 느낌을 줍니다.

다양하면서도 여러가지의 일들을 겪다보니 '내가 잘못된건가?'하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됩니다.
웃기게도, 저들끼리는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고 있거든요.

누구와 '함께'라는 것이 어쩌면 저에게는 힘든 일인가 싶습니다.
혼자 하는 것이 편하고, 쉽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주변에 이런저런 조언들은 구해보지만 '그들은 인정해야한다' '사람 바꿔 쓰는거 아니다' 등의
도돌이표만 얻고 있습니다.

심적 스트레스가 누적되다보면 하던 일도 잘 안되고 그러네요.
반대로 일이 없으니 이런 고민이나 늘어 놓을 수도 있겠다 싶기도합니다.

고민이 돌고 돌아, 결국 저에게로 화살이 향하게 되면 자존감이 많이 낮아집니다.
아직까지도 '자아'가 똑바로 서지 못한 느낌도 많이 받네요. 물렁물렁.

관계로부터 받는 스트레스가 저를 향하지 않으면 좋겠다 바래보지만
퇴근하고 집에가서 샤워를 할 때나, 이불 덮고 누우면
'내가 병신이라 그러지뭐 크크', '봐봐 저들은 잘 지내잖아, 나만 없어지면 되겠네', '이제 그만하자' 등의
자책성 문장들이 쉽게 떠오릅니다.

평범한 일상이 구겨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염력 천만
17/12/19 19:34
수정 아이콘
디테일은 모르겠는데
제 여동생은 인간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 싶으면
내가 이 사람하고 관계가 끝장나더라도 하고싶은말은 하면서 나 자신을 보호한다고 하더군요.
뭐 도움이 되는 말일지는 모르겠는데 떠올라서 말씀드립니다.
나이스데이
17/12/20 09:38
수정 아이콘
확실히 그쪽으로 방향을 잡으시는 분들을 지켜보고 있다보면 부럽다고 느낍니다. 그러나 저는 확 밀어내는 것을 생각까지는 닿는데 행동까지는 어렵네요. 노력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우울한구름
17/12/19 20:41
수정 아이콘
적정한 간격이라는 게 모든 사람이 다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판단하는 사람에 따라서도 다르고, 대상에 따라서도 다르고요. 그리고 그 적정선에 대한 민감함도 다 다르겠죠. 누군가는 선을 조금 넘거나 선 조금 밖에 있어도 그러려니 하고, 누군가는 선에서 조금만 가깝거나 멀어도 스트레스를 받을테고요. 그런데 그 대상이 원하는 간격과 내가 원하는 간격이 다른 이상 적정한 선에서 관계가 유지된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간격에 대한 스트레스는 모두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요. 간격이라는 게 기분에 따라 왔다갔다 하기도 하는 거라 간격에 스트레스 받는 순간들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그건 그저 다른 것이라고 생각하는 거라고 생각해요. 내가 맞거나 틀린게 아니라, 그들이 맞거나 틀린게 아니라, 그냥 다를 뿐이라고, 나와 저 사람의 간격이 다른 거지 누군가가 잘못된게 아니라고. 누군가의 잘못인지를 생각하기 시작하면 스트레스가 계속될 뿐이니 그냥 다른 거라고 그렇게 인정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둘째는 저는 선을 그어주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상대방의 적정 간격을 모르는 것처럼 상대방도 내 적정 간격을 모르니까요. 알 수 없는걸 알아서 맞춰주길 바라는 건 무립니다. 그러니 선을 그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선을 넘었을 때 조금씩 티를 내주고, 선 밖에 있을 때 조금씩 가까워져 보고, 그러면서 그 사람의 간격을 잘 파악하려 노력해보고, 그래서 저 사람과 나 사이의 적정한 선을 맞추고 그걸 일정하게 유지하는게 피차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고 들어오는 사람이 있을테고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이 있을 겁니다. 관계에 따라 내가 선을 그을 수 없는 상대도 있을 거고, 상대방이 그런 걸 고려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티를 내도 무시할 수도 있고, 일방적으로 요구할 수도 있겠죠. 각자의 적정한 간격이 너무 달라서 도무지 맞출 수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건 나이스데이님이 잘못한게 아니에요. 그 사람과 나이스데이님이 다른 겁니다. 그걸로 자존감에 상처를 받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우리 모두에게는 고슴도치 딜레마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나이스데이님만 유별나게 다르지 않고, 나이스데이님의 잘못이 아닙니다.
17/12/19 21:35
수정 아이콘
댓글 스크랩 추천하고 싶네요
좋은 말 감사합니다.
나이스데이
17/12/20 09:44
수정 아이콘
내가 인정해야하고, 내가 선을 그어야하고.. 세상과 부딪히다보면 항상 타인의 잘못은 변함이 없는데, 그 잘못을 피하기 위해 내가 바뀌어야한다는 페러다임을 자주 접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방귀 뀐 놈이 성내듯, 인정하려고, 선 그으려고 얘기 나누면 진지하게 받아드려 주지 않거나 사람이 변했다는 식으로 돌아오는 경험이 허다했네요. 참 어렵습니다. 너무나도 어려워서 포기하고 싶습니다.

글을 쓴 어제 저녁에도, 꿈을 꾸면서도, 오늘 아침 샤워를 하면서도, 샤워를 마치고 로션을 바를 때고, 머리를 말릴 때도, 출근 준비를 할 때도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로 머리가 잠식된 것만 같습니다.

왜 이렇게도 내가 바뀌어야 된다는 식의 방법이 저에게 힘들게 다가올까요.

장문의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만, 받아들이기에는 용기보단 전환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재지팩트
17/12/19 20:54
수정 아이콘
그런 생각들이 드는것에 대해 너무 스트레스 받지마시길 바랍니다. 그들이 잘못된겁니다.
나이스데이
17/12/20 09:46
수정 아이콘
생각이 드는 것과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연장선에 있어서 힘든 것 같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생각나는 것을 줄여야하는데, 이놈의 생각이란게 '똑똑 나 들어가도 됨?'하고 오는게 아니라, '니 전두엽에서 잔치할건데, 너도 올래?'이런 식이라... 크크 노력해보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100 [일반] 오늘의 대법원 [47] 원시제10287 17/12/22 10287 2
75098 [일반] 보고 울화 치미는 제천 화재 관련 기사 하나 [149] 드라고나19099 17/12/22 19099 20
75097 [일반] 기사-고의로 구형 아이폰 속도저하 [100] 미사쯔모12098 17/12/22 12098 6
75096 [일반] [초스압, 16.3mb] 썰전 - 남경필 vs 이재명 [62] 렌야11413 17/12/22 11413 4
75095 [일반] 고기의 모든 것, 구이학개론 #6 [7] BibGourmand10034 17/12/22 10034 13
75093 [일반] 라이언 의문의 정계 진출 [32] 좋아요9619 17/12/22 9619 0
75092 [일반] 고기의 모든 것, 구이학개론 #5 [14] BibGourmand11642 17/12/22 11642 21
75091 [일반] 이상하게도 슬리퍼를 살 수가 없다 [4] 별하늘에서바라본4529 17/12/22 4529 14
75090 [일반] 네이버 n스토어에서 <너의 이름은> 무료 제공 중 [35] 더스번 칼파랑9626 17/12/22 9626 8
75089 [일반] 유방과 항우의 싸움 (5) 역습의 팽월 [9] 신불해9981 17/12/22 9981 22
75088 [일반] 나의 다이어트 이야기 -1- [15] 카미트리아5295 17/12/21 5295 0
75087 [일반] 스물아홉 살에 세계일주 다녀온 이야기(하) - 스압/데이터 [60] 살려야한다12307 17/12/21 12307 39
75086 [일반] 혼밥에 이은 임종석 프레임이 있나본데요 [36] 월간베스트12281 17/12/21 12281 0
75085 [일반] [스포가 있음] 신과함께 봤습니다 [14] 스웨트6352 17/12/21 6352 5
75084 [일반] 제천에서 화재 대참사가 발생하였습니다. [67] 라이언 덕후17496 17/12/21 17496 1
75083 [일반] 군대 제초 별동반에서의 안전사고 에피소드 [26] 오토나시 쿄코6286 17/12/21 6286 22
75082 [일반] [넨도로이드] 12월의 넨도 소식+추가 소식 [18] 김티모9528 17/12/21 9528 2
75081 [일반] [음악] 현 EDM씬에서 정상에 군림한 자에 대해 알아보자 [34] 삭제됨11529 17/12/21 11529 4
75079 [일반] 국민의당 제보조작 이유미 징역1년, 이준서 징역 8개월 등 선고 [54] 순수한사랑10764 17/12/21 10764 3
75078 [일반] 이대 사건에 대한 현직 소아과 의사의 글 [305] 정신건강의학24630 17/12/21 24630 61
75077 [일반] [록/메탈] 재미있는 기타연주 [23] 공격적 수요6678 17/12/21 6678 3
75076 [일반] 리얼미터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68.7% 0.1% 상승 [86] Darwin14139 17/12/21 14139 33
75075 [일반] 카카오톡 채널에 올라온 카페글에 관한 이야기 [22] Ameretat10594 17/12/21 1059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