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2/03 15:34:00
Name Paul Pogba
File #1 1.jpg (1.10 MB), Download : 55
File #2 2.jpg (32.0 KB), Download : 3
Subject [일반] 이재명 "중학교부터 근로기준법 의무화" 공약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2/03/0200000000AKR20170203043200061.HTML?input=1195m




저같은 듣보 회원의 댓글이나 글을 검색해보실리는 없겠지만

저는 무슨 퇴직금을 떼먹혔네 임금체불이네 이런 이슈가 있을 때마다 달았던 댓글이

중고교때부터 근로기준법이나 노동법 교육을 최소한 한달에 한시간이라도 좀 배웠으면 한다는 거였습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다른 회원분들의 댓글은 절대 기득권 세력이 그걸 할 리가 없다

멍청하고 무식해야 떼먹기 좋기 때문이다 라는 거였거든요


대부분은 학교 졸업하면 노동자가 됩니다. 공부잘해서 의사가 되어도 노동자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후보가 당선되든 학생들에게 국영수만 가르치지 말고 근로기준법, 노동법을 제발 가르쳤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근로기준법, 노동법을 어기지 못하게 철저히 감독하는 제도 또한 말이죠.

저도 퇴직금을 못 받아 가본 적이 있지만 사실 상 제가 다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의지가 없더군요.





솔직히 이 공약이 이재명 시장의 지지율과 표에 좋은 영향을 줄까요? 아니라고 봅니다

물론 지지층의 결집에는 좋은 효과가 있겠죠....

저 또한 이재명 시장을 대통령후보로 지지하진 않습니다만....

이런 공약과 공약으로 승부하는 이런 분위기가 너무나도 좋고 한국의 미래를 밝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치킨너겟은사랑
17/02/03 15:35
수정 아이콘
헌법과 함께 당연히 해야되는 교육입니다. 프랑스처럼 해야죠
이 공약은 정말 좋네요. 정권 바뀌면 반드시 누구든 해야된다고 봅니다
다그런거죠
17/02/03 22:56
수정 아이콘
맞아요. 초등학생 때부터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거 참 좋네요.
펠릭스
17/02/03 15:35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당장 수능끝난 고3들 데리고 노동법이랑 세법이랑 각종 계약서 작성법 부터 가르쳐야 한다니까요.
17/02/03 15:37
수정 아이콘
맙소사... 수능끝난 고3에게 무언가를 가르친다면 저 부터 도망갈 것 같네요.
Paul Pogba
17/02/03 15:38
수정 아이콘
패스/언패스 해서 언패스하면 졸업못하고 고졸 안되니 대학 못가는걸로 ^^;;
AngelGabriel
17/02/03 15:41
수정 아이콘
그럼 제대로 하겠네요. 암요.(!?)
데오늬
17/02/03 16:05
수정 아이콘
좋네요 크크
담배상품권
17/02/03 16:42
수정 아이콘
이건 수능끝난 고3들도 배우고싶어할겁니다. 선생님들이 말만 잘하면 꽤나 모일걸요
물론 소문처럼 주위 싸장님들이 학교에 들이닥쳐서 최저임금 및 근로기준법 가르치지 말라고 교장실을 터트릴테지만.
AeonBlast
17/02/03 20:47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수능끝나고 화장법이나 안보교육(--)등등 시간때우기용 외부강의들이 꽤 있었는데
외부강의로 가르치면 될꺼같네요.
Biemann Integral
17/02/03 21:24
수정 아이콘
몇몇 학교는 수능 이후 특강 형식으로 가르치고 있습니다.
라이징썬더
17/02/03 15:36
수정 아이콘
기초단체장으로서 이재명이 내놓는 정책은 대부분 좋습니다. 검증의 차원에서 늘 문제가 되어왔고 현실적으로 이 사람이 당선되긴 어렵죠.
펠릭스
17/02/03 15:56
수정 아이콘
이사람은 그 수많은 현실성의 비판들을 '되는데요?'로 닥치게 만들면서 여기까지 커리어를 쌓은 정치인입니다.

의외로 이사람이 하면 될 수도??
라이징썬더
17/02/03 16:45
수정 아이콘
중도를 아우러야 하는 현 정치상황에서 대통령의 자리까지 가기는 어려운 인물이라고 봅니다.

이런 정책들을 문재인 대표가 잘 참고해 주면 더 좋은 대통령이 될거라 봅니다.
17/02/03 15:38
수정 아이콘
이 공약은 정말 맘에 드네요. 그래도 같은 정당의 동지로서 누가되던지 국민들에게 호응받은 좋은 정책과 공약은 좀 같이 공유해서 지켜났으면 합니다.
이재명 시장이 공약이나 정책은 좀 잘 만드는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17/02/03 15:39
수정 아이콘
다른후보도 참고했으면 하는 공약이네요
한국 특성상 넣기 힘들어서 그렇지 정말 좋다고 생각합니다.
17/02/03 15:39
수정 아이콘
이 공약은 참 좋네요
17/02/03 15:39
수정 아이콘
당연히 교육시켜야 되긴 한데, 제가 다 알아봤자 소용없더군요... 교육하면 점차 나아지려나 사실 사용자측이 몰라서 안지키는게 아니거든요. 안지켜도 되니까 안지키지. 직원이 저걸 지키라고 말 할 수 있는 사업장이면 이미 말 안해도 벌써 지켰습니다.
Paul Pogba
17/02/03 15:41
수정 아이콘
그래도 모르고 지나가는거랑
알고 당하는거... 천지차이입니다

사람들이 깨어있어서 아 저시끼가 독재하는구나 하고 있는 상황이랑
다 무지랭이 들이라 그냥 그런가부다 하고있는 상황이랑 다르죠

전자는 결국 어느 상황가면 터집니다. 촛불이건 죽창이건 말이죠
후자는 그냥 그대로 가는겁니다.

유게의 지하철처럼 내가 백수고 얼마안하는 가방 찾고자 하는 의지 있어도
네 형사가 수사의지 없으면 못찾아요. 알죠. 근데 그냥 내가 찾고자 하는 의지 없으면
아무리 천사형사 만나도 못찾는겁니다.
내가 아는게 먼저에요. 그리고 나서 제도탓을 하는거죠. 내가 알아야
왜 제도 안지키냐고 따질수 있는거고
어린 학생들이 그걸 알아야 왜 나라에서 노동법 어기는거 사용자들 처벌안하냐 나중에 따질수 있는거에요

학생들 노동법 가르치면 다 해결된다고 하는거 아닙니다
그게 초석이 됩니다.
vorhandensein
17/02/03 15:48
수정 아이콘
저는 좀 다른데요, 아르바이트 했던 곳이 주휴수당과 초과근무수당을 챙겨주지 않는 곳이였습니다. 그래서 주휴수당 및 초과근무수당을 보장하는 근로기준법 조항과 제가 출퇴근 시간 기록내용, 그리고 초과근무에 대한 내용을 산출해서 보여드리니 바로 수용하더라구요. 노동부에 신고하지 않고 잘 끝냈습니다. 부딪혀보지 않고는 결과는 모르는거에요.
변태인게어때
17/02/03 15:58
수정 아이콘
그래도 알고 있어야 덜 당하고 대처방법도 쉽게 압니다. 이미 당할만큼 당한 뒤에 뭔가를 해보려고 하면 손해가 막심하니까요
사악군
17/02/03 16:07
수정 아이콘
사용자측도 모르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다다다닥
17/02/03 16:12
수정 아이콘
근로자 분들 중에 정말 몰라서 당하시는 분들 수두룩합니다. 정말 소규모 사업장은 사용자들도 몰라서 안지키는 경우가 간혹 있구요.
차라리꽉눌러붙을
17/02/04 03:26
수정 아이콘
대다수가 근로기준법에 대해 알게되면 그건 개인이 아는 것과는 다른 효과를 낼 수 있지않을까 합니다
17/02/03 15:39
수정 아이콘
최저임금 안주려던 사장님들 피꺼솟
Arya Stark
17/02/03 15:40
수정 아이콘
교육도 해야되고 알려줬으니 안지키면 뚜까패야죠.
Agnus Dei
17/02/03 15:41
수정 아이콘
공약은 정말 좋네요
아마존장인
17/02/03 15:43
수정 아이콘
이재명 공약은 참 맘에들어요. 이거랑 군복무 관련공약도 좋던데
묘이 미나
17/02/03 15:46
수정 아이콘
이건 정말 좋네요 굿
카카오닙스
17/02/03 15:46
수정 아이콘
이건 좋네요.
아라가키
17/02/03 15:46
수정 아이콘
학생들은 알바할때 임금 후려치기가 빈번해서 이런게 꼭 필요하죠, 정말 좋네요
김연우
17/02/03 15:48
수정 아이콘
많이 좋네요
누가 경선에서 승리하건, 이 공약은 무조건 살았으면 좋겠어요.
17/02/03 15:48
수정 아이콘
이거 완전 찬성. 누가 대통령 되든 이 정책은 흡수해서 추진해봤으면 좋겠네요.
이재명 입장에서는 한창 물살 탈때 이런 방향으로 나갔으면 참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동원사랑
17/02/03 15:50
수정 아이콘
재명아 그래 우리 이렇게 가자.
조또 세계 몇위 대국 만들겠습니다 이런거말고.
쌈마이로 가자.
아파트 학군에 몇명 섞이면 집값 떨어진다고 욕먹는 그 애들 위한 그 애들의 나라 하자.
엔조 골로미
17/02/03 15:53
수정 아이콘
좋은 공약이네요 기세탔을때 이렇게 했어야 했는데 많이 아쉽습니다 ㅠㅠ
17/02/03 15:53
수정 아이콘
수업은 누가하는건가요? 컴퓨터수업같은 특별활동 개념?
Paul Pogba
17/02/03 15:58
수정 아이콘
뭐 잘은 모르겠지만

그냥 제 뇌피셜로 한가지 예를 들어보면

노무사들에게 세금으로 보수주고 특강 시킨다든지 하는 식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요?
Korea_Republic
17/02/03 15:54
수정 아이콘
진작에 이렇게 정책으로 승부를 보지 참.....
변태인게어때
17/02/03 15:58
수정 아이콘
이건 솔직히 누가 되든 민주당 공약으로 넣어줘야 합니다. 이거 몰라서 20대 초중반에 얼마나 개고생을 하는데요
세츠나
17/02/03 15:58
수정 아이콘
이건 정말 좋네요. 피고용자만이 아니라 고용자가 될 사람들도 알아야된다고 봅니다.
무슨 재벌출신들만 사람 쓰는게 아니고 사실 누구라도 사람 고용해서 쓸 수 있잖아요?
중소기업 정도 타이틀 붙일 수 있는 회사 경영진조차 고용법을 모르는 경우도 있더군요.

'길거리에 쓰레기를 버리면 안됩니다'라고 줄곧 배우고 자란 것과 아닌 것은 차이가 크죠.

잘못을 하고도 잘못인줄 모르는 사람, '다들 이렇게 하는데?' 하는 사람들도 어릴 때부터
배워온게 있다면 좀 다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나이들어서야 어떻게 알게되더라도
그건 그냥 형편에 따른 룰일 뿐 '나쁜 짓'이라고는 생각을 안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당연히 피고용자들이 자신의 권리를 찾는 것, 그게 '옳은 일'이라 생각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구요. 무슨 의리를 깨고 사회를 어지럽히는 잘못된 행위인 양 상대는 윽박지르고
스스로도 조심하고 겁먹고...그런 고리를 깨려면 교육이 정말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토구백
17/02/03 16:01
수정 아이콘
노동자에게 가장 문제가 되는 파견법, 이거나 좀 어떻게 해 줬으면 좋겠어요.
어떻게 법도입이후로 매정권마다 적용범위가 확대된답니까...
17/02/03 16:01
수정 아이콘
이 공약은 정말 좋네요. 정권 바뀌면 반드시 누구든 해야된다고 봅니다 222
바스커빌
17/02/03 16:02
수정 아이콘
정말 필수적인거 에이포 한 다섯장 정도로만 요약해서 수능에 한문제넣으면 억울한 피해 엄청 줄어들겁니다
다다다닥
17/02/03 16:29
수정 아이콘
기승전수능!!
프레일레
17/02/03 16:03
수정 아이콘
이재명 별로라 하는데
이 제안은 와우 좋네요
진짜 학교에서 이런거 가르쳐야 되요!
황약사
17/02/03 16:04
수정 아이콘
노동법하고 세법은 좀 가르쳤으면 좋겠습니다;
연말정산 시즌 될때마다..연말정산의 개념을 이해 못해 물어보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곤란;;;
원시제
17/02/03 16:04
수정 아이콘
이런건 좋죠. 기본적인 법 몇가지는 필수과정으로 넣어야 합니다.
VinnyDaddy
17/02/03 16:05
수정 아이콘
이건 누가 민주당 후보가 되더라도 받아갔으면 좋겠습니다.
17/02/03 16:07
수정 아이콘
공약 정말 좋네요!
촛불정국에서 국민들의 관심과 기대가 이재명에게 쏠렸을때 이렇게 공약 승부를 걸었더라면 '대통령 이재명'이 구름같은 소리가 아니었을텐데... 문재인이라도 정말 박빙이었다고 봅니다.
하지만 정치 관심가지는 사람들에겐 바닥 보일꺼 다 보이고 어떤 인간인지를 여실이 드러낸뒤라 이미 물 건너 갔네요.
최소한 저에게 있어선 앞으로 뭔짓을해도 out 이니까요.
녹차김밥
17/02/03 16:07
수정 아이콘
이재명 칭찬해본 적 없는데 이건 정말 좋네요.
누가 되든 꼭 했으면 좋겠습니다.
사악군
17/02/03 16:08
수정 아이콘
이건 정말 좋지요. 정규교과에 넣을만 합니다.
제랄드
17/02/03 16:08
수정 아이콘
어디서 봤던 건지는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프랑스(독일?)의 경우 중학생 즈음 되면 한 반 학생들을 1/2로 나눠서 한쪽은 사측, 한쪽은 노조측으로 편을 갈라 모의 노사협상을 교육합니다. 1주일 후 이번엔 양쪽을 바꿔서 한 번 더. 굉장히 좋은 제도라 생각합니다. 전국민의 99%는 일정 기간이나마 노동자 테크트리를 타게 될 텐데 이걸 안 가르친다는 게 오히려 이상한 것인데 저 스스로도 그걸 인지 못하고 있었다는 게 놀라웠던 기억이 나네요.
같은 맥락에서 경영학과 다니던 친구 녀석이 술자리에서 우리과 나와봤자 단 하루라도 진짜 '경영'을 해 볼 확률은 1% 이하라고 했던 말도 기억이...
17/02/03 16:14
수정 아이콘
양쪽 다 교육하는거 좋네요
노동법도 대부분 노동자 쪽에서만 배우서 반만 알고 반은 모르는 경우가 생기더군요.
같은 내용을 사용자 측에서 다르게 해석 가능한 것들?
최강한화
17/02/03 16:09
수정 아이콘
이런 공약은 정말 좋죠. 진짜 가르쳐야합니다.
세법, 노동법은 필수로 중고등학교에서 가르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1학기에는 세법, 2학기에는 노동법 이런식으로 일주일 2시간씩만 할애해서 가르치고 수능문제에 1~2문제만 넣어도 파급력은 어마어마할겁니다.

설마 이 공약을 빨갱이 법안이라고 비판하는 사람은 없겠지요?
절름발이이리
17/02/03 16:11
수정 아이콘
좋습니다.
오리엔탈파닭
17/02/03 16:11
수정 아이콘
이재명의 모든 공약들 중에서도 비용도 적으면서 실현 가능성도 높고 가치있는 공약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후보들도 관심을 가지게 되면 좋겠네요.
ArcanumToss
17/02/03 16:13
수정 아이콘
이런 교육은 정말 필요한 교육이죠.
금융과 금융 관련 상품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고요.
heatherangel
17/02/03 16:13
수정 아이콘
무조건 찬성합니다.
스웨이드
17/02/03 16:14
수정 아이콘
이건 이재명이 후보 안되더라도 반드시 넣고 가야할만큼 좋은정책이네요
도도갓
17/02/03 16:16
수정 아이콘
좋네요.
파이몬
17/02/03 16:17
수정 아이콘
훌륭한 정책입니다.
스타카토
17/02/03 16:17
수정 아이콘
중학교는 의무 초등은 선택정도로 6학년 부터 창체시간에 10시간 정도 투자했으면 참좋겠네요.
내년부터 초등학교 창체시간에 코딩교육 연간 17시간이 들어가는데....이거 빼거나 줄여서 근로기준법 교육 넣어도 참 좋을것 같네요.
17/02/03 16:21
수정 아이콘
이건 문재인도 같이 생각해볼문제라고 봅니다
17/02/03 16:27
수정 아이콘
좋은 공약이군요. 이거와 더불어 정치 참여에 대한 교육도 해야한다고 봅니다.
-안군-
17/02/03 16:29
수정 아이콘
사회교과서에 헌법, 노동법, 근로기준법 과정을 교육과정으로 넣고, 수능에도 필수로 나오게 하면 됩니다.
그러면 모두들 달달 외워서 사회에 나오게 될거고, 설령 노동자가 아닌 사용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더라도, 그런 법이 있다는걸 알면 몸 사리죠.
17/02/03 16:33
수정 아이콘
이건 좋은 겁니다.
오히려 근로기준법에만 한정되지 말고, 필수적인 여러개를 가르쳐야합니다.
꼭 교과과정으로 편입할 필요도 없고 특강이라던가 여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17/02/03 16:34
수정 아이콘
좋네요.
17/02/03 16:37
수정 아이콘
맙소사 놀랄 만큼 좋네요 이건.
17/02/03 16:42
수정 아이콘
좋은 공약이죠.
요즘 야권에서 공약은 잘 만들고 있긴 합니다.
17/02/03 16:46
수정 아이콘
요즘 생각하는게 아무리 실업계, 문이과생, 예체능으로 학생들이 나눠져있더하더라도, 가장 기초적인 것. 즉 누구나 인생에서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생명 (의료),돈 (경제),그리고 그 위에 존재하는 법에대해서 기본적으로 가르쳐야할꺼 같아요. 물리 전공자지만 수학,물리 이런거는 중요성이 다음인거 같고...
17/02/03 16:50
수정 아이콘
이재명의 장점은 이런거죠. 손가혁 활동이라던지 현재 유권자들에게 개뿔도 안먹히는 고루한 정치학적 네거티브같은게 아니라요.
미하라
17/02/03 16:50
수정 아이콘
사실 근로기준법 뿐만 아니라 세법이나 헌법 기초같은 지식이 과학시간에 배우는 원소기호 따위보다 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훨씬 써먹을 일이 많죠.

학교 다 졸업하고 서류 작성하고 연말정산같은거 하면서 느꼈던게 뭐냐면 왜 우리는 학교에서 정작 살아가면서 써먹어야할 기술들은 교육받지 않고 왜 써먹을 일도 없는 것들을 그렇게 많이 배워야 했나...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학교다니면서 "칼카나마 알아철니 주납수구 수은백금..." 이거 외워서 살아가면서 써먹은적 있으십니까? 전 한번도 없거든요. 근데 몰랐어도 세상사는데 하나도 지장 없었을것 같거든요.
순뎅순뎅
17/02/03 16:56
수정 아이콘
좀 다른 이야긴데... 사기 안당하도록 관련 법이라던가 이런거 좀 교육좀 시켜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보험에 대한 이해도 좀...

사회 초년생 부터 해서 각종 사기(돈 빌려주고 떼이기 등) 및 쓸데 없는 고액 보험(변액유니버셜 등)들었다가 해지 해 보신분들 많으실듯...
다다다닥
17/02/03 17:06
수정 아이콘
노동교육 의무화는 사실 시민사회나 노동단체에서 꾸준히 주장하던 의제긴 했거든요. 이 의제가 '쉽고, 간략하고, 실현가능한 정책을 다루는 이재명 시장'의 이미지와 딱 맞아 떨어지네요. 충분히 호응을 받을만한 정책인 거 같아요.

민주당 다른 캠프나 정책관련 부서도 노동 이슈를 거시적이고 담론적으로 바라볼 게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정책을 많이 개발하는 쪽으로 갈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17/02/03 17:08
수정 아이콘
초중고 12년에 대학 4년까지 해서 사회로 나오는데 개인사업자가 1년에 부가세 2번, 종합소득세 1번 낸다는 것도 모르죠...
공고리
17/02/03 17:17
수정 아이콘
지난 교육감 선거 때 다른 지역이지만,
공약이 노동법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겠다고 한 후보가 있어 눈여겨 봤습니다.
학부모에겐 와닿지 않는 공약이라 그런지 그 후보는 낙선했지요.

이제 노동법을 가르치겠다는 공약이 대선공약으로 나오네요. 보기 좋습니다. 문재인 혹은 안희정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되더라도 이 공약은 유지하면 좋겠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당 차원의 공약으로 하는 것도 좋겠지요.
라이징썬더
17/02/03 17:22
수정 아이콘
문재인 지지자로서, 이재명의 적폐청산 워딩과 시정경험을 바탕으로한 이런 정책공약들은 깊이 공감합니다.

비록 대통령감은 아니지만, 문재인이 대통령이 되면 정책보좌관을 해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을 가끔 하거든요.
17/02/03 17:33
수정 아이콘
정말 좋네요!
MVP포에버
17/02/03 17:34
수정 아이콘
아 이런 정책 경쟁 정말 좋습니다!
이래야 이재명이죠.
그리움 그 뒤
17/02/03 17:53
수정 아이콘
그래서.....승자 독식의 방식이 아니라 패자도 당당하게 승자에게 내 공약 중에서 이것 이것은 니 공약에 넣어줘라 하고
승자도 패자의 공약중에서 좋은 것들은 자기 공약에 넣을 줄 아는 모습이 보였으면 좋겠습니다.
샌더스가 그랬다고 들은 것 같네요.
이럇샤이마세
17/02/03 18:32
수정 아이콘
이분은 능력은 있는데 도덕성이 없고
문재인은 도덕성은 있는데 능력이 없고
반기문이 좀 독해서 버텼으면 뽑아줬을텐데
17/02/03 19:00
수정 아이콘
이경우 도덕성 있는 사람이 능력있는 사람을 쓰는 경우가 가장 베스트가 아닐까 조심스럽게 말씀드려봅니다
17/02/03 18:36
수정 아이콘
뿐만아니라, 도로교통법 이라던지 일반사회 교육을 강화해서 사회 구성원으로써의 성장을 돕는 교육을 확장시켜나가길 바래봅니다
그리고또한
17/02/03 19:00
수정 아이콘
진작에 이런 모습을 보여줬으면..
언어물리
17/02/03 19:26
수정 아이콘
교육해야 할 게 많은데 안 가르치죠.
뻐꾸기둘
17/02/03 20:00
수정 아이콘
이재명은 손가락으로 장난치지 말고 정책대결을 했어야 했죠.

본인의 강점이 성낭시정에서 복지를 정작시켰다는건데..
어니닷
17/02/03 20:41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 정책입니다. 지지합니다.
이재명시장은 정말 포텐셜이 높은데 너무 정치꾼처럼 굴었어요.
이제라도 지금처럼 하시길 기원합니다.
사르트르
17/02/03 21:33
수정 아이콘
노동법도 당연하지만 세법은 사회나가기전에 필수적으로 교육시켜야 됩니다. 세무사 수준까진 필요없고 기본적인걸 알고 사회에 나와야 본인들이 손해를 안봅니다. 사업하는 사람들중 부가세 소득세 신고기간을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고 연말정산기간에 세무서에 서류들고와서 연말정산 해달라는 사람들도 많아요.
마용 봇
17/02/03 22:24
수정 아이콘
이재명이 민주당의 자산이라는 말에 짙은 의심을 가지게 될 때쯤에
그의 가치를 증명해 내는 좋은 아이디어네요.
애초에 이런 방향으로 빛을 낼 수 있었고 그랬어야 하는 후보입니다.
그리고 누가 당내경선에서 이기든 이런 정책은
민주당 전체가 이어 나가고 이시장에게 그 로열티를 인정해주어야 할 부분이고요.
시들지않는꽃
17/02/03 23:15
수정 아이콘
이부분은 수정했으면 합니다
판검사는 노동자라고 볼수 있지만
노동자가 아닙니다 공무원이라!
법이 틀려서!
의미는 같지만 틀린부분이라서요
Paul Pogba
17/02/04 09:54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잘 몰랐습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583 [일반] SBS 대선후보 국민면접 이재명 편에서 인상적인 답변 [110] 삭제됨11954 17/02/15 11954 22
70543 [일반] 문재인이 유비면?? 이재명은 여포?? [50] 브론즈테란8230 17/02/13 8230 1
70532 [일반] 이재명 대선후보, 삼성사옥앞 직격탄 "이재용 구속, 부당이익환수" [184] 브론즈테란13149 17/02/12 13149 9
70444 [일반] MBC 대선주자를 검증한다를 보고 이재명 후보에게 마음이 기울었습니다 [92] SkPJi14775 17/02/07 14775 17
70358 [일반] 이재명 "중학교부터 근로기준법 의무화" 공약 [90] Paul Pogba8811 17/02/03 8811 26
70302 [일반] 이승만, 박정희 참배를 거부한 이재명 후보 [93] 브론즈테란10805 17/02/01 10805 12
70277 [일반] 이재명 '경쟁의 품격' 호소 [92] 원시제12392 17/01/30 12392 7
70253 [일반] 2017년 이재명 대통령 당선 예측 글 [89] Red_alert11744 17/01/29 11744 3
70177 [일반] 이재명, 박원순, 김부겸 공동정부 추진 합의 [163] 그러지말자13353 17/01/24 13353 1
70159 [일반] 이재명 "집권땐 박근혜, 이재용 사면 없다. 재벌해체로 공정사회" [46] 레스터8665 17/01/23 8665 5
70048 [일반] 페이스북 문재인 퇴출 그룹에 가입 후 탈퇴 한 이재명 성남시장 [44] 트와이스 나연7972 17/01/17 7972 2
69975 [일반] 갤럽 대선후보 지지율 문재인 31%, 반기문 20%, 이재명 12% [140] ZeroOne15485 17/01/13 15485 8
69946 [일반] [정치] 박원순과 이재명 최근 행보에 대한 개인적인 소견+@ [63] HesBlUe9440 17/01/11 9440 5
69920 [일반] 이제 국민경선이 아닌 배심원경선을 주장하는 이재명, 박원순 [115] 어리버리11103 17/01/10 11103 1
69792 [일반] [팩트체크] 이재명 vs 전원책 '법인세 실효세율' 설전 [120] 킹보검12612 17/01/04 12612 2
69551 [일반] 이재명 시장의 여러 논란들에 대한 인터뷰 [101] Jun91110551 16/12/21 10551 3
69543 [일반] 피크를 찍고 내려가는 이재명... (+ 호감도 조사의 비밀) [62] ZeroOne11601 16/12/21 11601 4
69399 [일반] 이재명시장의 과거 [114] 정연26713 16/12/14 26713 17
69370 [일반] 이재명 시장의 가천대 발언 사과, 그리고 새로운 논란 [225] VKRKO18963 16/12/12 18963 8
69308 [일반] ‘킹메이커’ 김종인, ‘이재명 킹 프로젝트’ 가동하나 [52] ZeroOne11301 16/12/09 11301 0
69306 [일반] 이재명 시장과 가천대 대나무숲... [142] 고통은없나15589 16/12/09 15589 7
69299 [일반] [한국갤럽] 박근혜 지지율 5% / 이재명 차기대권주자 3위 [175] 킹보검16304 16/12/09 16304 3
69097 [일반] 이재명 성남시장 형 이재선씨, 박사모 성남지부장 됐다 [45] ZeroOne12255 16/12/01 1225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