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10/08 21:06:58
Name Neanderthal
Subject [일반] 좋은 지방(fat)...나쁜 지방(fat)...
지방...
아무튼 별로 반갑지 않은 이름입니다. 지방이 몸에 안 좋다고들 하지요...그런데 지방은 얼마나 많이 섭취하느냐보다 오히려 어떤 종류의 지방을 섭취하느냐하는 문제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지방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방이라고 하는 것은 사실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s)라고 불리는 분자들로 이루어진 물질입니다.



지방 is triglycerides...


그리고 이 분자들의 구성이 다 똑같지 않기 때문에 지방에도 종류가 있다는 겁니다.



왼쪽의 탄소 세개...글리세롤...


위에 트리글레세리드의 이미지를 잠깐 보겠습니다. 왼쪽에 있는 세 개의 탄소 원자들로 이루어 진 것이 글리세롤입니다. 이것이 바로 지방의 뼈대를 이루는 척추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나의 탄소 원자마다 오른쪽으로 긴 분자의 체인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들이 바로 지방산입니다.



긴 탄소 사슬은...지방산...


이러한 체인의 구조가 약간 달라짐에 따라 지방의 형태나 성질이 다르게 결정된다고 합니다(예를 들어 지방이 액체 형태가 되는지 고체 형태가 되는지 또는 부패할 때 역한 냄새가 나는지 그렇지 않은지).

하지만 정말로 중요한 것은 이러한 체인의 형태에 따라 우리에게 좋은 지방인지 나쁜 지방인지도 결정이 된다는 점입니다.

우선 체인이 길이가 길수도 있고 짧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보다 더 중요한 요소가 있는데 바로 탄소간의 결합 종류입니다. 어떤 지방산들은 탄소와 탄소가 단일결합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른 종류의 지방인 경우 지방산에 있는 탄소간의 결합이 단일결합도 있고 이중결합으로 되어 있는 것들도 있다고 합니다.



단일결합...


단일결합 + 이중결합...


지방산에 있는 탄소들 간의 결합이 오직 단일결합으로만 이루어진 것들을 포화지방이라고 합니다. 지방산의 탄소 결합이 단일결합과 이중결합으로 이루어 진 지방은 불포화지방입니다. 포화지방은 몸에 좋지 않고 불포화지방은 괜찮다는 얘기는 들어보셨을 겁니다. 사실입니다.

그런데 그럼 불포화지방산은 다 괜찮은가? 그건 또 아니라고 하네요. 탄소 간에 이중결합으로 결합이 되어 있는 경우 나머지 가지들에 수소원자와 또 다른 이웃의 탄소 원자들이 어떤 형태로 결합이 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또 불포화지방산도 두 가지로 분류가 된다고 합니다.



같은 방향으로 결합됨...


위의 그림처럼 이중결합이 된 탄소들의 나머지 가지에 수소 원자들이 같은 쪽으로 결합이 되어있고 나머지 두 가지에는 이웃한 탄소 원자들이 결합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또 다른 경우로는 이중 결합을 사이로 수소 원자들과 탄소 원자들이 서로 엇갈려서 결합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서로 엇갈려서 결합됨...


앞의 경우를 CIS, 뒤의 경우를 TRANS라고 한다고 합니다.



CIS 지방과 TRANS 지방...


어? 트랜스? 맞습니다! 들어보셨죠? 트랜스지방이라고...이 친구들은 상해도 냄새가 잘 나지 않고 더 안정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트랜스지방이 첨가되면 더 맛있게 느껴지도록 음식의 질감을 바꿀 수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몸에는 아주 안 좋다는 겁니다. 이 트랜스지방이...--;;
앞에서 언급한 포화지방보다도 훨씬 더 나쁘다니까 정말 안 좋긴 안 좋은가 봅니다...
그러니까 가급적이면 불포화지방 가운데서도 CIS-불포화지방을 섭취해야 한다는 얘기이지요.


그런데 이건 어디까지나 제 생각입니다만...그냥 맛있는 게 제일 아닌가 합니다...--;;
그리고 한 가지 다행인 건 제가 좋아하는 과자 해x의 에x스 크래커가 트랜스지방이 0g인 점이지요...
그럼 앞으로도 계속 먹어야지...히히...--;;


본문은 링크의 동영상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동영상 링크: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점화한틱
16/10/08 21:13
수정 아이콘
포화지방이라고 해롭다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코코넛 오일이 몇년 전 슈퍼푸드로 이름날렸었죠. 저도 3달정도 먹고 끊기는 했습니다만.(먹기가 너무 괴로워서...) 코코넛 오일 또한 포화지방입니다. 다만 지방산의 사슬길이의 차이때문이라 했었나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포화지방이라고 해서 나쁜 지방만 있는 건 아닌걸로 압니다.
Neanderthal
16/10/08 21:19
수정 아이콘
음...그렇군요. 그래도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건 확실하겠죠?...--;;
아점화한틱
16/10/08 21:23
수정 아이콘
저도 전문가는 아니고 심지어 이공계쪽도 아닌 문외한이지만, 식품 영양표시에 트랜스지방을 특정해서 의무적으로 표기토록 하는 걸 보면 트랜스지방은 확실히 안좋지 않을까 하고 추측만 할 뿐입니다. 전문지식을 가진 다른 분들이 상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해바라기
16/10/08 21:39
수정 아이콘
트랜스는 좋지 않죠. 저도 잘은 모릅니다만 트랜스 지방이 자연에서는 그리 흔한 형태는 아니라고 합니다. 원래 대부분의 지방은 시스cis 형태로 넓은 공간, 낮은 밀도를 가지는 데 인위적으로 트랜스trans 형태로 바꿔서 밀도를 높여 운반 비용을 줄이고자 했다고 수업 시간에 들었거든요. 그렇게 되면 왜 안 좋은지는 밑에 분이 설명해 주실겁니다......?
16/10/08 22:29
수정 아이콘
몸에 들어오면 쌓이기만 하고 에너지원으로 쓰이지 않는다고 해서 몸에 안좋다고 하더군요.
아케르나르
16/10/09 10:04
수정 아이콘
마가린 얘기를 하시는 것 같은데, 조금 다릅니다. 시스지방산과 트랜스지방산은 둘 다 불포화지방산이라고 불리는데, 상온에서 액체상태인 유지들은 대개 불포화지방입니다. 생선기름도 그렇고요. 냄새나는 생선기름을 수소 첨가 반응으로 경화시켜서 냄새 없고 보관성도 좋게 한 게 마가린입니다. 수소 첨가는 수소와 기름을 같이 넣고 끓이는 식(저도 잘 모릅니다만 대충 그렇다고 합니다.)인데, 그러면 저 이중 결합 중 하나가 수소와 결합해서 포화지방산으로 바뀌는 겁니다. 근데 이걸 식히면 그 중 일부가 다시 이중결합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 때 양쪽에 붙은 지방산이 시스 위치에서 그대로 있지 않고 반바퀴 돌아가기도 합니다. 이게 트랜스지방산이죠. 트랜스지방의 경우 심혈관에 안좋은 영향을 준다고 하네요.
페마나도
16/10/08 23:19
수정 아이콘
Trans지방이 안 좋은 것은 현재 영양학계에서 대다수 전문가들이 인정하는 몇 가지의 확실한 사실입니다.
소량만 먹어도 몸에 안 좋은....
포화지방은 아직 의견이 분분한 문제고요.
sway with me
16/10/09 04:06
수정 아이콘
코코넛 오일을 비롯한 식물성 오일은 단순히 지방(fat)이라고 퉁쳐서 부르기에는 어려운 특성들을 갖고 있어요.
말씀하신대로 사슬 길이가 길고, 동물성 식이를 통한 지방의 섭취와는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포화지방을 줄이라는 것은, 이게 혈중 LDL 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을 높여서 심혈관질환 발생을 늘리기 때문이거든요.
코코넛 오일을 포함한 식물성 포화지방의 특징은 HDL 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도 동시에 많이 올린다는 것에 있습니다. 이때문에 포화지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 발생을 줄여주지요.
하지만 코코넛 오일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는 단기간의 연구들 뿐이고, 장기간의 연구가 좀 더 필요합니다.

여하튼 잘 살펴보면 이런 부분이 있기는 해도, 전반적으로 포화지방을 통한 칼로리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는 것은 여전히 정설입니다.
16/10/08 21:55
수정 아이콘
그래서 트랜스지방의 우리말이 변이지방입니다.

?!?!
16/10/08 22:10
수정 아이콘
포화지방, 불포화지방은 나쁘지 않다고 하네요. 트랜스지방이 안 좋죠.
도라귀염
16/10/09 01:55
수정 아이콘
트랜스지방은 불포화지방의 한종류입니다
치맛살
16/10/08 22:58
수정 아이콘
에이스크래커 우리 할아부지가 좋아하시던데
니가가라하와��
16/10/08 23:34
수정 아이콘
포화지방이 오히려 건강에 좋다고 해서 고지방 저탄수가 주목되고있는겁니다. 이게사실이면 거의 의대교과서를 새로 써야될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자세한건 지방의 역설 책이나 방송 참조하시면될듯....
그리고 트랜스 지방에 대해서 잘못 알고 계신것이 영양 성분 표기에 트랜스 0이라고 1도 없는개 아닙니다. 일정 기준 이하의 트랜스지방은 0으로 표시해도 가능하다고 되어있습니다 .
과자류는 전부 트랜스 지방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Neanderthal
16/10/08 23:37
수정 아이콘
음...이제 에x스도 끊어야 되겠네요...--;;
16/10/08 23:48
수정 아이콘
마가린이 트랜스지방 덩어리 입니다.

길에서 파는 토스트 맛있지만 이젠 안녕..
Neanderthal
16/10/09 00:31
수정 아이콘
마가린 없는 토스트는 토스트라고 부를 수 없는 그 어떤 "물건"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점화한틱
16/10/09 07:11
수정 아이콘
마가린 말고 버터를 바르는 토스트는 어떠신가요? 개인적으로 버터취향인지라
똥먹이지마
16/10/09 01:14
수정 아이콘
양념 없는 그냥 돼지고기 소고기에도 트렌스지방이 있는 건가요?
돌돌이지요
16/10/09 08:54
수정 아이콘
트랜스지방은 마가린, 쇼트닝 같은 가공유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요,
천연의 상태에서는 그렇게 발견되지는 않습니다만 반복 조리된 지방에서는 많이 검출됩니다, 특히 튀김기름에 많습니다

신선한 돼지고기, 쇠고기라면 트랜스지방 걱정은 안하셔도 될 겁니다, 마가린, 쇼트닝을 곁들이거나 반복 사용한 기름에 튀기지 않는 이상은요
똥먹이지마
16/10/09 12:12
수정 아이콘
그냥 고깃집 가서 궈 먹거나
생고기 사서 집에서 궈 먹을 땐 상관없단 말씀이시죠? 고기 먹으러 가야지~~
아케르나르
16/10/09 10:13
수정 아이콘
튀김류에는 어느정도 있을거에요.
똥먹이지마
16/10/09 12:12
수정 아이콘
하.. 튀김은 넘 맛있는데..
아만자
16/10/09 14:49
수정 아이콘
최낙언님의 사이트에서는 http://www.seehint.com/hint.asp?no=10625 트랜스지방의 위험이 너무 과장돼 있다고 주장하시고 계십니다.

지금까지의 음식에 관한 제 결론은 '특정 음식에 치우치지 말고 골고루 적당량을 맛있게 먹는 것이 가장 좋다'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632 [일반] 동성애 - 따로, 또 같이. [15] 사악군6508 17/05/01 6508 5
71529 [일반] [음악] PC뮤직은 팝의 미래인가 및 앨범 추천 [6] paauer7746 17/04/22 7746 0
71512 [일반] 성적 지향인가 성적 취향인가. [159] 와인하우스15683 17/04/20 15683 9
71281 [일반] 세계 흥행 500위 내의 영화를 가장 많이 만든 영화감독 Top10 [25] 김치찌개9369 17/03/30 9369 1
70463 [일반] 퀴어 속의 퀴어. [30] 와인하우스9191 17/02/09 9191 17
70051 [일반] 반기문에게 기대합니다. [322] MirrorShield13124 17/01/17 13124 7
68743 [일반] 길가에 버려지다 part2가 공개되었습니다. [9] 紓優6139 16/11/18 6139 13
67877 [일반] 좋은 지방(fat)...나쁜 지방(fat)... [23] Neanderthal5700 16/10/08 5700 1
67097 [일반] 젠더? 미러링? [16] 소주꼬뿌5539 16/08/19 5539 2
66952 [일반] [해외축구] BBC 여름이적시장 가쉽. [26] V.serum5870 16/08/13 5870 2
66644 [일반] 메갈리아(+워마드)를 약자인 여성을 대변하기 위한 곳이라고 보는 분에게... [117] 릴리스14244 16/07/28 14244 35
66577 [일반] 당신이 아무렇지 않은 이유 [234] Jace Beleren20882 16/07/25 20882 137
66374 [일반] 도리를 찾아서 / 나우 유 씨 미 2 [25] Rorschach6628 16/07/16 6628 0
65702 [일반] 2016 퀴어퍼레이드 후기 [13] 王天君8442 16/06/12 8442 17
65407 [일반] 반기문이 밝힌 대북, 인권정책 방향 [122] 달과별11335 16/05/26 11335 1
65354 [일반] 반기문의 UN 사무총장직 업적 중간 정리 [27] 달과별10052 16/05/24 10052 7
65349 [일반] AVGN은 여혐종자? [40] vanilalmond10628 16/05/23 10628 19
65126 [일반] 트랜스젠더의 화장실 사용 권리에 대해서 미국에서 논쟁이 한참입니다. [109] OrBef12508 16/05/12 12508 0
64879 [일반] 시빌 워 역대 개봉일 관객 수 1위 [55] ZZeta7750 16/04/28 7750 1
64798 [일반] [영화 리뷰] 영화 관객글에 편승한 명량 리뷰 [43] 대치동박선생5116 16/04/24 5116 9
64714 [일반] 쉽지 않은 이슈: 합리적 잔혹, 존엄사 허용 [4] santacroce4943 16/04/19 4943 10
64478 [일반] 헐리웃 6대 배급사별 10억 달러 흥행 돌파 영화.TXT [23] 비타에듀7718 16/04/05 7718 1
63948 [일반] 역대 세계 영화 흥행 순위 TOP72 [21] 구밀복검8604 16/03/08 8604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