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7/10 12:02:37
Name 카미트리아
File #1 1499648472_NxAXdEKO_IMG_2984.JPG (975.8 KB), Download : 72
File #2 Capture+_2017_07_10_11_51_19.png (2.85 MB), Download : 6
Link #1 https://brunch.co.kr/@minusseo/32
Subject [일반] 불법 도박, 불법 대출...교육은 어떻게...




학생들 사이에 퍼진 불법 토토 이야기는 가끔 들었는데...
불법 대출은 오늘 처음 알았네요..

초딩의 폰 결제 문제.
중고딩의 불법 대출과 불법 토토 문제..

결국은 돈이 무엇이고 어떻게 쓰고 운영해야 되냐의 문제인데요..
위에 뉴스에서도 나오지만
우리나라 공교육에 그런 건 알려주지 않죠..
저도 배운 적이 없고요..

솔직히 말하면
전 나이가 30대 중반이지만 돈관리 못합니다.
그래서 결혼하자 마자 장부 통장 인증서 다 넘기고
용돈 받아 쓰는데...

문제는 이제 슬슬 가르쳐야 한다는 거죠..
아직 어려서 당장 내일 가르쳐야 하는건 아니지만..
나도 모르고 못하는 걸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고민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10 12:20
수정 아이콘
최근 가상화폐시장이 과열된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죠. 중학생 고등학생들도 사던데...
카미트리아
17/07/10 13:06
수정 아이콘
중고생도 사나요?
그건 상상도 못했는데..
그걸 정식으로 살수 있는 거였나요?
스타슈터
17/07/10 12:26
수정 아이콘
버릇이 무섭죠... 버릇을 고치는건 더더욱 어렵고요.

신용카드 같은 경우도 통장 잔고보다 더 많은 돈을 긁어대기 시작한 사람은 계속 그렇게 쓰게 되고, 월급을 저축없이 싹싹 긁어 쓰기 시작한 사람도 역시 계속 싹싹 긁어서 쓰게 됩니다. 저런 식으로 빌려서 쓰는 경우도 같겠죠.

유태인들은 아이들에게 돈과 경제에 관한 교육을 어려서부터 중요하게 가르친다는데, 그런 점은 정말 본받을만한 것 같습니다.
카미트리아
17/07/10 13:07
수정 아이콘
좋은 버릇을 어떻게 붙이냐가 정말 어렵죠..

유태인의 교육법이라도 찾아봐야할까요...
언어물리
17/07/10 12:32
수정 아이콘
실생활에서의 돈과 경제에 대한 교육은 필수라고 생각해요. 삶을 구성하는 하나의 필수요소이거든요.
카미트리아
17/07/10 13:12
수정 아이콘
필수인데 교육을 정식으로 받는 경우는 드문것 같아요.

경제와 법 교육은 국영수만큼 중요한 것 같은데..
가정 교육밖에 없는데..
알려줄만큼 잘 몰라서 문제네요
17/07/10 12:50
수정 아이콘
포커를 좋아해서 도박에 관련된 이야기 참 많이 들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 도박 참 좋아합니다. 그런데 좋아는 하는데 정말 못합니다.
솔이바보
17/07/10 14:21
수정 아이콘
저도 포커하는 사람인데 반갑네요.
무무무무무무
17/07/10 12:51
수정 아이콘
아는 사람끼리야 저렇게 많이 한다지만 모르는 사람과 개인정보 까고 저러는 건 와....
17/07/10 12:58
수정 아이콘
사채꾼 우시지마
카미트리아
17/07/10 13:13
수정 아이콘
언제 보여주느냐가 문제네요
17/07/10 13:1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엔 쩐의전쟁이 있죠...
군령술사
17/07/10 13:00
수정 아이콘
다른 교육과 마찬가지로 경제교육 역시 일상 생활에서 습득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 같습니다.
절약하는 습관이나 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비하는 신중함 같은 것은 부모의 모범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또한 인감도장과 사인의 무서움은 어렸을 때부터 각인을 시키는 게 좋은 것 같아요.
("보증서는 자식은 낳지도 말라더라"가 저희 어머니의 교육입니다. 크크크)
그리고 도박묵시록 카이지(도박하면 망한다), 사채꾼 우시지마(사채 쓰면 망한다), 검은 사기(사기 당하면 망한다)는 현대인의 생존 필독서가 아닌가 싶어요.
카미트리아
17/07/10 13:16
수정 아이콘
나 스스로가 돈 관리를 잘하는게 아니다 보니..
더 고민인 것 같아요..좋은 모델이 아니다 보니..

그 삼신기는 좋은 교재이긴 한데..
언제 보여주냐가 관건이네요
담배상품권
17/07/10 16:12
수정 아이콘
노동법/금융교육은 필수죠. 정말 공교육이 가르쳐주어야 하는건 답 맞춰서 성적 올리기가 아닌데 흠...
살려야한다
17/07/10 17:29
수정 아이콘
http://www.fss.or.kr/edu/main141.jsp

금융회사 지점과 1사 1교 금융교육 결연을 맺고 방문 교육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안 하는게 아니라 하는데 안 듣는거죠.
카미트리아
17/07/10 18:46
수정 아이콘
이건 몰랐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아이가 다니게 될 학교에도 있기를 바래야겠네요
서리한이굶주렸다
17/07/10 21:06
수정 아이콘
벌써 고리대금업을...
답이머얌
17/07/10 23:33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다 환경과 사연이 다르겠지만 전 마트가서 좀 이해안가거나 무서울 때가 있습니다.

10만원 정도 계산하면서 *개월 할부로 해주세요 라는 말을 들을때 마다 그렇습니다.

10만원이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 금액이지만 그 정도 금액을 *개월 할부로 돌리는 삶이라면 어느 순간 그 돌려막기가 틀어질 경우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입니다. 설마 잔고가 충분한데도 재미로 또는 푼돈이지만 이자 몇 푼 아끼는 심리로 그런건 아니겠지요?

그런데 이런 말을 가끔 들으면 모르는데 정말 자주 봐서리...많은 사람들이 할부라는 것을 아주 부담없이 사용하는게 무섭더군요. 할부도 결국은 빚이니까요.
카미트리아
17/07/11 00:04
수정 아이콘
무이자 할부는 안하면 손해라는 사람도 있더군요...
답이머얌
17/07/11 00:08
수정 아이콘
어떤게 이익인지 모르겠어요.

1) 무이자 할부 쓰면 카드 사용 포인트 없습니다. 보통 포인트는 0.5%쯤 되죠.

2) 무이자 할부 하면 기한의 이익을 얻습니다. 즉, 이자 비용을 줄이는 거죠. 안쓰고 남아있는 돈에 대해 이자가 붙긴 합니다만 연 0.2% 이자주는 통장에서 몇 개월 더 돈이 있다고 해서 이자 얼마 붙을까요?

정말 잔고가 충분한데도 위 두 가지 경우를 고려해서 무이자 할부가 더 이익이라고 생각해서 그러는 걸까요?
카미트리아
17/07/11 00:18
수정 아이콘
저도 이해는 못했습니다..

걍 이야기하다 저 말 나오고 끝났거든요.
다만 성향 고려했을때 그랬을지는 의문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832 [일반] "뒤진 대중이를 어디서 찾노" 막말한 정의당 대의원+사과문추가 [205] galaxy15175 17/07/14 15175 7
72831 [일반] 신고리 5·6호기 공사중단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266] 일각여삼추12595 17/07/14 12595 19
72830 [일반] 영화 "덩케르크" 의 배경이 되는 1940년 독일-프랑스전투 [37] 모모스201314506 17/07/14 14506 21
72829 [일반] 이언주의원의 사과와 노동자들의 기자회견. [22] 진산월(陳山月)8685 17/07/14 8685 15
72827 [일반] 2개월간의 연금(?)에서 풀려났습니다! [38] -안군-8897 17/07/13 8897 8
72826 [일반] 기술은 확실히 발전하는 거였네요... [39] Neanderthal11863 17/07/13 11863 3
72825 [일반] 울면서 대국민 사과 예정인 이장한 종근당 회장 [64] 어리버리15170 17/07/13 15170 3
72824 [일반] 박상륭 작가 별세 [5] re4gt5214 17/07/13 5214 6
72823 [일반]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자진 사퇴(1보) [142] Lv311929 17/07/13 11929 6
72821 [일반] 천사들의 증언 - 냉정하지만 치열한 다큐멘터리 [6] Alan_Baxter10736 17/07/13 10736 1
72820 [일반] [뉴스 모음] 아무말 대잔치 [32] The xian9973 17/07/13 9973 20
72819 [일반] [영화]삼성전자의 세계최초 LED시네마가 공개되었습니다 [15] 아리아7747 17/07/13 7747 1
72818 [일반] 수정) 임종석 비서실장, 추미애 대표 관련 언급 안했다. [124] 바스커빌13135 17/07/13 13135 2
72817 [일반] [잡담]퇴사했습니다! 와우! [33] 스웨트8950 17/07/13 8950 47
72816 [일반] 그놈의 대중 대중. 이미 x진 대중이를 어디서 찾노 [81] 동네형13189 17/07/13 13189 5
72815 [일반] 성매매 그런거 나쁜거 아니야, 할수도 있는거야 [289] 리니시아18483 17/07/13 18483 10
72814 [일반] 친구가 죽었습니다. [65] TheLasid18450 17/07/13 18450 66
72812 [일반] [스포]헌터X헌터 연재 재개 [59] 모나크모나크9976 17/07/12 9976 1
72811 [일반] 인도군, 중국과 대치 국경지역에 20만 병력 집결 [107] 군디츠마라17607 17/07/12 17607 17
72810 [일반] [국내/외정치]개꿀잼몰카(스크롤주의) [18] 좋아요7760 17/07/12 7760 1
72809 [일반] 스텔라데이지호 수색이 오늘 종료되었습니다. [28] 바스커빌9399 17/07/12 9399 4
72808 [일반] [잡담] 맥도날드에 대한 소소한 Q&A [135] 천둥18314 17/07/12 18314 49
72806 [일반] 현대판 자린고비 이야기[아침마당을 보고] [25] 또리민7853 17/07/12 785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