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3/24 19:23:58
Name Leeka
Link #1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5032400048&rank_all
Subject [일반] 이케아 등장 100일 뒤. 현황은?
현대리바트 광명점 - 전년 대비 매출 27% 증가
에이스침대 광명점 - 전년 대비 매출 32% 증가
한샘인테리어 광명점 - 전년 대비 매출 10% 증가

일반적인 주변 상권 - 55%가 전년 대비 매출 감소

보통 이런 대형 가구매장이 생기면, 이케아를 간 김에 주변에 다른 매장을 들리게 되는
(이케아에서 만족하지 못했다면) 효과가 생기는데. 이걸 잘 캐치한 셈인데요..



현대리바트는 아래를 포인트로 잡고 매출을 높였습니다.
: 20~30대 신혼부부와, 40대에 아파트로 이사가는 부부들에게 이케아의 마감(사포처리)이나 깔맞춤 등이 만족스럽지 않음.
저 부부들을 대상으로 '상황과 크기에 맞춘' 다양한 패키지 상품들을 구성해서 적극적으로 유인하고 판매.


에이스침대는 아래를 포인트로 잡고 매출을 높였습니다.
: 이케아에 들렸다가 온 소비자들이 '매트리스'에 대한 불만들을 표함(탄력과 반발력, 특히 옆면이 잘 들어감)
: 매트리스를 다양화하고, 전면에 종류별/디자인 별로 비치를 하고 담당 직원들을 새롭게 꾸려서
매트리스의 차별점과 다양한 기능들에 대해 홍보를 하고. 이를 통해서 매출 증대.


한샘인테리어는 아래를 포인트로 잡고 매출을 높였습니다.
: 50~60대는 이케아의 직접 차에 가구를 가지고 가서 조립까지 하는거에 익숙하지 않음.
: 배송&설치 서비스를 무료로 하고 관련 내용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케어.
한샘측 내부 통계로는..  최근 방문고객의 70%는 '이케아를 들렸다가 방문한 고객' 이라고 합니다.


이케아를 들렸는데.. '뭔가 만족하지 못한 소비자' 가 주변 가구매장을 들렸기 때문에
'이케아에 없는 무언가'를 생각해서 긁어준 업체들은 매출이 올랐다고 보시면 될 것 같네요.


덧붙이자면 주변 가구매장 200곳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80%는 이케아가 들어오기 전과 후에 대해서 판매 방식의 변화가 없다고 합니다.

대기업이 들어오면서 소상인이 고통받는다는걸 부정하는건 아니지만
저 업체들이 한 것처럼. 이 상황을 어떻게 반전시켜야 될가를 생각하는 것도 중요한게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들고.. 이런저런 생각이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e HUSE
15/03/24 19:29
수정 아이콘
매출은 그렇다지만, 이익은 어케되는지..
혹시나 가격을 낮춘건 아니겠죠?
닭이아니라독수리
15/03/24 19:36
수정 아이콘
좀 타격을 입어야 뭔가 변화가 생길 텐데 그대로라니 좀 아쉽군요
소독용 에탄올
15/03/24 19:37
수정 아이콘
동 기사에서도 70% 정도는 타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따라서 변화가 있긴 할 것으로 보입니다.
소독용 에탄올
15/03/24 19:37
수정 아이콘
사실 기사 아래쪽에도 나오지만, 대응에 필요한 자본을 생각해보면 해당하는 대응이 가능한 업체들은 '소상인'이나 '영세'업체가 아니죠...
15/03/24 19:39
수정 아이콘
사실 그래서 이런저런 생각이 들더군요..

저런걸 받아칠 수 있게 여러가지 연구나 전략등을 안짜고 가만히 있는건 안일한거 아닌가.. 싶으면서도...
말씀하신 대로 저 작전들 자체가 또 자본력이 없으면 쉽게 하기 어려운거라 -.-;;

먼가 미묘한 느낌이 많이 들더군요.. 잘 풀어쓰진 못한것 같지만..
소독용 에탄올
15/03/24 19:44
수정 아이콘
예 아주 미묘한 느낌이 드는 영역입니다.

그래서 중소상공인 지원사업 같은걸 할 때 원글에서 말씀하신 부분들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현실은 ㅠㅠ
애패는 엄마
15/03/24 20:06
수정 아이콘
대기업에서 도전한다고 해서 제의 받고 중소기업으로 옮긴 입장에서는 절실히 느껴요.

중소기업이 더욱 기민하게 움직여야 대기업 따라가기도 벅찰텐데.
저게 다 돈이죠. 인재를 뽑아야 하고 시장 조사를 해야하고 인원도 더 필요하고

저걸 해결할 수 있는게 멀티가 가능하면서 똑똑한 인재를 뽑는거나 컨설팅 지원을 받는 건데.
사실 지원은 1회성이라 한계가 있고 똑똑한 인재는 보통 연봉도 훨씬 줄고 대우도 안 좋은데 가기도 꺼러질테고

그래서 보통 벤처나 중소기업에서 저런게 잘되는건 적관적으로 혹은 분석적으로 저런게 가능한 ceo가 진두지휘 하면서 끌고가는 경우죠.

저도 대기업 전략 기획팀에서 전략 분석 및 제휴업체 관리만 하다가
창업 지원에 혹해서 넘어왔다가 전략 분석, 설정, 기획, 제휴할 돈 없으니 직접 뛰고 카피라이트도 직접 작성하고 홈피 등도 테마 구매하면서 운영하면서 그밖에 온오프 활동등등 혼자서 다 하려니깐 창업 기획은 무슨....흑흑.

그나마 3개 프로젝트를 혼자서 죽어라 해서 저런식으로 기획해서 올려도 돈 없어서 캔슬, 이해 못해서 캔슬, 관리할 사람 없어서 캔슬 등등등
공허의지팡이
15/03/24 19:38
수정 아이콘
자취생입니다. 오늘 이케아에 갔다 왔는데, 기사가 이해가 됩니다.
가구중에서 몸에 닿는 침대나 책상 의자같은 제품은 이케아와 한국의 대형가구 업체간 체감 제품질 큰것 같아요.
미세한 삐그덕 소리와 흔들림, 편하지 않는 느낌..
제가 한번 이런것을 의식하면 계속 의식하는지라, 지금 책상을 사놓고 좀 후회중입니다.

유니클로 같은 spa는 디자인은 떨어질지라도 옷 품질에 대해서는 가격대비 만족했는데
이케아는 디자인은 좋을지 몰라도 품질에는 실망입니다.
또한 조립을 해야되는 특성상 계속 조립한 기사와 일반인간에서 오는 차이도 꽤 있는 것 같고요.
그런데 책상상판 같은 경우에는 대부분 품절이더군요. 확실히 싸요.
밤식빵
15/03/24 21:56
수정 아이콘
책상 살려고 하는데 공부하는데 방해가 많이 될까요?
e0 제품은 국내에서 리바트나 이케아뿐이 선택지가 없는데 리바트에는 원하는 스타일이 없어서...
그냥 인터넷주문할려고 했는데 애매한거리에 차가 없어서 고민되네요.
15/03/24 22:18
수정 아이콘
공허지팡이님은 아니지만, 책상상판만 샀는데 나사를 꽉 조여도 미세하게 흔들리더군요 ;;
그래도 실사용엔 아무 지장이 없고 상판이 크다보니 편해서 좋네요

만약 벽에 바치지 않고 쓰면 흔들림 고정이 안되니 참고하세요
밤식빵
15/03/24 22:23
수정 아이콘
흠... 코너형둥근책상살려고했는데 벽에 잘 붙어질지 모르겠네요.ㅠㅠ
어쩔수없이 갔다와야할듯하네요.. 답변 감사드려요~
공허의지팡이
15/03/24 22:42
수정 아이콘
느낌이라는 것이 개인차가 크니 한번 다녀오시는 것이 좋을듯해요.
저는 단단한 느낌을 좋아해서.. 영 익숙치 않네요.
공허의지팡이
15/03/24 22:32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는 상판보다는 다리의 선택이 중요합니다.
다리의 종류가 많은데 상판1개에 다리 4개 다는 시스템은 좀 심하게 흔들려요. 제가 예민해서 인지도 모르지만요.
이케아 쇼륨에서도 책상은 전체적으로 흔들리더라고요.(린몬+다리4개 시스템들) 할튼 튼튼한 느낌은 전혀 없습니다.
쇼륨에서 확인시 다리가 양쪽으로 2개인 시스템(이케아 홈피에서 [오드발드]같은 것)은 덜 흔들리더군요.
밤식빵
15/03/24 22:46
수정 아이콘
일단 살려고하는건 다리5개짜리인데 가격생각해보면 튼튼할것 같지는 않네요. 가는게 너무 귀찮지만... 가서 한번 만져보고 심하면 리바트2인용으로 가던지 해야할듯 싶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15/03/24 19:53
수정 아이콘
가격대비 좋은 제품들은 품절된게 많더군요. ㅠㅠ
그리고 합판의 포름알데히드 기준에 대해 알려진것도 이케아의 좋은 영향이라고 봅니다.
15/03/24 20:41
수정 아이콘
후덜덜하네요
저런 전략을 짜고 실제로 매출이 올라간다는게 뭔가 당연한것 같으면서도 신기합니다
내일은
15/03/24 20:49
수정 아이콘
이케아의 장점은 가격과 품질이 아니라 특정 컨셉으로 방이나 집 전체를 꾸밀 수 있다는 것과 그걸 목돈 들여 한번에 할 필요가 없다는 것 그리고 기타 인테리어 소품이 다양하다는 거지

가격은 제3세계 국가에서 생산해서 가져오는 이케아나 제3세계 사람들을 데려와 생산하는 국내 중기 제품과 차이가 없고

품질은 개인이 아무리 조립 열심히 해도 기술자가 만들어 완제품 상태로 배송되는 국내 제품의 견고함은 못따라갑니다.

뭐 좋다는건 아닙니다. 국내 제품이 이케아에 대해 가지는 경쟁력이라는게 결국은 (국내거주)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인 노동자가 워낙 저임금이라 가지는 경쟁력이라서요. ...
15/03/24 21:23
수정 아이콘
이케아 가구는 솔직히 싼티가 많이나요. 마감이 영 부실하더라고요. 그 부실한 가구 코너를 다 돌고나면
마지막에 인테리어 소품 코너가 있는데, 여기가 진짜배기더라고요. 정말 싸게 많이 샀네요.
15/03/25 07:27
수정 아이콘
이케아는 원래 처음부터 고급 가구를 대신할 수 있는 브랜드가 아니죠. 미국에서도 주변인들을 보면 거의 80~90%는 탁상과 스탠드, 수납장 정도는 이케아에서 사고, 침대와 매트리스는 다른 고급 브랜드에서 항상 이렇게 사더라고요. 그리고 이사갈 때에는 이케아꺼는 버리고 침대는 챙기고.
뉴욕커다
15/03/25 11:30
수정 아이콘
똑똑하네요.
수미산
15/03/25 13:40
수정 아이콘
품질이 별로라 유학생들이나 잠깐 거주하는 목적으로 쓰고 이사하면 버립니다.
품질이 좋다 싶으면 비싸요.
조립 잘 못하면 밸런스가 안맞아 망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718 [일반] 2016년이 다 갔네요. [3] Mighty Friend4152 16/12/30 4152 3
69681 [일반] 올 해 구매한 수많은 제품들의 간단한 리뷰 [24] 10829 16/12/29 10829 6
69644 [일반] 국내 철도역 이용객 순위 (2015) - 드디어, 철도연감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76] D.TASADAR12783 16/12/27 12783 4
67179 [일반] 광고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5) (完) [26] 설탕가루인형4935 16/08/23 4935 13
64447 [일반] 집정리와 함께 시작된 4월 [4] Mighty Friend3930 16/04/03 3930 1
64345 [일반] 왜 프랑스에서는 일요일 영업이 논쟁 거리가 될까? [23] santacroce10375 16/03/29 10375 22
61661 [일반] 국내 철도역 이용객 순위 (2014) [47] D.TASADAR13290 15/10/24 13290 2
59942 [일반] 죽창으로 찔러죽이러 가기 전에 사실확인부터 합시다. [46] 만트리안11468 15/07/22 11468 36
59101 [일반] 이케아 환불 후기 입니다. [42] Secundo21923 15/06/16 21923 0
57135 [일반] 이케아 등장 100일 뒤. 현황은? [21] Leeka8895 15/03/24 8895 2
56824 [일반] 갤럭시S6 과 갤럭시엣지, 갤럭시 이케아 콜라보, 카메라 품질 사진등... [118] 발롱도르19287 15/03/02 19287 0
56070 [일반] 한국에서 이케아가 잘 팔리는 이유 [51] 발롱도르11517 15/01/20 11517 0
56006 [일반] 이케아는 무슨 죄를 지었는가 : 공영방송 KBS의 악의적 조작 [50] Glenfiddich9865 15/01/17 9865 7
55580 [일반] 이케아 방문후기... [33] I 초아 U8406 14/12/23 8406 0
55000 [일반] 이케아 불매운동에 대해 (동해, 일본해 표기) [52] 매사끼7544 14/11/20 7544 0
54989 [일반] 이케아 코리아 "한국 맞춤형 가격 제시한 것" [40] Dj KOZE8411 14/11/19 8411 0
53669 [일반] 성공적인 페북 페이지 운영을 위한 유의점들 [13] 당근매니아4348 14/09/06 4348 5
36098 [일반] 2012년 새롭게 업데이트 된 세계 최고 부자 Top 10 [18] 김치찌개5196 12/03/21 5196 0
22258 [일반] 엑스포 정복 1차 원정 (스웨덴) 아르바는버럭3342 10/05/26 334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