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4/18 12:34:10
Name 마스터충달
Subject [일반] [모난 조각] 11주차 주제 "술"
  안녕하세요. 모난 조각을 운영하는 마스터충달입니다. 모난 조각은 PGR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글쓰기 소모임입니다. 매주 주제를 선정하여 이를 두고 글을 쓰거나 혹은 자유롭게 짧은 조각글을 쓰는 모임입니다. 모난 조각이라는 이름에 어울리게 가볍고 짧은 '조각글'을 매주 꾸준히 쓰는 것이 목표입니다. 글쓰기에 관심있는 분들께 모난 조각이 글을 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MsctjJp.jpg





주제 : 술
이번 주제는 술입니다. 단골 소재네요.

맞춤법 검사기
http://speller.cs.pusan.ac.kr/










[글쓰기 팁] 4. 좋은 글, 잘 쓴 글

  어제 이런 댓글을 보았습니다. (https://pgr21.co.kr/?b=8&n=71474&c=2909102)
  "이 영화는 스토리랑 개연성은 약하지만, 화면이 이뻐 그러니깐 재밌어서 4점."
  "이 영화는 부수는 게 시원시원해. 그러니깐 4점."
  "이 영화는 주인공이 연기를 잘해. 그러니깐 4점."
  영화광은 작품을 평가하는 데 있어 객관성을 마련하기가 몹시 힘듭니다. 영화를 좋아할 수 있는 이유는 무궁무진하니까요. 그래서 점수가 후합니다. 객관성이 없죠. <검사 외전>을 보면서 "강동원 정말 잘 생겼고, 춤도 잘 추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완벽해." 하면서 3.5점을 줘 버립니다. 같은 점수를 받은 다른 작품들이 말을 할 줄 알았다면 저한테 욕을 했을 겁니다. 아마 엘사, 김연아, 박근혜를 동급으로 두었던 어느 종편 방송을 보고 느꼈던 분노와 비슷하리라 생각합니다.

  "영잘알이라면서 평가 기준이 제멋대로네?"
  맞습니다. 제멋대로입니다. 지극히 주관적입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주관성이야말로 사람들이 텍스트*를 평가하는 유일한 기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어떤 작품을 좋은 작품이라 생각하는 이유가 뭘까요? 까놓고 말해서 맘에 들었기 때문입니다. 내 맘에 드는데 무슨 이유가 필요하겠습니까? 그냥 맘에 들면 맘에 드는 거죠. 물론 맘에 드는 이유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타인을 설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행위를 비평이라 합니다. 하지만 굳이 비평할 게 아니라면 내 맘에 드는 이유를 설명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저 맘에 들면 그만인 거죠. 다소 단순하게 설명했습니다만, 사람들이 어떤 작품을 좋아하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이와 같습니다. 그게 맘에 들었던 겁니다.
  *텍스트 : 특정한 의도를 가지고 소통할 목적으로 생산한 모든 인공물을 이르는 용어
  *물론 진실은 위처럼 단순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요소에는 공통점이 있고, 일정한 코드가 존재합니다. 음악에서 화음이 존재하듯이 말이죠. 그저 맘에 들었기 때문이라고 단순화시키면 비평이나 미학이 존재할 필요가 없겠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코드를 찾아내는 것. 그게 비평과 미학의 존재의의가 아닐까 싶습니다.





  우리는 위 사실로부터 글쓰기 전략 하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좋은 글은 완벽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죠. 어느 하나만 특출나게 뛰어나도 좋은 글이 됩니다. 이야기가 흥미롭거나, 문체가 화려하거나, 아니면 반대로 문체가 깔끔하거나, 등장인물이 매력적이거나, 반전이 뛰어나거나, 묘사가 박진감 넘치거나... 처음 말씀드렸다시피 작품을 좋아할 수 있는 이유는 무궁무진합니다. 우리는 그중에 하나만 잘해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글을 만들 수 있는 겁니다. 세상에 너무나 쉽지 않습니까?

  ....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죠. 뭐 하나만 특출나게 잘 쓰면 된다지만, 그 뭐 하나 특출나게 잘 쓰기가 어려운 게 현실입니다...

  그래도 조금은 부담이 줄지 않나요? 전부 잘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마음 편히 먹고 글쓰기에 도전해보세요. 매력적인 인물이 떠오른다면 그것만 가지고 시작해보세요. 재밌는 이야기가 떠올랐다면 이야기에 집중해보세요. 기가 막힌 표현이 떠올랐다면 그 표현을 쓰기 위해서라도 글을 써보세요.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글이 나올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졸작은 대개 비슷하게 구리지만, 걸작은 저마다의 이유로 훌륭하다고 합니다. 그 저마다의 이유를 찾아내는 것. 이는 단순히 맘에 드는 글을 낳을 뿐만 아니라 작가의 개성을 확립해주는 훈련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저만이 가질 수 있는 이유를 찾아봐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랄드
17/04/21 15:08
수정 아이콘
에... 이 게시물을 뒤늦게 접했는데요, 문의사항이 있습니닷.
모난조각 소모임 회원이 아니어도 가령 술에 관한 글을 써서 그냥 자게에 올리면 되는 건가요? 아니면 말머리 같은 걸로 표시를?
아니면 회원전용 공지... 같은 건가요?
마스터충달
17/04/21 15:17
수정 아이콘
회원이 아니어도 글을 쓰시면 됩니다. 모난 조각에 참여하는 글임을 밝히시면 저야 고맙고요 ^^;
https://pgr21.co.kr/?b=8&n=70982 이렇게 피지알 회원으로서 글을 써주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모임으로 운영하는 이유는 글쓰기를 꾸준히 하기 위한 책임감을 부여하려는 것이고
여기에 참여하는 것은 누구나 환영합니다. 그래서 자게에 공지를 쓰는 것이고요.
이 공지가 글쓰기를 시작하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바라고, 그래서 자게가 좀 더 풍성해지길 바랍니다. 흐흐.

이번 주제가 마음에 드신다면 글 써주세요! 기대할게요.
제랄드
17/04/21 15:26
수정 아이콘
잘 알겠습니다. 특별히 이번 주제가 좋아서라기 보다는 평소 가끔 공지가 올라와서 궁금했던 터에 여쭈어봤습니다. 아마도 참가는 나중에 할 거 같네요~
모임 번창하시길 빕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525 [일반] 팔레스타인 단식투쟁 에 일베식으로 대응하는 이스라엘 [48] 안다나 22723 17/04/22 22723 5
71524 [일반] 독후감'오만과 무능 굿바이 朴의 나라' 전여옥 [24] 솔빈9556 17/04/22 9556 9
71523 [일반] 이제 와서 뒷북치는 2016년 애니 이야기 [45] 이르9213 17/04/21 9213 2
71520 [일반] 부모님 세대들은 게임,애니를 왜 이렇게 아니꼽게 보는걸까요? [82] 사쿠라기루카와10632 17/04/21 10632 2
71519 [일반] 칼 빈슨함은 어디에? [30] 상계동 신선8838 17/04/21 8838 1
71518 [일반] 정말 쓸데없는 인간형 로보트에 대한 단상 [34] 라덱7798 17/04/21 7798 0
71517 [일반] 성적 특성 이해하기 [78] 이슬먹고살죠13774 17/04/21 13774 10
71516 [일반] 이탈리아 음악인 1000명이 푸파이터즈 공연을 성사시킨 과정 [9] 어리버리7304 17/04/21 7304 3
71515 [일반] [속보] 프랑스 대선 3일을 앞두고 파리 심장부에서 테러 [43] aurelius12890 17/04/21 12890 1
71514 [일반] G7 외무장관들이 남중국해 관련 판결을 중국에 이행하라고 재촉구하다 [17] 테이스터8101 17/04/21 8101 2
71513 [일반] 남성 vs 여성 [343] 동아중공업15544 17/04/21 15544 8
71512 [일반] 성적 지향인가 성적 취향인가. [159] 와인하우스16856 17/04/20 16856 9
71511 [일반] 오늘 보도된 두 건의 형사판결 [54] Marcion11022 17/04/20 11022 2
71510 [일반] 주원장 "중국의 군주들이여! 다른 나라를 치지 마라. 의미 없다!" [38] 신불해14721 17/04/20 14721 20
71509 [일반] [강스포]원피스 밀짚모자 해적단 9번째 동료가 나왔네요. [90] Manchester United18850 17/04/20 18850 0
71508 [일반] 동성 혐오 표현과 동성 결혼 반대도 표현의 자유의 영역인가. [61] 이라세오날8073 17/04/20 8073 5
71507 [일반] 요즘 자주 듣는 서브컬쳐 노래들 [1] cluefake4454 17/04/20 4454 0
71506 [일반] 슬픈 애니메이션을 두 개 더 추천해 봅니다. [13] 카페알파8701 17/04/20 8701 2
71505 [일반] 곤장과 응아 볶음에 대한 전혀 비과학적 추론 [22] 미사쯔모6482 17/04/20 6482 0
71504 [일반] 동물의 고백(6) [6] 깐딩5603 17/04/20 5603 9
71503 [일반] 고소득자 증세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224] 삭제됨14453 17/04/20 14453 8
71502 [일반] 리뷰 만화 리뷰하는 글 [21] 보영님9095 17/04/20 9095 6
71501 [일반] 사진 취미를 가진 지 3개월 [24] 모모스20138545 17/04/20 8545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