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0/30 23:55:53
Name 삭제됨
Link #1 http://blog.naver.com/gwjang10/221125386095
Subject [일반] 두닷 vs 데스커 책상 비교 리뷰.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30 23:59
수정 아이콘
두닷 쓰는데 싸고 크고 대만족이에요.
데로롱
17/10/31 00:09
수정 아이콘
저는 이케아 쓰는데 크기나 가격은 비슷해보이네요.. 제건 철제 프레임이 없지만 ㅜ
밤식빵
17/10/31 00:10
수정 아이콘
목재 등급도 다르죠. 두닷이 e1 이고 데스커가 e0고요.
두닷은 안써봤지만 데스커 괜찮더라구요. 등급이 e0이면서 가격이 괜찮아서....
선라이즈
17/10/31 00:16
수정 아이콘
본문에 안 적었군요.. 맞습니다.
데스커는 흔들거리는게 좀 심해서 다음에는 펀잇처스 F1으로 가보려 합니다.
밤식빵
17/10/31 00: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흔들거림은 잘못느껴서(1600x700) 주위에 추천많이 하곤했는데....
펀잇처스 f1 찾아보니 등급도 e0이고 길이 긴것도 있네요.2060까지
데스커는 전 다좋은데 길이가 좀더 길었으면 하는생각이 있어서 펀잇처스 f1 혹시 구매하신다면 나중에 리뷰좀 부탁드려요.
Betty Blue 37˚2
17/10/31 00:17
수정 아이콘
두닷 예비크 시리즈로 서재 꾸몄는데 집에 놀러오는 사람들마다 좋다고 말씀 많이 하시더라구요. 기역자 책상이랑
한 쪽 벽면에 책꽂이 채웠는데 두닷의 저렴한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100만원이 넘게 들었다는... 그래도 완전 대만족 입니다.
선라이즈
17/10/31 10:41
수정 아이콘
서재라면 예비크 좋습니다.
높이가 높아 PC용으로는 좀 그렇고요.
17/10/31 00:18
수정 아이콘
아 두닷.. 사야 하는데..
제가 현재 데스커 폭 140mm 모델을 사용중인데. 회사처럼 모든 책상은 일단 안흔들리는 건 줄 알았는데
현재 데스커 위에 노트북 1 개, 모니터 1개 키보드 마우스 이렇게 4개가 올려져 있는데요. 키보드에 타자만 쳐모 모니터가 미세.. 보다 좀더 큰 진폭(?)으로 흔들립니다. 지금이야 구매한지 반년 조금 안되서 적응됬지만
이글 보니 아쉽네요..
Chakakhan
17/10/31 01:15
수정 아이콘
책상 사야되는데 아무것도 몰라 헤매고 있던차에...정말 감사합니다 두닷으로 주문해야겠네요
선라이즈
17/10/31 10:4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Zakk WyldE
17/10/31 01:16
수정 아이콘
저는 두닷 1406두개를 기역자로 놓고 쓰는데 확실히 의자 높이 조절에 제약이 있어서 불편하지만 55TV에 모니터3개 키보드도 무거운거 2개 스피커 플스 등등 잡다한 물건 올려 놓아도 심지어 그 상태에서 제가 올라가도 안정감이 넘치네요.
상판은 뭐.. 필름이지만 그래도 봐줄만한데.. 철제빔 윗 부분 필름은 더 싸구려인가.. 너무 플라스틱 느낌이 확 와서 좀 그렇지만..
원목이면 영이 하나만 더 붙어도 다행일 수준이라,, 가성비는 좋습니다.
17/10/31 04: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두닷이나 데스커의 존재를 몰라서 제가 혼자 검색하다가 산 책상(리시스 다용도 테이블)도 추천드립니다.
두닷과 완전히 동일 스타일이에요. 프레임이 전체를 다 두르고 있고, 나사는 안쪽으로 숨어 있습니다. 튼튼하고 컴퓨터 책상으로는 아주 좋네요.
두닷에 비해 높이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두닷의 경우 높이가 문제라고 하셨는데 살펴보니 720에 상판이랑 프레임 제외하면 658이네요.
리시스는 높이가 750에 상판이랑 프레임 제외하면 690입니다.
의자를 사용하는 스타일이 다 다르겠지만 저는 높이 때문에 문제가 있었던 적은 없네요.
리센트 홈페이지: http://lisent.co.kr/product/detail.html?product_no=125&cate_no=131&display_group=1
네이버에서 검색하시면 일반 쇼핑몰에서도 팝니다.
(어쩐지 광고 댓글처럼 되버렸는데... 리시스 책상은 리센트라는 가구점 모델인데 여기서 산 다용도 수납장이 너무 좋아서 결국 2개나 구매했고, 그 경험으로 책상까지 사게 된 케이스네요.)
선라이즈
17/10/31 10:43
수정 아이콘
PC 책상으로는 사실 72cm도 높습니다.
CNET에서 제시한 올바른 컴퓨터 환경은 이렇습니다.
-눈을 감고 떴을 때 사이트 주소 창이 뜰 것
-팔꿈치는 직각이 되도록 위치시킬 것

그래서 PC 책상의 고전적 형태가 키보드 트레이가 달려 있는 것입니다.

대신 75cm면 키 큰 사람이나 서재용으로는 괜찮아 보입니다.
17/10/31 11:03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그래서 저도 의자키를 약간 높여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팔이 직각이 되도록!
17/10/31 06:36
수정 아이콘
데스커 지마캣 할인때 샀는데 대만족입니다.
무가당
17/10/31 07:50
수정 아이콘
한샘의 샘스틸과 외양은 거의 비슷해 보이는데 품질, 사용감, 가성비 등을 비교하면 뭐가 나을까요? 샘스틸을 구입하려고 생각중이라서...
도시의미학
17/10/31 10:23
수정 아이콘
신혼집 컴퓨터방에 책상은 데스커 블랙했고 책장은 샘스틸했는데 잘 어울립니다~ 가성비는 데스커가 좋아요(인터넷으로 2개 20만원 줬습니다)
선라이즈
17/10/31 10:4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한샘은 싱크로 큰 회사이다 보니 그런지 그 외 분야는 영 별로였습니다.
해당 책상은 보지 못 했지만, 한샘 스토어에 가보니 허접하거나 부실한 느낌이 듭니다.
17/10/31 12:45
수정 아이콘
컴퓨터 책상 두닷인데 대만족하고있습니다.
강미나
17/11/01 06:28
수정 아이콘
요새는 이런 책상이 대세인가보군요. 다들 한쪽에 책장있고 한쪽에 서랍있는 거 쓰는 줄 알았더니....
네파리안
17/11/11 17:51
수정 아이콘
뒤늦은 질문인대 이 글을 보고 책상을 하나 사려는대 제 지금 쓰는 책상은 예전에 쓰던 식탁인대 가로가 113cm고 지금 제방의 공간은 딱 116cm거든요.
두닷책상이 120짜리가 사고싶은대 4cm공간을 어떻게 쑤셔넣는게 가능할지 아니면 너무 짱짱해서 안들어가니 100cm로 가야할지 궁금하내요.
선라이즈
17/11/26 23:27
수정 아이콘
답이 늦었습니다.
책상은 고무공이 아니니 안 들어갑니다.
여유롭게 하심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436 [일반] 차기 대선 후보 지지에 대한 고민 [115] NCS11570 17/11/03 11570 2
74435 [일반] '백제왕성' 풍납토성 복원 길 열리나…법원 "사업인정고시 적법" [7] Marcion6726 17/11/03 6726 0
74434 [일반] [역사] 중국 원조 슈퍼리치, 오병감을 아시나요? [11] aurelius13048 17/11/03 13048 2
74433 [일반] 삼성 미래전략실이 화이트리스트 작성을 주도했다는 보도 [18] 곰주9616 17/11/03 9616 3
74432 [일반] [책추천] 살로니카, 유령들의 도시: 기독교인와 무슬림 그리고 유대인 [15] aurelius6676 17/11/02 6676 2
74431 [일반] [정치유머] 단 2가지의 유머로 여러분을 웃겨드립니다. [35] 태연이13295 17/11/02 13295 23
74430 [일반] 문고리 3인방 이재만, 국정원돈 박근혜 지시로 받아 그대로 박근혜에게 건네 [73] 아유14199 17/11/02 14199 23
74429 [일반] [스압, 데이터] 야경, 야경을 찍자! [20] 스타슈터7477 17/11/02 7477 13
74428 [일반] 평창 동계올림픽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120] 미사쯔모14583 17/11/02 14583 3
74427 [일반] 불교에 관한 잡설 [32] 아발로키타8134 17/11/02 8134 10
74426 [일반] 창원터널 앞 엔진오일 이송차 폭발…3명 사망·1명 부상 [39] 호느님11516 17/11/02 11516 0
74425 [일반] LCHF(저탄수 고지방 식이)의 단점 위주 후기 [72] 무가당17134 17/11/02 17134 2
74424 [일반] 장강명 작가의 '댓글부대'를 읽고.. [12] 삭제됨8551 17/11/02 8551 1
74423 [일반] 현재 일본을 충격으로 몰아가고 있는 연쇄 살인 사건 [24] Remastered18329 17/11/02 18329 1
74422 [일반] 예전에 들었던 시조 [4] 목화씨내놔4311 17/11/02 4311 2
74421 [일반] 비트코인 및 암호 화폐에 관한 몇 가지 개인적인 생각들 [133] 가라한15844 17/11/02 15844 10
74420 [일반] 사마의 : 미완의 책사 1부 完 감상 [17] 신불해20027 17/11/02 20027 13
74419 [일반]  하늘에 보내는 편지. [7] 아타락시아15738 17/11/02 5738 4
74418 [일반] [영상] Vox채널, 일본 속의 작은 북한 [9] aurelius7924 17/11/01 7924 1
74417 [일반] 일본 나가노 "빚더미에서 겨우 빠져나왔다지만…" [72] 군디츠마라14810 17/11/01 14810 8
74416 [일반] [가상화폐] 비트코인 860만원 돌파! [93] 삭제됨14691 17/11/01 14691 1
74415 [일반] 카카오 미니 스피커 하루 사용기 [28] 기다13219 17/11/01 13219 3
74413 [일반] 문재인 대통령, 예산안 제출 국회 시정연설 [47] RedDragon12689 17/11/01 12689 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