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4/28 00:14:51
Name ZZeta
File #1 201604270849114607212_20160427085210_01_99_20160427085305.jpg (135.5 KB), Download : 58
Subject [일반] 시빌 워 역대 개봉일 관객 수 1위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main/main.do

716,985명(스크린수 1,863 / 상영횟수 9,045) 2016.04.27(수)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682,701명(스크린수 1,159 / 상영횟수 6,147) 2014.07.30(수) 명량

622,165명(스크린수 1,731 / 상영횟수 8,844) 2015.04.23(목)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551,841명(스크린수 1,250 / 상영횟수 6,252) 2014.07.23(수) 군도: 민란의 시대

544,995명(스크린수 1,245 / 상영횟수 6,059) 2011.06.29(수) 트랜스포머 3

526,693명(스크린수 1,268 / 상영횟수 6,782) 2016.02.03(수) 검사외전


경쟁작들이 모두 피해도망가게 만들었던 캡틴아메리카 : 시빌워가 95%에 가까운 예매율을 보이며

개봉일 관객 수 1위 기록을 세웠습니다.

워낙 경쟁작이 없는 상황에 영화의 평도 좋아서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대단하네요.

그 와중에 명량의 저 관객수 기록도 충격과 공포...

저 순위권의 영화중 군도만 5백만을 못 넘겼고 나머지는 모두 넘겼는데 어디까지 갈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티치
16/04/28 00:19
수정 아이콘
500만까진 충분히 넘길 것 같으나 신나게 싸우고 부수고 즐기고 맛보는(?) 장르는 아닌지라 1000만까진 어렵지 않나라고 봅니다.
프로아갤러
16/04/28 00:22
수정 아이콘
"야 그거 봤냐? 아직도 안봤어?" 때문에 천만 언저리 예상해봅니다
16/04/28 00:24
수정 아이콘
이 시리즈가 그렇게나 재밌나요? 아이언맨1 밖에 안 본 저로써는 신기하네요.
코코몽
16/04/28 00:27
수정 아이콘
좀 편차가 큽니다. 잘만든건 매우 잘만들어서 현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생태를 바꿔버렸고 못만든 시리즈는 그냥 영화 한편이 떡밥으로 낭비되는 경향이 있죠.
16/04/28 00:55
수정 아이콘
시리즈를 보려면 순서를 지켜야 한다거나 배경지식 같은 게 있어야 되나요? 스토리나 캐릭터를 아예 몰라서 선뜻 보기가 두렵네요.
코코몽
16/04/28 00:59
수정 아이콘
음 굳이 보신다면 아이언맨 시리즈, 캡틴 아메리카 시리즈, 어벤져스 시리즈 이렇게만 찾아보셔도 됩니다. + 로 순수 영화를 즐기실꺼면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까지 포함해서요. 나머지는 그다지 작품성도 높지않고 떡밥 영화입니다.
16/04/28 01:2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콰트로치즈와퍼
16/04/28 01:15
수정 아이콘
세계관 내의 시간 흐름대로 보는 방법이 있기는 한데, 이거는 덕후용에 가깝고 사실 마블영화덕후나 일반인이나 그냥 개봉순서대로 보는게 제일 낫습니다.
16/04/28 01:2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콰트로치즈와퍼
16/04/28 00:41
수정 아이콘
아이언맨1 가오갤 앤트맨 어벤저스1 캡아윈터솔져는 평가가 좋고, 나머지는 그냥 평작, 아이언맨2 토르1은 평가가 많이 별롭니다. 히어로물 좋아하면 대체적으로 무난하게 볼만합니다.
코코몽
16/04/28 00:51
수정 아이콘
토르2도 매우 별로였죠. 개인적인 식견으론 에오울 역시 아이언맨2, 토르 버금가게 별로였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어벤져스1은 앞으로 몇십년안에 현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생태로 바꿔버린 대작으로 기억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콰트로치즈와퍼
16/04/28 01:08
수정 아이콘
저는 윈솔>가오갤>앤트맨>어벤저스1=퍼벤저=아이언맨3≥아이언맨1>넷플릭스 드라마>헐크>에오울=에이전트 카터>다크월드>아이언맨2=토르1>에오쉴 이었습니다.

퍼벤저가 저렇게 높은건 순전히 캡틴 빠심이고(...) 저는 유독 아이언맨한테 매력을 못느끼겠어서 아이언맨1도 평범하게 느껴지더라구요. 에오쉴은 일단 보던거라 계속 보고있긴 한데 예산이 없어서 그런지 엄청나게 허접한...

토르는 1,2 둘다 세간의 평이 별로였었는데... 어벤저스3은 우주최강악당 잡으러 가는 이야기라 토르3은 매~우 중요한 이야기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부디 영화가 잘 뽑혔으면 좋겠네요.
릴리스
16/04/28 01:10
수정 아이콘
전 가오갤 > 아이언맨1 > 어벤저스1 > 윈터솔저 > 시빌워 > 앤트맨 > 퍼스트 어벤저 정도 순으로 봅니다.
코코몽
16/04/28 01:17
수정 아이콘
전 어벤져스(하나의 혁명이었으므로)>시빌워>>아이언맨1>가오갤>>>>윈터솔져 정도로 봤습니다. 개인적으로 윈터솔져는 깊이가 있다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아서 말이죠. 마이너리티 리포트의 열화판같은 메시지를 가졌다고 해야할까요. 우리나라나 해외 유튜브 평론가들은 극찬을 하더군요. 개인적으로 고평가 된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16/04/28 00:26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니깐 명량은 스크린 수가 시빌워에 비하면 훨씬 적네요?!?!..
바꿔말하면 회차당 본 사람은 명량이 가장 압도적이였다는것도 되는..
코코몽
16/04/28 00:27
수정 아이콘
다른점은 그때보다 영화관이 많이 늘었고 당시엔 군도, 가오갤같은 경쟁작이 있었죠. 뭐 다 뺏어가긴 했지만
카바라스
16/04/28 00:29
수정 아이콘
나중에 1500개 넘기긴합니다. 그래도 시빌워가 더 많지만..
코코몽
16/04/28 00:33
수정 아이콘
어쨋든 이놈의 한국 영화관은 뭔놈의 스크린 몰아주기를 이렇게 해대는지. 시빌워가 아무리 영화를 잘뽑았어도 이런 모습으로 흥행하는 모습은 저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네요. 어짜피 2천개 안몰아줘도 흥행할 영화인데 관객들에게 선택할 자유를 줘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고마아주라
16/04/28 00:52
수정 아이콘
몰아주기를 안하고 싶어도 볼만한 영화가 없어요.. 4월달내내 좋은 영화 씨가 말랐네요.
16/04/28 02:20
수정 아이콘
볼 영화가 너무 없습니다. 오죽하면 주토피아가 예매율2위 하겠어요
맥아담스
16/04/28 04:40
수정 아이콘
의견에는 동의하지만 다른 영화들이 일부러 시빌워 피해갔다네요.
일체유심조
16/04/28 08:26
수정 아이콘
명랑이 몰아주기 논란이 있지만 개봉첫날과 첫주만 놓고 보면 딱히 그렇지 않죠.
저 같은 경우 일부러 몰아줬다기 보다는 당시 광적으로 인기가 많다 보니 스크린수가 늘었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16/04/28 08:45
수정 아이콘
명량은 방학때였죠... 시빌워는 스크린은 많아도 아직 오전 오후 영화관은 꽉 못채울수도..
16/04/28 00:32
수정 아이콘
이 와중에 배트맨 대 슈퍼맨은 상영종료되었습니다.

최종관객수 2,256,712명

시빌워가 이번주내에 넘길 듯 하네요.
16/04/28 00:35
수정 아이콘
요즘 시빌워 말고 볼게 정말 없던데... 시빌워 때문에 다들 피해가는 분위기 같아요
명량때는 해적도 800만 가까이 찍지 않았나요? 지금은 그럴만한게 없어보입니다.
주토피아야 이제 볼사람은 다 봤고..
위원장
16/04/28 00:39
수정 아이콘
안땡기더라구요. 어벤저스 2도 실망했던터라 전 안볼듯.
호롤롤롤롤
16/04/28 00:42
수정 아이콘
그보다는 잘만들었더군요...
코코몽
16/04/28 00:44
수정 아이콘
매우 잘만들었습니다. 뭐 보든 안보든은 개인의 선택이지만요
16/04/28 02:19
수정 아이콘
어벤2보더 훨씬재미있습니다. 마블영화중 어벤져스-윈터솔저 다음으로 괜찮았습니다.
16/04/28 08:26
수정 아이콘
어벤2랑은 비교가 안됩니다.
이보다 더 잘 만들기 힘든 수준입니다.
이거보고도 재미를 못 느끼시면 정말 이쪽과 안 맞으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비교 대상이 어벤1이나 캡아:윈솔이 아니다보니 주제넘게 강추드립니다.
위원장
16/04/28 09:27
수정 아이콘
이정도 반응이면 봐야겠는데요 덜덜
16/04/28 09:50
수정 아이콘
급 설득 당하심 크크크크크크크크
Thanatos.OIOF7I
16/04/28 12:29
수정 아이콘
급수긍에 저도 빵터졌네요 크크크크
16/04/28 00:39
수정 아이콘
그저그랬어요
릴리스
16/04/28 00:41
수정 아이콘
와... 기록을 세웠군요... 1000만까진 가볍게 가능할듯... 1200만 가냐 못가냐가 문제일뿐..
16/04/28 00:43
수정 아이콘
어제가 문화의 날이라 5000원으로 영화볼 수 있다고 꽊곽 차더군요. 가격인상이 예정되어 있기때문에 더 그런듯 해요.
고마아주라
16/04/28 00:54
수정 아이콘
영화가 잘 뽑혀서 입소문 타고 1000만은 거뜬히 넘길거 같습니다.
세계평화
16/04/28 00:59
수정 아이콘
4월중에 개봉한 영화중에 이렇다 할 경쟁작이 아예 전무 하고(그래서 4월에 극장 텅텅비었습니다)
하필 개봉날이 문화의날 행사로 오후5시~9시까지 5000원에 관람가능이라서 많이들 들어온듯하네요
Leeroy_Jenkins
16/04/28 01:03
수정 아이콘
오전 반차쓰고 조조로 봤는데, 평일 조조임에도 불구하고 반이상이 차더군요.
문화의 날 버프도 있었겠지만 다음주까지 앞좌석과 사이드석을 뺀 볼만한 자리는 시간대 불문하고 모조리 예매되어있는걸 보아하니 천만은 당연히 찍을듯 싶고... 얼마까지 갈지 궁금하네요.
탐나는도다
16/04/28 01:07
수정 아이콘
오늘 저도 보긴 했는데 10시 타임에 거의 250석 규모 관이 꽉찼습니다 흥행은 확실할듯하네요
Be[Esin]
16/04/28 01:08
수정 아이콘
1100만 전후가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해봅니다.
5.5일부터 일요일까지 7백만은
넘길것 같은데 그뒤로 힘 빠지고
천만넘기고 힘 빠지지 않을까 싶네요.

개인적으로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보실분들은 캡아2는 꼭 보시고 가시길..
도깽이
16/04/28 01:14
수정 아이콘
제가 영화 거이 안봐서 그런데 2d니 3d니 아이맥스니 하는게 많이 다른가요?????
콰트로치즈와퍼
16/04/28 01:30
수정 아이콘
아이맥스라는게 사실 고화질 고음질이고, 비율이 달라서 아이맥스 영상이 일반관 영상보다 위아래가 더 크게(=일반관에서는 짤려나오는 부분이) 나옵니다.

좀 좋은 관이면 충분히 가치가 있는 것 같습니다. 구린 아이맥스 관에서 볼 바엔 그냥 영등포 스타리움을 가던지 일반관 가고 남는돈으로 과자 사먹던지 하는게 나은 것 같아요.
한가인
16/04/28 01:33
수정 아이콘
2d가 일반 티비 화질을 보는거라면 imax는 디지털 티비를 보는 느낌입니다.
동네꼬마
16/04/28 01:17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인 생각보다는 덜 들었네요, 10시쯤 스코어 보고 오늘 하루 100만도 어쩌면 가능하겠다고 생각했는데..
스크린수가 엄청 많은게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어떻게보면 열어줘도 안보는 영화를
보느니 극장에서는 어쩔수없는 선택인거죠.. 명량 해적때는 각 배급사가 붙어서 비벼볼만했고, 이번에는 아닌것 같다는 판단때문이지 않을까요? 5월 초반 개봉을 예정했던 작품들도 개봉일을 변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도 아마 다음주는 어린이날이 끼어있기때문에 스크린이 생각보다는 많이 떨어질것같습니다 애니메이션도 다수 있고 홍길동도 있는지라.. 최종 관객수가 궁금하네요, 영화는 방금 보고나왔는데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네요
어린시절로망임창정용
16/04/28 01:36
수정 아이콘
보고 왔는데 천만은 확정입니다.
한가인
16/04/28 01:42
수정 아이콘
명량이 나올때만 해도 해적이나 군도 등등 경쟁작들이 있었고 관객의 선택지가 넓었음에도 역대급 스코어를 기록 했는데.. 이번 캡틴 아메리카는 경쟁작 자체도 없고 스크린 자체도 초반에 다수 확보해서 천만은 우숩게 넘길거 같습니다. 과연 얼마까지 올라갈수 있는까만 남은거 같네요.
키타무라 코우
16/04/28 01:43
수정 아이콘
개봉일이 컬쳐데이 였던점도...
16/04/28 01:51
수정 아이콘
저녁에 보고 왔습니다. 오렌지 오역 얘기가 있던데 자막이 맞게 번역한 거더군요.
orange license가 아니고 orange slices입니다. 격렬한 운동(?) 후 당 떨어져서 단거를 찾는 소리였어요.
16/04/28 06:59
수정 아이콘
어벤져스2보다 훨씬재밌게봤고 경쟁작없고 5월 가정의달 천만확정이라봅니다
고스트
16/04/28 07:52
수정 아이콘
작품의 메인전투신이 나오기 이전의 전반부가 약간 지루했습니다. 그 이후는 좋더군요.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6/04/28 08:13
수정 아이콘
지난 어떤 글에선가 명량 스크린 독점으로 올린 기록이라 싫다고 시빌워가 흥행기록을 갈아치우면 좋겠다던 내용이 있었는데.. 스크린 독점은 마블류가 갑이었네요. 후덜덜;;;;
추억이란단어
16/04/28 09:12
수정 아이콘
마블영화.독점현상.
정말 토나오네요..
my immortal
16/04/28 09:21
수정 아이콘
영화 평도 나쁘지 않던데 이 정도면 천만 확정이죠.
16/04/28 10:16
수정 아이콘
오늘 부터 이번주말 까지 관객수치가 명량급을 계속 유지하면 1500만 까지 가능하다고 보는데 그렇치 못한다면 900~1100만 사이가 될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632 [일반] 동성애 - 따로, 또 같이. [15] 사악군6508 17/05/01 6508 5
71529 [일반] [음악] PC뮤직은 팝의 미래인가 및 앨범 추천 [6] paauer7746 17/04/22 7746 0
71512 [일반] 성적 지향인가 성적 취향인가. [159] 와인하우스15684 17/04/20 15684 9
71281 [일반] 세계 흥행 500위 내의 영화를 가장 많이 만든 영화감독 Top10 [25] 김치찌개9369 17/03/30 9369 1
70463 [일반] 퀴어 속의 퀴어. [30] 와인하우스9191 17/02/09 9191 17
70051 [일반] 반기문에게 기대합니다. [322] MirrorShield13124 17/01/17 13124 7
68743 [일반] 길가에 버려지다 part2가 공개되었습니다. [9] 紓優6139 16/11/18 6139 13
67877 [일반] 좋은 지방(fat)...나쁜 지방(fat)... [23] Neanderthal5700 16/10/08 5700 1
67097 [일반] 젠더? 미러링? [16] 소주꼬뿌5539 16/08/19 5539 2
66952 [일반] [해외축구] BBC 여름이적시장 가쉽. [26] V.serum5870 16/08/13 5870 2
66644 [일반] 메갈리아(+워마드)를 약자인 여성을 대변하기 위한 곳이라고 보는 분에게... [117] 릴리스14244 16/07/28 14244 35
66577 [일반] 당신이 아무렇지 않은 이유 [234] Jace Beleren20883 16/07/25 20883 137
66374 [일반] 도리를 찾아서 / 나우 유 씨 미 2 [25] Rorschach6629 16/07/16 6629 0
65702 [일반] 2016 퀴어퍼레이드 후기 [13] 王天君8443 16/06/12 8443 17
65407 [일반] 반기문이 밝힌 대북, 인권정책 방향 [122] 달과별11335 16/05/26 11335 1
65354 [일반] 반기문의 UN 사무총장직 업적 중간 정리 [27] 달과별10052 16/05/24 10052 7
65349 [일반] AVGN은 여혐종자? [40] vanilalmond10629 16/05/23 10629 19
65126 [일반] 트랜스젠더의 화장실 사용 권리에 대해서 미국에서 논쟁이 한참입니다. [109] OrBef12508 16/05/12 12508 0
64879 [일반] 시빌 워 역대 개봉일 관객 수 1위 [55] ZZeta7751 16/04/28 7751 1
64798 [일반] [영화 리뷰] 영화 관객글에 편승한 명량 리뷰 [43] 대치동박선생5117 16/04/24 5117 9
64714 [일반] 쉽지 않은 이슈: 합리적 잔혹, 존엄사 허용 [4] santacroce4944 16/04/19 4944 10
64478 [일반] 헐리웃 6대 배급사별 10억 달러 흥행 돌파 영화.TXT [23] 비타에듀7718 16/04/05 7718 1
63948 [일반] 역대 세계 영화 흥행 순위 TOP72 [21] 구밀복검8604 16/03/08 8604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