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4/20 12:06:40
Name 선비욜롱
Subject [일반] "1차대전때 프랑스군은 엘랑 비탈에 심취해 후티어 전술같은 걸 개발하지 못했지!"
["(중략) 포병에 대한 부록만큼 보병 전술을 다룬 부록 또한 중요하다. 보병 전술을 다룬 부록은 보병 돌격의 목표가 적군의 1차 참호선의 탈취뿐만 아니라 후방의 목표를 공략해야 한다고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주목적-적방어선의 돌파-을 달성시킬 수 있는 요충지를 장악한다.” 따라서 이 문서의 본문은 ‘무한 전투’(continuous battle)를 강조하고, 포병을 다루는 부록에서는 ‘체계적인 전투’(methodical)를 중시한다. 그리고 보병을 다루는 부록에서는 다시 돌파를 중심으로 한 무한 전투를 강조한다. 이 부록의 설명에 따르면, 보병은 마치 척후병처럼 산개형 대형(dispersed formation)을 유지하면서 여러 엄폐물에 몸을 숨기며 적군을 향해 다가가야 한다. 이는 전전(戰前-pre-war)의 이론과 맥락이 닿는다.

Equally important to the artillery annex is the annex on infantry tactics. This annex immediately claims that an infantry attack should not aim at merely capturing the first line of enemy trenches, but should try to push on to distant objectives beyond the enemy front line: ‘the possession of which will affirm that the primary goal – the breakthrough of the enemy line – has been attained’. Thus, again the document oscillated from a ‘continuous battle’ as recommended in the note proper to a slower, more methodical battle espoused by the artillery annex before finally returning to the idea of the continuous breakthrough battle in the infantry tactics annex. The annex goes on to explain that infantry should progress in dispersed formation acting as skirmishers, moving from cover to cover, while advancing against the enemy, an idea that was largely in line with pre-war thinking.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nettoyeurs de tranchée, 혹은 ‘참호 청소병’(trench clearers)에 대한 언급이다: 이 참호 청소병들은 정립된 교리 내에서 수 차례 반복되는 첨투전술에 대한 서술 중 최초로 등장하는 사례로서, 특별훈련과 장비를 지급받은 병사들이다. 부록에 의하면, 1차로 파견된 보병들은 적 방위거점을 피해 최대한 깊숙이 돌파해야 한다. 또한 2차로 파견된 참호 청소병들은 앞서 강습 부대(assault troop-앞서 언급된 1차로 파견된 보병)가 회피한 적 방위거점을 제거해야 한다. 이 참호 청소병들은 리볼버(revolver-회전식 연발 권총), 참호검(trench knives), 수류탄이 지급되어 근접전을 대비하고 이를 위한 특별훈련을 받는다. 그리고 이들을 지원하는 공병들은 평소의 장비와 별개로 기관총, 폭발물(petard), 가시철사(barbed wires), 모래 주머니, 박격포(trench mortar)를 지급받는다. 침투 전술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공세작전을 기획하면서 가장 필수적인 전술로 사용된다. 이는 ‘후티어’ 전술로도 불리며, 독일군의 발명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Perhaps the most interesting part of this section deals with what are called nettoyeurs de tranchée or ‘trench clearers’: specially trained and equipped soldiers who represent the earliest iteration of infiltration tactics in established doctrine. The annex states that the first waves of infantry should avoid enemy strongpoints and penetrate as far as they can. Meanwhile, secondary waves made up of nettoyeurs would clear the strong-points bypassed by the assault troops. The nettoyeurs were specially provisioned with revolvers, trench knives and grenades to equip them for close-range trench fighting, and received special training in this department. They were assisted by engineers who carried their normal tools plus machine guns, petards (explosives), barbed wire, sandbags and trench mortars. Ultimately, infiltration tactics – sometimes called ‘Hutier’ tactics and typically considered to be of German provenance – would become an integral part of offensive operations in the First World War."
-『Early Trench Tactics in the French Army: The Second Battle of Artois, May-June 1915』by. Jonathan Krause pg. 31-32]


여기서 말하는 문서는 1915년 중부에 출간된 "총공세를 위한 목표와 조건"(But et conditions d'une action offensive d'ensemble-Goals and Conditions for a General Offensive Action) 혹은 노트 5779입니다. 1914년말과 1915년초에 프랑스군이참호전과 화력전을 치루면서 쌓은 경험을 집대성한 결과물로 참호전을 휘어잡는 과정에서 출간된 첫번째 걸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본문에서 언급했듯이 이 문서는 후일 독일군의 발명물로 취급받는 침투 전술(혹은 '후티어' 전술)을 사실상 최초로 다룬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프랑스군은 서부전선에서 공세를 담당하며 1916년의 베르됭 전투까지 방어에 일관한 독일군보다 더욱 공세전술을 발전할 기회가 많았고 그로인해 궁극의 공세 전술인 침투 전술을 개발해내는 것도 어색한 일이 아니라는게 조나단 크라우스(Jonathan Krause) 교수의 설명입니다.

[사실 1차 세계대전에서 기관총 앞으로 자살에 가까운 돌격을 시키지 않은 나라는 없다시피하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이에 따른 엄청난 인명피해에 놀라서 공세를 중단하거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머리를 짜내곤 했다. (전차, 대규모 폭약 매설, 후티어 전술 등등) 그러나 프랑스군은 '엘랑 비탈' 교리에 충실하게도, 그런 상황에 굴복하지 않으려고 했다.
-『나무위키』 「프랑스군」 항목]

아, 네. 그런가봅니다.

p.s. 어려운 본문의 번역에 힘을 보태준 사실상 새로 번역해준 서울대와 카이스트의 교환학생 친구들에게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보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쑥호랑이
16/04/20 14:00
수정 아이콘
궁하면 나오는게 만고의 진리 맞네오
그게 그 뒤에도 이어지거나 잘 쓰이는가가 운수 소관이지...
좋은 글 잘 읽고갑니다
간디가
16/04/20 14:37
수정 아이콘
크크 20분뒤에 세계대전 시험보는데 이런 내용이 있는 줄은 몰랐네요.프린트에서는 힌덴부루그 계획이 한계에 부딪히자 나왔다고 했는데 그 이전부터 여러가지로 실험하고 있었나 보네요.잘 읽고 갑니다.
칼라미티
16/04/20 15:15
수정 아이콘
세계대전 시험이라니 참 부럽네요...저는 그런 과목 아무리 찾아도 없던데 ㅠㅠ
간디가
16/04/20 15:56
수정 아이콘
크크 빈칸시험이여서 내용은 단순 암기입니다.대신 교수님이 전쟁 덕덕이여서 재밌는 얘기가 자주 나옵니다.말하는 것도 홍진호 스타일여서 재미 2배에요.
근데 독일 입헌 혁명을 바이마르 입헌 혁명이라고 써서 쫄리네요.교수님 자비 좀....ㅠㅜ
칼라미티
16/04/20 16:05
수정 아이콘
전 역사학 복전한 후 전쟁사 수업 없나 열심히 뒤져봤는데 하나도 없더라구요...
전년까지 태평양전쟁 강의했던 분은 계셨는데 과에서 하지말라 그랬는지 커리큘럼을 바꾸셔서 하필 저때부터 사라짐 흑흑

교수님의 자비 기대합니다 크크
선비욜롱
16/04/20 16:08
수정 아이콘
전 1차 세계대전 관련 수업이 딱 하나 있어서 참 듣고 싶은데 아쉽게도 전쟁사적인 측면은 다루지 않는다고 하네요...
이치죠 호타루
16/04/20 15:36
수정 아이콘
이거 어째 기계화 제파전술 혹은 종심 전투 비스무리한 게 떠오르네요. 취약한 일점을 깊숙히 돌파하고 신속하게 병력을 전개해 전과확대를 노리는 거... 이거 소련의 투하체프스키가 이야기했던 종심 전투 아니었나요? (책이 좀 오래 된 거긴 합니다...;) 그렇다면 훗날 종심 전투니 기계화 제파전술이니 낫질 작전이니 하는 것들의 모티브가 바로 후티어 전술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1차 대전 당시에는 프랑스군도 이러한 전술을 충분히 개발 및 활용할 능력이 충분했다는 이야기가 되구요. 그렇다면, 1) 왜 프랑스의 이러한 전술적인 움직임을 개발할 능력은 전혀 부각되지 못하고 오히려 닥치고 개돌이라는 이미지가 심어졌는가와, 2) 대체 2차대전이 발발할 때까지 프랑스는 뭘 하고 있었느냐는 의문이 드는군요.

그리고 이게 좀 헷갈리는데, 여기서는 후방의 목표를 완전히 장악하기 위한 부차적인 단계로 2단계에 투입된 보병들이 적 참호의 병력을 섬멸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디까지나 목표는 적 병력의 섬멸이 아닌 적의 후방을 탈취하는 것이라고 해석되는데 이게 맞는지 모르겠군요.
선비욜롱
16/04/20 16:06
수정 아이콘
뭐, 후티어 전술 등 침투 전술을 개발할 당시에는 프랑스군은 여전히 "돌파"라는 구시대의 개념이 아직 가능한지 긴가민가한 상태였습니다. 페르디낭 포슈, 필리프 페탱, 에밀 파욜 등의 지휘관들은 "체계적인 공세", 즉 포격으로 확실히 짖밟고 보병은 잔해처리및 깃발꽂이역으로 활용하는 그러한 방식의 공세로 기울었지만 빅토르 위르발같은 지휘관은 여전히 돌파가 가능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끝없는 인력을 목표를 향해 공격하는 "무한 전투"를 선호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본문에서 언급하는 노트 5779는 프랑스군의 참호전에 대한 해답이 아닌 과도기를 넘어가는 순간의 이정표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질문에 답하자면:
1. 그건 그냥 사람들이 프랑스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아니면 호시탐탐 까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프랑스군의 공세정신은 오인된 측면이 많고 포슈의 최대 비판자이자 프랑스군의 공세정신에 대해 여러 서술을 보인 리델 하트조차도 주장하지 않은 것들이 나무위키 "엘랑 비탈" 항목에 실려있는 바입니다. 프랑스군은 1915년의 과도기를 거쳐서 1916년에 이르면 상당한 전술능력을 갖춘 덕분에 영국군이 공세 첫날에 5만의 사상자를 낼때 프랑스는 겨우 1000명 정도의 사상자를 내고 훨씬 더 많은 영토를 얻는 대성과를 얻었습니다. 이러한 점을 부각하지 않고 그간 나무위키나 다른 사이트의 1차대전의 프랑스군에 대한 항목은 전초의 군복이나 초반의 공세로 인한 피해를 비웃기 바쁘고 1차대전을 승리했다는 점 또한 2차대전의 패배나 입은 피해로 인해 무마하고 조롱으로 일관하기 바빴죠. 나폴레옹 이후 프랑스 최고의 명장이라 할 수 있는 페르디낭 포슈 조차도 제대로 무슨 역할을 했는지 알려지지 않은 채로 프랑스의 츠지 마사노부인양 까인 것은 이러한 풍조의 일환이라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2. 1차대전과 2차대전 사이의 프랑스군의 전술/전략의 발전은 상당히 복잡한 분야지만 로버트 다우티 교수의 "The Pyrrhic Victory"나 "The Seeds of Disaster"을 참고하는게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조금 더 첨언하지면, 프랑스군이 1918년에 개발해낸 해답은 결국에는 돌파라는 개념을 버려서 이뤄낸 것입니다. 포격으로 적진을 박살내고, 포병의 사거리까지 보병을 진격시키고, 포병 또한 앞으로 들이밀고, 다시 포격으로 적진을 격파한다는 것을 전술적인 국면에서 반복했습니다. 전략적인 국면의 경우에는 한 전장에 집중하는 개념을 버리고 여러 전선을 서로 다른 타이밍에 공격해서 적을 조금씩 조금씩 밀어내되 주도권을 완전히 장악해서 독일군이 방어점을 찾지 못하고 계속 묻매를 맞도록 강요했습니다. 결국에는 2차 마른 전투에서부터 거의 120일간 제대로된 반격을 못하고 완전히 완패하며 벨기에와 프랑스에 장악한 영토를 죄다 토해낸 다음에 11월 11일에 사실상 항복하는 결과를 냅니다. 이는 "The Pyrrhic Victory"에서 다루는 1918년의 성과이며 1939년에 프랑스군에게 뭔일이 일어났기에 그리 사단이 일어났는지는 "The Seeds of Disaster"의 몴이지만 개인적으로 읽어보지 못한 탓에 제대로 답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이치죠 호타루
16/04/20 17:39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1918년의 성과는 점 계획이 아닌 선을 차츰차츰 밀어내는 방식으로 이뤄낸 성과라는 것이군요. 문자 그대로 화력전 및 소모전이구요. 주공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으니 독일군도 꼼짝없이 전 전선에서 대응하면서 얻어맞을 거 다 얻어맞고 물러났어야 했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이런 작전이 먹히려면 결국 인력과 물자적으로 엄청나게 우세해야 말이 되겠네요. 하긴 미군도 몰려오는 판이었으니 먹힐 만도 했고...
선비욜롱
16/04/21 00:32
수정 아이콘
음 제 설명이 좀 비루해서 그렇지 1918년의 교전은 4년만에 부활한 기동전이라는 측면이 부각되긴 합니다. 허나 말씀하신대로 화력전 및 소모전으로 말그대로 독일군의 마지막 전력을 빨아먹어서 군 자체의 붕괴를 이끄는데 주력했지 우월한 기동력으로 적군을 돌파하고 유린하는 방식 (가령 1940년의 프랑스 침공이라던가)을 선보이지 않았습니다.

사실상 그 시점에서 영불 모두 허덕이던 시점에 미군은 애송이에 불과한다는 점에서 1918년에 연합군이 보인 분투는 놀라운 수준이고 그만큼 독일군 또한 그간의 피해가 심각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춘계공세로 인해 전력저하가 더욱 심해지고 공세한계점을 도달한 상태에서 2차 마른 전투라는 완전히 허가 찔린 역습을 맞이하고 2차로 아미엥 공세에서 얻어터진데다가 모든 전선에서 두들겨맞으니 버틸 제간이 없었던 것이죠.

가끔 1차대전을 서술하면서 이긴 사람은 없고 더 잘버틴 사람만 있다는 식으로 서술하는데 솔직히 분통이 터집니다. 확실히 독일에 대한 군사적 승리를 120일간 거둬서 11월 11일의 종전을 이룬 것인데 말이죠. 결국 단순히 버텨서 승리가 가능했다면 2차 마른 전투에서 전쟁이 끝났겠죠.
세종머앟괴꺼솟
16/04/20 17:30
수정 아이콘
재밌네요 크 1차대전 쪽은 이 정도 수준의 글을 보는 게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서 반갑네요.
선비욜롱
16/04/21 00:3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 1차대전은 확실히 요즘 재미있는 논문과 책이 많이 나와있는데 대부분이 미번역이라 아쉽습니다.

근데 이거 번역하면서 들인 노력을 고려하면 왜 안하는지 백번 이해되더군요; 돈도 안되고 인지도도 낮은데 난이도마저 어려우니;
16/04/20 20:43
수정 아이콘
밀덕계에 만연해 있는게 일단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까고 보는게 대세라서...
오랜 시간동안 봐왔지만 다른 관점에서 보려는 시도는 찾기 힘들고 그저 일본발 비웃음밖엔 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000 비밀글입니다 Jace T MndSclptr3884 16/05/05 3884 23
64999 [일반] [KBO] 어제 손주인 선수의 플레이 [128] 웅즈14066 16/05/05 14066 0
64998 [일반] [I.O.I] 곡 반응은 굉장히 안좋네요. [57] naruto05111232 16/05/05 11232 1
64997 [일반] 나경원 의원 딸과 면접 본 수험생, "당시 실기시험 분명 있었다" [46] 어강됴리13880 16/05/05 13880 17
64996 [일반] '굶주린 자가 음식을 훔친 건 죄 아냐', 이태리 법원 역사적인 판결을 내리다 [50] 가장자리11421 16/05/04 11421 14
64995 [일반] 민방위, 너 그리워 질지도 모르겠구나. [43] 착한 외계인6541 16/05/04 6541 5
64994 [일반] [5.4]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박병호 시즌 7호 솔로 홈런) [12] 삭제됨4351 16/05/04 4351 1
64992 [일반] 한국판 탈리도마이드, 가습기 살균제사건은 어떻게 발견되었는가? [56] 토니토니쵸파12783 16/05/04 12783 63
64991 [일반] 더민주, 새 원내대표로 우상호 의원 선출 [50] ㈜스틸야드10355 16/05/04 10355 0
64990 [일반] 1차 세계대전의 책임론, 누가 더 잘못했나? [24] aurelius7458 16/05/04 7458 1
64989 [일반] 코카인과 코카콜라 [14] 모모스201314458 16/05/04 14458 12
64988 [일반] 선거 한참후에 뒷북치며 보는 역대 출구조사 결과발표 영상 [19] 바밥밥바6065 16/05/04 6065 2
64987 [일반] 아알못 입장에서 보는 I.O.I 드림걸스 단평 [92] 좋아요8209 16/05/04 8209 7
64986 [일반] [4차 기부 이벤트] 피지알배 감사의 글 이벤트를 엽니다 [9] OrBef3752 16/05/04 3752 2
64985 [일반] 내 SNS 글이 캡쳐되어서 돌아다닌다는 것은.. [25] 삭제됨6149 16/05/04 6149 3
64984 [일반]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은 "오스만 계승전쟁"? (1): 숀 맥미킨의 러시아 책임론. [17] 선비욜롱7841 16/05/04 7841 2
64983 [일반] 과르디올라, 로맨틱, 실패. [197] 티티12158 16/05/04 12158 21
64982 [일반] 루시아(심규선)/악동뮤지션/I.O.I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20] 효연덕후세우실4503 16/05/04 4503 1
64981 [일반] 미국 대선은 힐러리 vs 트럼프가 될 것 같습니다. [153] OrBef11898 16/05/04 11898 4
64980 [일반] 영화 '곡성' 첫 언론 시사회 평이나왔습니다. [46] naruto05110465 16/05/04 10465 0
64979 [일반] 송유근 군의 새 논문이 또 표절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156] 유나18778 16/05/04 18778 8
64978 [일반] 박근혜 대통령의 히잡(루싸리) 착용에 대하여 [86] 이진아9511 16/05/04 9511 2
64976 [일반] [MLB] 현재까지 올시즌 포지션별 워스트 [18] PG134789 16/05/03 478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