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6/12 22:19:00
Name 마스터충달
Subject [일반] 삶의 정수(quintessence)를 찾아서
※ 이 글은 영화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화 제목 드럽게 기네





  사실 나는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를 별로 기대하지 않았다. 제목부터 별로였다. 주연과 감독을 맡은 벤 스틸러도 기대감을 낮추는 데 한몫했다. 벤 스틸러는 <박물관이 살아있다>, <미트 페어런츠> 등 주로 코미디 영화의 주연을 맡았었다. 나는 <월터...>가 뻔한 애덤 샌들러 류의 영화라고 생각했다. 적당히 재밌고, 적당히 감동적인 영화라고 생각했다. 평단의 평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개봉 시기가 지나자 <월터...>는 내 관심 밖으로 조용히 밀려났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케이블을 통해 <월터...>를 볼 수 있었다. 최근에는 심심하면 나오는 듯 첫인상은 예상과 다르지 않았다. 예상과 다른 점이 있다면 노골적인 저질 개그가 없어 생각했던 것 보다 덜 재밌다는 정도였다. 편집은 전형적인 할리우드 방식이라 인상을 주지 못했다. 영상은 화려한 CG와 광활한 자연을 담았지만, 맥락과 이어지지 않아 따로 노는 느낌이었다. 이야기도 뻔했다. 미스터리와 어드벤쳐를 적절히 배합했으나 어느 쪽의 재미도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 상상 장면은 자잘한 웃음을 선사했지만, 대부분 중심 플롯과 이어지지 못했다. 마치 과제에 쫓기는 학생이 분량을 채우기 위해 억지로 이야기를 늘린 기분이었다. 갖가지 모험은 몽상보다 더 몽상적이었다. 의미는 없고, 그저 대리만족을 선사할 뿐이었다. 월터가 찾아 해매던 25번 사진이 월터의 어머니에게서 나왔을 때는 맥이 빠졌다. 뻔한 <파랑새> 클리셰였다. 게다가 사진의 행방은 찾아도 정체를 알려주진 않았다. "그럼 그렇지. 삶의 정수라는 게 그리 쉽게 표현할 수 있는 게 아니니깐." 나는 사진이 맥거핀이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더불어 <월터...>를 적당한 유머와 적당한 감동을 섞은 시시한 코미디 영화라고 생각했다. 마지막 장면을 보기 전까지는 말이다.






난 내가 스물이 되면
빛나는 태양과 같이
찬란하게 타오르는 줄 알았어.

  자우림의 가사처럼 난 내가 어른이 되면 원대한 무언가를 이룰 거라 생각했다. 과학자가 된다면 우주의 비밀을 풀고, 예술가가 된다면 불후의 명작을 남길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어린이의 망상은 나이가 들며 깎이게 마련이다. 중학생만 되어도 꿈과 망상을 구별하게 된다. 내가 고등학생이 되었을 때 "대부분의 물리학자는 17세가 되면 두각을 나타낸다."라는 말을 들었다. 난 내가 원대한 무언가를 이루지 못할 것이라고 직감했다. 아마 그때부터 <아마데우스>의 살리에리를 좋아했던 것 같다. 살리에리는 원대한 무언가를 이루진 못했지만, 원대한 무언가에 끝까지 부딪히는 오기를 가졌었다. 나는 그 오기를 동정하고 동경했다.


▲살리에리. 평범한 사람들의 챔피언.

  나도 살리에리처럼 운명에 저항하고 있다. 평범한 재능이라도 갈고닦아 무언가 보여주리라 다짐했다. 비록 이 꿈에 올인하진 않았지만, 그래도 나름 삶의 한 축을 걸었다. 그러나 꿈이 이뤄지리란 기대조차 하지 않는다. 이 꿈이 이뤄지는 건 일종의 요행이라고 생각한다. 운을 바라며 꾸준히 손에서 놓지 않을 뿐이다. 안타깝지만 이게 현실이다. 모두가 천재나 영웅이 될 수는 없는 법이다. 평범한 사람은 평범하게 살다가 평범하게 죽는다. 때로는 평범하게 사는 것조차 버거울 때도 있다. 나이가 들수록 꿈은 작아진다. 열심히 살아봤자 세상의 부속품이 머문다. 챗바퀴 같은 하루하루를 보내면 결국에는 죽음이 마중 나올 것이다. 원대한 무언가도 이루지 못하고 평범하게 살다가는 삶이란 얼마나 슬픈가. 이런 생각이 들 때면 삶이 시시하다고 느껴진다.


▲삶은 상상에 비하면 시시한 법이다.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는 시시한 영화가 아니었다. 마지막 장면을 보는 순간 나는 생각을 고칠 수밖에 없었다. 삶의 정수를 담고 있는 25번 사진의 정체는 월터였다. 월터가 일하는 모습을 찍은 사진이었다. 시시한 사람의 시시한 일상이었다. 하지만 Life의 정수를 담고 있었다. (중의적 표현이다. 삶 그리고 Life지) 나는 벤 스틸러에게 따귀를 맞은 것 같았다. "정신 차려."라는 소리가 들리는 듯했다. 삶은 나 따위가 시시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나는 아직 한참 어렸다. 나는 사진에 담긴 삶의 정수가 무어라고 콕 집어 말하지 못하겠다. 아직 나에게는 그만한 지혜가 없기 때문이리라. 그러나 25번 사진에 삶의 정수가 담겨있다는 점은 알 수 있었다. 그만큼 울림이 큰 사진이었다.


▲Life지 폐간호 커버를 장식한 25번 사진.

  사진을 보는 순간 큰 위로를 받은 기분이었다. 사진은 월터가 천재나 영웅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특별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월터가 아름답다고 말한다. 비록 우리의 삶은 평범하고 시시하지만, 그럼에도 삶은 아름다웠던 셈이다. 그 아름다움을 포착한 사진작가의 시선이 고마웠다. 예의상 하는 말이 아니라 진심을 담아 "수고하셨습니다."라고 말하고 있었다. 이 모든 것을 담고 있는 사진이 몹시 훈훈하게 다가왔다.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는 예술적으로 훌륭한 영화는 아니다. 아마 역대 최고의 영화 리스트를 꼽는다면 절대 순위에 들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사랑하는 사람에게 꼭 보여주고 싶은 영화를 꼽으라면 주저 없이 <월터..>를 추천하겠다. 나는 영화를 다시 보는 경우가 별로 없다. 그런데 <월터...>는 간간이 다시 본다. 삶이 시시하다고 느낄 때면 나는 월터를 찾는다. 훌륭하진 않지만, 분명 좋은 영화다. 고마운 영화다.






※ Walter Mitty는 사전에도 등록되었습니다. 몽상가, 자기를 대단한 영웅으로 꿈꾸는 소심자라는 뜻이라고 하네요.

※ 셰릴이 월터에게 "Space Oddity"를 불러주는 장면이 있습니다. 마지막 장면과 함께 최고의 명장면이었습니다.






Written by 충달 http://headbomb.tistory.com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6/12 22:28
수정 아이콘
극장에서 기대 안하고 예매했는데 재밌게 봤던 기억이 나네요. 노래와 경관이 참 좋았던 영화였습니다.
마스터충달
16/06/12 22:58
수정 아이콘
다시 볼때는 경관이 눈에 많이 들어오더라고요.
다혜헤헿
16/06/12 22:32
수정 아이콘
언젠가 봐야지 하면서 깜박하고 있던 영화네요.
이번 기회에 한 번 봐야겠습니다.
마스터충달
16/06/12 22:58
수정 아이콘
가볍게 봐도 볼만합니다.
16/06/12 22:34
수정 아이콘
살리에르 크크크크..

아주 좋아합니다.

아직도 그 대사는 잊을수가없네요.. 신은 왜 내게 욕망은 주고 재능은 주지않았느냐고..
마스터충달
16/06/12 22:37
수정 아이콘
요즘에는 욕망과 재능을 주어도 금수저를 안 주면 안 되는 분위기...
할러퀸
16/06/12 22:41
수정 아이콘
'좋은'영화란 훌륭한 영화 못지않은 감동과 가치가 있는것 같습니다. 저도 조만간 봐야겠네요. 잘 읽었습니다.
마스터충달
16/06/12 22:59
수정 아이콘
감동은 작품성과 반드시 비례하진 않더라고요. 가끔 그런 영화가 있어요. 모두가 망작이라 하는데 나한테는 훈훈했던 영화.
16/06/12 23:13
수정 아이콘
동생과 생각없이 보러갔다가 나올땐 둘다 자리에서 한참을 앉아있다 나온 영화네요..

비슷한 느낌을 얼마전에 꾸뻬씨의 행복여행 이라는 영화에서도 받았습니다.

음.. 좀 다를수도 있지만 한번쯤은 보셔도 나쁘지 않을 영화같았습니다.
유스티스
16/06/13 00:27
수정 아이콘
전여친이 너무 좋아했던 영화인데 문득 생각났네요. 좋은 영화였죠.
ComeAgain
16/06/13 09:58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영화 엄청 좋아해요! 잘 만든 영화, 완성도 있다 싶은 건 아닌데... 그냥 좋아요.
Space Oddity 음악이 특히 좋았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763 [일반] 최근 다인조 걸그룹 노래 멤버별 파트 시간 [35] 홍승식7699 16/06/15 7699 6
65762 [일반] tvN 10주년을 맞아 10월 시상식 개최 (+예상 후보작들) [45] 샤르미에티미7109 16/06/15 7109 1
65761 [일반] 시중 공기청정기 필터에서 가습기 살균제와 유사성분 검출 [14] 카멜리아 시넨시스6810 16/06/15 6810 1
65760 [일반] 오사카 니시나리의 사연 [16] 토다기10113 16/06/15 10113 1
65758 [일반] [야구] 이장석 히어로즈 구단주 20억 사기혐의 피소관련 시리즈기사 [16] 이홍기9547 16/06/15 9547 0
65757 [일반] 야경을 찍어봅시다. [38] 기네스북9039 16/06/15 9039 34
65756 [일반] 메이웨더, 파퀴아오, 골로프킨님들 감사합니다... [16] Neanderthal7265 16/06/15 7265 13
65755 [일반] EMS 트레이닝 한 썰 [43] 유유히21318 16/06/15 21318 2
65754 [일반] 천연두 바이러스 [6] 모모스201310557 16/06/15 10557 17
65752 [일반] 72에서 62까지, 10kg 감량 후기 [100] 별이돌이17726 16/06/15 17726 7
65750 [일반] 타인을 위해 배려한 적이 있습니까? [9] 마제스티4953 16/06/15 4953 1
65749 [일반] 여러분 인터넷에 글, 댓글 쓸때 반드시 조심하세요.jpg [52] 긍정_감사_겸손12436 16/06/15 12436 10
65748 [일반] 오늘 부산 상황이라네여.jpg [128] 삭제됨19385 16/06/15 19385 5
65747 [일반] 총공 문화로 보는 I.O.I 팬덤의 다이아 지원 여부 [98] 견랑9996 16/06/14 9996 3
65746 [일반] 대한민국 병사 월급보다 낮은 월급을 받는 사람들 [96] 토다기11657 16/06/14 11657 0
65745 [일반] [야구] 1~3위 팀 오늘 대박이네요. [101] 흐흐흐흐흐흐9347 16/06/14 9347 0
65744 [일반] 서울 공원·놀이터서 술마시면 '과태료 10만원' 물린다 [41] 아리마스8628 16/06/14 8628 1
65743 [일반] 정글북 보고 왔습니다~ [17] 빙봉3829 16/06/14 3829 1
65740 [일반] <닌자터틀 : 어둠의 히어로> - 거북이가 캐리하는 영화(노스포) [31] aSlLeR5760 16/06/14 5760 1
65739 [일반] 은하수를 찍어봅시다. [85] 기네스북10850 16/06/14 10850 62
65738 [일반] 손흥민 선수가 패션 브랜드를 런칭했습니다 [86] 아리아14200 16/06/14 14200 2
65737 [일반] 다이아 멜론 진입순위.jpg [142] 삭제됨10099 16/06/14 10099 0
65735 [일반] 대학 때 만난 탈북 여학생 이야기 [23] 삭제됨8317 16/06/14 8317 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