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2/05 13:44:11
Name Neanderthal
Subject [일반] 우주의 몬스터들 – R136a1 그리고 UY Scuti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이 뭐냐?"는 질문...소싯적에 한번쯤 던져보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일단 "우주에서"라고 하는 전제는 상당히 건방진 것입니다. 우리 인류가 지금까지 관측한 우주는 전체 우주의 "아~~~~~주" 작은 한 부분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감히 우주 전체를 논할 상황은 아닌 것이지요.

이것을 인정한다면 "우리가 지금까지 관측한 별들 가운데 가장 큰 별이 뭐냐?"는 질문으로 넘어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여기에도 좀 더 정의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장 크다"는 것이 과연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말입니다. 일단 두 가지 조건을 제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질량이 가장 큰 별이 무엇이냐?"와 "물리적인 크기가 가장 큰 별이 무엇이냐?"로 말입니다. 이 둘이 늘 같이 가는 건 아니니까요.

따라서 오늘은 현재까지 관측된 별들 가운데 이 분야의 챔피언들에 해당되는 별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질량 부문 챔피언 - R136a1
r136a1_by_saintnazaire-d3i6f93.jpg
R136a1 상상도...


마젤란 성운에는 R136a1이라고 불리는 별이 있습니다. 지구로부터는 약 16만 광년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이별은 Wolf-Rayet star라고도 불리는데 일단 질량이 어마어마합니다. 우리 태양 질량의 약 265배 정도 하지요. 이 별이 표면온도는 약 섭씨 53,000도 정도인데 광도(luminosity: 단위시간에 별에서 방출되는 빛의 양)도 태양보다 7백만 배나 더 높습니다. 이 별은 그래서 알려진 별들 가운데 가장 밝은 별로도 기록이 되어 있다고 합니다.


R136_ESO1030d_341px.jpg
여기에 있음...


학자들은 오랫동안 정상적인 과정으로 생성되는 별 질량의 최대 한계치가 태양 질량의 약 150배 정도까지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R136a1은 학자들을 당황스럽게 만들었지요. 태양 질량의 265배라는 수치는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웠으니까요. 일단 현재까지 나온 이론은 이 별이 쌍성계의 다른 형제별을 인수합병(?)하면서 질량이 커졌다고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마젤란 성운에는 다른 곳보다 별들이 더 촘촘하게 성단을 구성하며 존재하는데 이런 경우 서로 쌍성계를 형성하는 별들이 서로 접촉하기가 더 쉽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은데 우주에는 쌍성계가 흔한데 그렇다면 왜 이런 엄청난 질량의 별들을 지금보다 더 많이 관찰할 수 없는가? 하는 의문을 던지는 것이지요. 이에 대한 대답으로 아마도 이런 엄청난 질량의 별들의 수명이 아주 짧아서 생성되었다가도 곧 소멸되어 버리기 때문에 그런 게 아닌가 하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고 합니다.



물리적 크기 부문 챔피언 – UY Scuti

UY Scuti란 별은 한마디로 그냥 무식하게 큰 별입니다. 반경이 태양 반경의 약 1,700배입니다. 지구로부터는 약 9,500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반경이 태양 반경의 약 1,700배이니까 질량도 어마어마하게 차이가 날 것 같지만 의외로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30배 정도밖에 하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밀도는 아주 낮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태양 반경의 1,700배라고만 하니까 잘 와 닿지 않습니다. 이 크기는 UY Scuti를 현재의 태양의 자리로 가지고 오면 그 표면은 목성 궤도를 훨씬 넘어선다는 것입니다. 상상을 초월한다는 표현은 이럴 때 쓰라고 있는 것 같습니다.


UY_Scuti_size_comparison_to_the_sun_ST.jpg
태양과의 크기 비교...우리 태양이 이렇게 초라하기도 참 오랫만...--;;

qwODeNK.jpg
우리 태양계와의 크기 비교...이 정도는 되야 유의미...


UY Scuti는 밝기가 변하는 별인데 이는 이 별의 크기 역시 시간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 오차범위가 태양 반경의 약 192배 정도까지로 보고 있는데 따라서 이 친구의 물리적 크기 챔피언 타이틀은 좀 논란이 있다고도 합니다. 저 정도의 오차라면 이 타이틀에 도전해 볼만한 다른 거인들도 좀 있기 때문입니다.

그 후보군들 가운데 하나가 NML Cygni라는 별입니다. 이 별은 지구로부터 약 5,300광년 정도 떨어져 있고 현재까지 알려지기로는 태양 반경의 약 1,650배 정도의 크기인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별이 성운에 둘러싸여 있어서 지구에서 관측할 때는 매우 흐려 보인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실제 크기가 태양 반경의 1,642배에서 2,775배까지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만약 이 별이 태양 반경의 2,000배가 넘는 게 확실하다고 하면 "물리적으로 가장 큰 별" 타이틀은 UY Scuti에서 NML Cygni로 넘어가야 할 것입니다.


nml_cygni_by_alpha_element-d6fcp5p.png
NML Cygni...타이틀 컨텐더...


인간의 관측 기술이 더 발달하고 더 많은 우주의 부분을 관찰하다 보면 위의 두 개의 타이틀이 현 챔피언에서 새로운 챔피언으로 넘어가는 일이 벌어지지 말라는 법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확실한 뉴 챔프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현 챔프의 권위를 인정해주는 데 인색할 필요는 없겠지요.

마지막으로 만약 UY Scuti가 현재의 태양의 위치로 온다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 지를 보여주는 동영상을 첨부하는 것으로 이 글을 마칠까 합니다. 결과는 회원님들이 직접 보시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스터충달
17/02/05 13:58
수정 아이콘
나를 봐 나를 봐 내 안의 몬스터가 이렇게 크다고 (후후)
유지애
17/02/05 13:59
수정 아이콘
우주의 크기는 차치하고 별 크기가 한 계의 크기라니
저같은 범인의 상상으로는 도저히 그릴수가 없네요
Galvatron
17/02/05 14:19
수정 아이콘
일단 마젤란성운자체가 우리 은하계가 아닌 다른 은하계가 아니던가요?
최대질량의 별 자체가 은하외부의 항성인데 서두의 은하계밖은 거의 관측한게 없다는 부분과 좀 어울리지 않네요.
Neanderthal
17/02/05 14:42
수정 아이콘
헉...그러고 보니 글 안에서 모순이 발생했네요...말씀하신 부분은 수정하겠습니다...지적 감사합니다...
츠라빈스카야
17/02/05 17:00
수정 아이콘
아니 왜 우리 햇살이 기를 죽이고 그래욧! 크크...
Neanderthal
17/02/05 17:05
수정 아이콘
태양도 전체 별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하는데 저런 괴물들과 비교를 하다보니...--;;
17/02/05 23:30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이시하라사토미
17/02/06 09:53
수정 아이콘
와.. 역시 우주는 거대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999 [일반] [알앤써치] 더민주 지지율 6% 급락, 황교안 2위 등극 [167] ZeroOne18888 17/03/08 18888 1
70998 [일반] 안철수 "정치인은 광장에 서면 안 된다" 문재인 직접 비난? [86] 레일리10282 17/03/08 10282 1
70997 [일반] 김정남의 아들 김한솔이 유튜브에 영상 업로드. "아버지는 살해됐다" [17] 삭제됨10589 17/03/08 10589 3
70995 [일반] "무 혁신" 회사 애플이 돈은 잘 벌어... [112] Neanderthal12999 17/03/08 12999 1
70994 [일반] [미드추천][약스포] HBO의 Westworld [37] 쿠쿠다스8346 17/03/08 8346 6
70993 [일반] 세븐일레븐 신상품 죠리퐁라떼 [19] style11622 17/03/08 11622 6
70992 [일반] 리쌍 사건 관점의 차이 [104] 삭제됨13237 17/03/07 13237 5
70991 [일반] WBC 한국 야구 대표팀, 문자 그대로 '멸망' 하다 [213] 삭제됨17064 17/03/07 17064 5
70990 [일반] [개똥철학] 니가 진짜로 원하는 게 뭐야? [14] 치열하게4127 17/03/07 4127 1
70989 [일반] 오스만 제국은 왜 몰락했는가? [22] aurelius11932 17/03/07 11932 25
70988 [일반] 안철수 "4차혁명 인재 10만명 양성"…과학·창업공약 [193] 홍승식12502 17/03/07 12502 17
70987 [일반] 영화 비평은 어떻게 써야 하나 (입문편) [35] 마스터충달8252 17/03/07 8252 16
70986 [일반] 손학규, '공정만세' 공약 발표했으나 사드 배치 소식에 묻혀 [25] ZeroOne8953 17/03/07 8953 2
70985 [일반] 최순실 "특검법은 위헌…위헌법률심판 제청" 법원에 신청(종합) [8] Marcion7185 17/03/07 7185 1
70984 [일반] 주한미군은 꼭 필요한거 같네요. [96] ZeroOne11545 17/03/07 11545 6
70983 [일반] 설사는 똥으로 다스린다... [30] Neanderthal7016 17/03/07 7016 29
70982 [일반] 최고의 요리, 스티엘라 클라바 콘 파사 [7] 헥스밤5978 17/03/07 5978 6
70981 [일반] 롯데 “아마존 무인마트 국내에 곧 상륙…공동대응할 스타트업 물색” [29] 아라가키9867 17/03/07 9867 0
70980 [일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일 3/8 이후에 통보할 것" [55] 光海10327 17/03/07 10327 1
70979 [일반] 낚시는 아닌데 낚시 같은.. [4] 익금불산입6793 17/03/07 6793 1
70978 [일반] 타임 紙 선정 "20세기의 인물" 100인 (5) (사진 다수) [21] 유유히9956 17/03/07 9956 0
70977 [일반] 北, 자국내 말레이 국민 출국금지…'인질외교' + 말레이의 북한인 출국금지 [101] 치열하게9974 17/03/07 9974 3
70976 [일반] 타임 紙 선정 "20세기의 인물" 100인 (4) (사진 다수) [12] 유유히9619 17/03/07 961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