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3/30 15:27:47
Name 부리뿌리
Subject [일반] 필리핀 락 보컬들의 가창력은 의외로 매우 평범합니다
필리핀 사람들이 노래를 잘한다는 말을 인터넷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검색해보면 노래 잘 부르는 필리핀 일반인들의 영상도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락음악을 좋아하는데 어느날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필리핀 사람들이 노래를 이렇게 잘 부르는데 락, 메탈 보컬들의 가창력은
얼마나 쩔까? 거의 날라다니지 않을까?' 라는 호기심 말이죠.

보통 락, 메탈 보컬들의 가창력이 뛰어나니 이런 궁금증이 드는 건 자연스럽지
않겠습니까. 물론 락, 메탈 보컬들의 가창력이 무조건 쩐다고 일반화시킬 수
없는것도 압니다.

어쨋든 그래서 우선 위키피디아에서 필리핀 락 밴드 리스트를 찾아봅니다.
다행히 락 밴드 리스트가 정리된 게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Category:Filipino_rock_music_groups

이제 유튜브에서 음악을 들어봅니다. 연관 동영상에 pinoy rock이라던가
OPM(ORIGINAL PILIPINO MUSIC)등이 나옵니다. 그런 음악들도 다 들어봤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필리핀의 락이나 메탈 보컬중에서 가창력 쩌는 보컬은 잘 못찾겠습니다.
임재범, 김경호, 박완규, 하현우같이 가창력 쩌는 락, 메탈 보컬이 없습니다.

필리핀 락 보컬중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은 Journey의 Arnel Pineda일겁니다.
노래를 잘 부르기는 하지만 가창력 쩐다라는 느낌은 아닙니다.

제가 찾은 필리핀 락밴드중에 Franco라는 밴드의 보컬이 목소리는 멋있더군요.
Franco의 This Gathering 유튜브 링크입니다.


가창력 쩌는 필리핀 락, 메탈 보컬 아시는 분 좀 알려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러블리너스
17/03/30 15:53
수정 아이콘
필리핀 사람들이 노래 잘한다는말은 처음듣네요.
퍼니스타
17/03/30 15:58
수정 아이콘
국민들이 매우 노래를 좋아하니 잘하는 사람도 많겠죠.
필리핀가서 마이웨이 함부러 부르지 말라는 말도 있던데요.
지나가다...
17/03/30 16:01
수정 아이콘
사실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필리핀 사람들이 노래 잘한다는 것은 종종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Je ne sais quoi
17/03/30 16:04
수정 아이콘
여행 다녀보면 필리핀 출신의 밴드들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실력에 비해 몸값이 저렴해서요.
http://www.archipelagofiles.com/2015/02/why-are-filipino-good-at-singing.html
아지다하카
17/03/30 16:54
수정 아이콘
많이들 얘기하던데 사람들이 전부 노래, 노래방 엄청 좋아한다고.
17/03/30 17:15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zmleN2i4Xbc

전국노래자랑 왕중왕전인가 연말결산에 올라갔던 분입니다. 그냥 이선희 컨트롤c+v에요.
리듬파워근성
17/03/30 18:07
수정 아이콘
와... 엄청나네요 정말...
17/03/30 19:11
수정 아이콘
진짜 쩌네요..
근데 이선희 예전에 불후의명곡에서 아 옛날이여랑 아름다운 강산 부를때 소름돋던걸 생각하면 컨트롤 브이까진 아닌듯..
5드론저그
17/03/30 15:59
수정 아이콘
흠 필리핀 사람들 노래 부르는 스타일은 락 메탈 쪽 보다는 오히려 알앤비 소울 쪽에 방점이 찍힌 느낌이라 ....

최상위권은 잘 모르곘으나 평범한 사람들은 상당히 노래 잘 합니다 필리핀 5개월 정도 있었었는데 제가 만나본 일반 사람들 및 술집에서 노래부르시는 분들 (보통 술집인데 라이브 밴드 혹은 가수 있어요)다 노래 굉장히 잘했습니다. 그냥 잘하는걸 떠나서 느낌이 상당히 흔히 말하는 블랙 뮤직 느낌이 나더라구요 그루브 함이 잘 느껴졌습니다

사실 가창력도 굉장히 중요하기는 한데 저는 음색이나 분위기는 진짜 어거지로 내기 어렵다고 생각하는지라 필리피노들의 블랙 뮤직은 동양권에서는 수준급이지 않나 생각해요
17/03/30 16:06
수정 아이콘
Journey의 보컬이 필리핀 사람인 것만 알아요.
-안군-
17/03/30 16:08
수정 아이콘
저도 자주는 아니지만 필리핀 출장을 몇 번 가서 라이브 펍에 가서 느낀 점은...
그냥 아무 술집이나 가도 상당한 수준급의 가수들이 라이브를 하고 있더라... 라는 느낌이지, 동네 술집마다 하현우가 있더라..는 아닌듯.
그리고 확실히 펑키나 소울 느낌의 밴드들이 많았지, 락 밴드는 별로 못 본 것 같습니다.
17/03/30 16:23
수정 아이콘
동양의 흑인 필리피노. 흑인 락보컬이 별로 없는 것과 비슷하지 않나 싶은...
Dolcandy
17/03/30 16:28
수정 아이콘
락은 아니지만 Up Dharma Down의 Tadhana 좋더라구요.
https://youtu.be/hxl73VEZ21I
신지민커여워
17/03/30 16:51
수정 아이콘
수십년 메탈빠하면서 필리핀쪽 실력이 상당하단 얘긴 들었습니다 보컬외에 세션들도 출중하다는 말이..
여튼 메탈쪽에 유명한 필리핀계 미국인들의 밴드인 데스엔젤이 떠오르네요
부리뿌리
17/03/30 16:59
수정 아이콘
필리핀 사람들이 흑인음악을 잘한다는건 몰랐네요.
데스엔젤 추천 고맙습니다.
Supervenience
17/03/30 17:01
수정 아이콘
저도 필리핀 사람들이 노래 잘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의외네요
alphamale
17/03/30 17:12
수정 아이콘
노래라는게 하이노트를 찍는게 좋다고만 할 수 없어서.. 사실 음악의 영역으로 가면 가창력이 별로라도 자기 분위기에 맞는 노래를 부르는쪽이 더 유니크하고 잘 팔리죠. 아마 그런것과도 연관이 있지 않을까 싶어요.
왕십리독수리
17/03/30 17:43
수정 아이콘
고음을 잘 지른다고 노래를 잘 하는 건 아니죠. Arnel Pineda의 가창력이 별로라는 이야기를 들을 줄은 상상도 못 했네요;
비역슨
17/03/30 18:08
수정 아이콘
물론 한국에 대단한 락 보컬들이 많습니다만 아넬 피네다는.. 대단히 훌륭한 보컬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유형다람쥐
17/03/30 18:39
수정 아이콘
가창력 쩐다의 기준을 고음에만 잡은 느낌이네요.
17/03/30 20:38
수정 아이콘
아넬 피네다는 정말 훌륭한 보컬이라고 생각합니다.
페르세포네
17/03/30 20:59
수정 아이콘
아넬 피네다는 정말 훌륭한 보컬이라고 생각합니다.(2)

전 별로 좋아하지는 않는 그룹이지만, 만약 고음이 가장 중요하면 AEGIS가 꽤 유명합니다.
부리뿌리
17/03/30 21:12
수정 아이콘
아넬 피네다는 정말 훌륭한 보컬이라고 생각합니다.(3)

저도 아넬 피네다 좋아합니다. 다만 제 기준에 가창력 쩐다라는 느낌은 안든다는 거죠.
추천해주신 음악들은 잘 들어보겠습니다.
보영님
17/03/30 22:06
수정 아이콘
락과 메탈은 북유럽이죠!
-안군-
17/03/30 22:12
수정 아이콘
사실 근데 생각해보면... 소위 말해 '쩌는' 락보컬중에 흑인이나 라틴계열도 별로 없잖아요? 하지만, 백인 중에서 '쩌는' R&B보컬도 거의 없죠.
어느 정도 인종적인 특성(?)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고보면 우리나라 가수들은 그럭저럭 두루두루 잘하는 것 같기도(...)
17/03/31 00:50
수정 아이콘
필리핀 사람들 노래 잘하죠...

몇명 만나볼 일이 있었는데,

못하는 분들은 한분도 못 봤어요

전부 우리나라 일반인 기준 상위권 이상이었고,

3명 정도는 무슨 휘트니나 머라이어케리인줄 알았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CoGX1KewPg
펨핀코야 워낙 유명하니 그렇다 쳐도

https://www.youtube.com/watch?v=IL-uc6OVx_g

https://www.youtube.com/watch?v=Rvqlche8tWw
부리뿌리
17/03/31 03:21
수정 아이콘
바로 이겁니다! 아래 두 영상의 남자애들이 각잡고 락 부르면 정말 쩔어줄텐데...
서지훈'카리스
17/03/31 01:42
수정 아이콘
필리핀 리조트에서 필리핀 직원들끼리 노래방기기로 노래부르는데 나가수급;
켈로그김
17/03/31 10:08
수정 아이콘
메탈, 락쪽은 일반적인 좋은 가창력과는 조금 통용되는게 다르긴 하죠.
일단 사운드에 묻히지 않는 발성부터 완성해야 하는데 이게 허들이 높습니다.
17/03/31 23:55
수정 아이콘
필리핀 가수라고 하니까 생각나는데...
우리나라 유흥업소에서 노래하는 외국인[E-6라는 체류자격입니다. 검색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문제가 정말 많죠. 다만 E-6라고 모두가 유흥업소에 있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의 대부분은 필리핀 사람들입니다. 몸값이 싸면서 영어가 되기 때문에 필리핀 사람들이 많이 오는 것 같습니다. 필리핀 사람들이라고 특별히 더 노래를 잘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중남미출신 불체자들이 노래하면서 여기저기 다니다가 저희에게 잡히는 일도 가끔씩 있는데, 그 때보면 아무래도 노래가 영어가 아니라서 그런지 관객들 호응이 좀 다른 것 같더라구요. '우와 잘한다'가 아니라,'처음 들어보니 신기하네'쯤 되는 것 같습니다.

다른 나라도 비슷하게 느끼지 않을까요? 영어로 팝송 노래하면 아무래도 호응이 더 좋겠죠.
예컨대 방글라데시 사람이 노래 잘하는 경우, 방글라데시 말로 방글라데시 노래부르면 아무래도 방글라데시 밖에서는 호응도가 떨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그래서 필리핀 사람이 노래 잘한다는 속설이 있는 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340 [일반] 국민들 세금으로 국립 박물관이 만들고 있는 것들...jpg (약데이터?) [128] Ensis20171 17/04/05 20171 36
71339 [일반] 해야 하고, '해도 된다면', 한다. [6] 사악군6116 17/04/05 6116 4
71338 [일반] 서유럽의 제 3세계 국가 출신 이민자 수용을 한마디로 뭐라고 생각하냐 물으신다면, [22] the3j10470 17/04/05 10470 10
71337 [일반] 군대에서 유명인 본 이야기 [95] 삭제됨21693 17/04/05 21693 1
71336 [일반] 레알 트루맛 쇼 [18] 마스터충달8239 17/04/05 8239 10
71335 [일반] 좌충우돌 장르소설 도전기 [55] AspenShaker10594 17/04/04 10594 18
71334 [일반] "인구 주는 나라 미래없다…이민 적극 수용을" [124] 군디츠마라12161 17/04/04 12161 0
71333 [일반] TV조선의 문제프로그램들폐지..패널퇴출 [31] Gloomy16348 17/04/04 16348 0
71331 [일반] 사전 전쟁: 메리엄 웹스터 vs 아메리칸 헤리티지 [11] Neanderthal11102 17/04/04 11102 6
71330 [일반] [WWE] 위대한 전설 언더테이커, 25년 넘게 바친 충성의 대가(데이터주의) [72] 신불해19783 17/04/03 19783 5
71329 [일반] 아이를 학원에 보낼걸 그랬나하고 고민하다가 안 보냈는데 별문제 없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아빠가 쓰는 글 [157] Obama15070 17/04/03 15070 78
71328 [일반] 서울특별시 홍보물에 성평등을 더하다 [271] ZeroOne16075 17/04/03 16075 3
71327 [일반] 다시 [42] Secundo8815 17/04/03 8815 11
71324 [일반] (수정) 최근 학원가에서 뿌려지고 있는 것 [121] 밴더21352 17/04/03 21352 6
71323 [일반] 이력서에 귀걸이를 한 사진을 넣으면 안되는 걸까? [367] SkyClouD22568 17/04/03 22568 3
71322 [일반] 금요일 4시 퇴근은 가능할까? .. 공무원 4시 퇴근제 도입 [99] 아라가키14107 17/04/03 14107 1
71321 [일반] 지금 한국은 헬조선!! [88] 삭제됨14986 17/04/03 14986 5
71320 [일반] '저출산' 정말 우리에게 출구는 없는것일까? [215] The Special One17421 17/04/02 17421 12
71319 [일반] 러시아는 유럽을 무너뜨릴 수 있을까? [18] aurelius9780 17/04/02 9780 5
71318 [일반] 2017년 2월 기준 일본 라이트노벨 판매부수 순위 [113] 군디츠마라13005 17/04/02 13005 0
71317 [일반] 관객 500만 이상의 주연작이 가장 많은 국내 영화배우 Top10 [24] 김치찌개8715 17/04/02 8715 1
71316 [일반] 엑셀에 대한 책 추천드립니다..;;;(수정) [26] nexon13921 17/04/02 13921 0
71314 [일반] [트레이딩 이야기] 한맥투자증권사태에서 생각해볼만한 자동화된 금융시장의 문제점 [8] Elvenblood8348 17/04/02 8348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