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12/25 16:42:45
Name Dj KOZE
Subject [일반] 내맘대로 뽑아본 생활속의 전자음악 ABC [Part 0]

남들에게 음악추천을 한다는 것은 참 어려운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음악이라는 것 워낙 개인적인 것이고,
나한태는 명곡이지만 남한태는 소음인 것도 음악이기도 해서 말입니다. 

현대 대중음악(POP) 이 전자음악에서 나온거라고 말할수도 있겠지만 
정작 전자음악은 호불호가 갈리는 장르이기도 해서 더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나의 귀도 즐겁고 남의 귀도 즐겁게 하는 보편적인 것들을 찾는다는 것도 참 어려운 것 같기도 하구요...
 
걍 일상생활에서 한번 들을만한 전자음악을 추려봤는데, 모르겠습니다.
뭐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트랙들이지만 함 들어보세요.. ^_^ 

PS: 쿵짝 쿵짝 한 동적인 음악( 예를 들어 하드한 테크노, 트랜스, 프로그래시브 하우스 ) 보다는 
정적인 음악을 위주로 추천했습니다. 
뭐 일렉하면 주로 떠오르는 아비치나 하드웰 등 의 파티음악은 뺏습니다.

Air - La Femme D'Argent

한국에서는 섹시~~~ 보이로 잘 알려진 AIR 입니다.
"다운템포" 계열의 음악을 주로 하시는 프랑스분들이구요.
이분들 1집 "문 사파리"는 한번쯤 들으시길 추천합니다. 

Burial & Four Tet - Nova

"덥스텝" (Dub-Step) 으로 유명한 Burial 과 포텟 (four tet)이 작년에 콜라보한 
트랙인데요, 정적이면서 좋습니다. 

Cinematic Orchestra - The Man With The Movie Camera
누 재즈 (Nu-Jazz) 신에서 꽤 알려진 "시네마틱 오케스트라" 입니다. 
누재즈는 Futre Jazz 라고 불리우기도 하는데요, 함 들어보세요,
다이나믹 하면서 좋습니다.

Daft Punk - Giorgio By Moroder

이 트랙은 작년에 참 많이 들었네요..
다프트 펑크의 앨범 'Random Access Memories" 에 실린 곡입니다.
"조르조 모로더" 에게 바친 헌사하는 곡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조르조 모로더" 할배는 88올립픽때 "손의 손잡고"를 만드신 분으로 알려져있지만,
디스코 음악의 대부로 알려진 아~~~주 유명하신 전설적인 분입니다. 
현재도 클럽에서 디제잉을 하신다고... 

Ellen Allien - Sehnsucht

독일 베를린은 전자음악으로 유명한 도시입니다.
특히 80년대 후반서부터 90년대 당시 테크노가 유럽에서 유행했을때, 
유행의 중심지였던 곳이였는데요, 그 때의 유산이 지금도 남아 많은 프로듀서와 뮤지션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Ellen Allien 은 베를린 테크노의 1세대에 속하시는 분인데요, 여성 아티스트로 "테크노 여왕"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테크노 레이블 Bpitch control 의 창립자이기도 하죠.

Francesco tristano & carl craig - the melody
이 트랙은 제가 참 좋아하는 트랙인데요, 
"클래시컬한 피아노의 선율과 테크노 선율" 뭔가 어울리지 않으면서도 참 잘 어울립니다.
피아노를 연주한 "프란체스코 트리스타노"는 줄리아드에서 바로크 음악과 
현대음악을 공부했다고 알려졌는데요, 전자음악에 눈을 떠서 지금은 부업으로 디제잉도 하고 리믹싱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옆에서 드럼머신을 맡으신 분은 "칼 크레이그" (Carl Craig)라는 분이신데, 이분은 테크노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기신 분입니다.
**** 다른 한 분은 "제프 밀스" (Jeff Mills) 이분도 유명합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90년대를 풍미한 "디트로이트 테크노"의 대부라고 불리십니다.

Galaxy 2 Galaxy - Hi-Tech Jazz

디트로이트 하니까 이분들도 언급해야 되겠네요..
"갤럭시 투 갤럭시" 이분들도 디트로이트에서 오신분들인데 다른 트랙은 안 들어봤지만,
이 곡 하나만큼은 거의 매일 듣고 삽니다.
재즈와 테크노의 퓨젼인데 절로 힘이나면서 매일 매일이 행복해지는 곡입니다.
실재로 라이브로 보면 참 좋을텐데,인연이 닿을지 모르겠네요... 

Giorgio moroder - From here to eternity

앞에 다펑에서 조르조 할배를 언급했는데 빠트리면 조르조 할배가 서운하실 것 같아서..
1977년에 나온 곡치고는 참 새련됬다는 생각이 듭니다. 
시간이 되면 이분의 "Chase" 라는 트랙도 함 들어보세요~

Herbert aka Doctor Rockit - Cafe De Flore

영국 전자음악의 한 축을 담당하는 "매튜 허버트" 가 프로듀싱한 누재즈 트랙입니다.
이 분은 비요크, 로이진 머피 (90년대 트립합 밴드 몰로코의 여성보컬) 을 프로듀싱해서 더 잘 알려진 분인데요,
오후에 들으면 참 좋더라구요~ 
유럽스런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트랙입니다.

Kraftwerk - Neonlight

덕국 전자음악계를 대표한다고 감히 말할수 있는 "발전소" 아저씨들입니다.
네온~~ 라이트를 과묵하게 부르시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네요~

Lindstrøm - There's A Drink In My Bedroom And I Need A Hot Lady

누디스코로 유명한 (정확하게 말하자면 21세기 "이탈로 디스코"겠지만)
노르웨이의 뮤지션 "린드 스톰" 입니다.(이렇게 읽는게 맞는지 모르겠네요.) 
끝까지 들어보시면 아주 몽환적인데요,어떤 분은 앞에서 언급한 "조르조 할배의 재림"이라고 평하기도 했습니다.
뭐 본인도 조르조 할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12/25 16:49
수정 아이콘
이런 종류의 음악을 들으면 좋아서 몇 번이고 다시 듣고 소장도 하는데 막상 찾자니 쉽지 않아서 고생했네요.
일단 정주행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14/12/26 00:18
수정 아이콘
별 말씀을요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트루키
14/12/25 17:15
수정 아이콘
음악상식을 넓혀주는 영양가 넘치는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음악이 다 좋아요..
14/12/26 00:19
수정 아이콘
여러모로 부족한게 많습니다.
음악이 마음에 드신다니 다행이네요~
14/12/25 17:35
수정 아이콘
일단 추천.
14/12/26 00:18
수정 아이콘
추천 감사합니다.
hm5117340
14/12/25 20:30
수정 아이콘
본인 닉네임도 조만간 소개되겠네요? 크
14/12/25 21:58
수정 아이콘
우와 감사합니다.
제게는 처음 소개해주신 음악이 특히나 좋네요. 문 사파리. 이름도 좋구요.
이런 음악 들을 때마다,
음악을, 특히 이런 계열의 음악에 대한 관심이 좀 더 일찍 생겼더라면 하는 헛된 생각을 하게 되네요. 흐흐.
명수옹도 이해가 되구요.
존 맥러플린
14/12/25 22:09
수정 아이콘
더 늦지 않은게 어딥니까 하하
14/12/26 00:22
수정 아이콘
AIR 는 저한태도 완소밴드입니다.
맨처음에 나온 EP 인 Premiers Symptômes, 4집인 Talkie Walkie 도 좋습니다.
특히 Alpha Beta Gaga 라는 트랙은 하루를 시작하는데 좋아요~
https://www.youtube.com/watch?v=vQRKpuOgY8c
14/12/25 23:44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글입니다.
요즘들어 일렉음악에 빠져사는데
이런 음악들 역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아주 좋은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디제잉을 하시는지.....궁금한게 있어 몇가지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가능할까요?
14/12/26 00:1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걍 전자음악 좋아만합니다. 흐흐
디제잉을 한번 배워보고 싶은데 시간이 안 나네요 ~ ^^
14/12/26 09:01
수정 아이콘
다펑 저 노래는 정말 좋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646 [일반] 나만의 저전력(미니)PC 활용을 소개합니다. [15] 자루스14815 16/02/20 14815 7
63641 [일반] 헐리웃 영화의 매출로 보는 한국 (극장)영화시장의 크기 [39] Rorschach10698 16/02/20 10698 4
63469 [일반] 성소수자에 대해 아십니까! (인터섹슈얼, 트랜스젠더, 쉬멜의 용어정리) [58] 카랑카29866 16/02/09 29866 73
63428 [일반] 허각x브로맨스/손승연/노라조 MV, 브레이브걸스/AOA CREAM/뉴이스트 티저 공개 [5] 효연덕후세우실4112 16/02/05 4112 0
61822 [일반] 환상없는 날개짓, 디아크 [8] 좋아요5268 15/11/03 5268 1
61395 [일반] 심심한데 나스(NAS)나 만들어 볼까? [42] 라면13938 15/10/09 13938 8
60901 [일반] 기능 지상주의 시대의 정점에 섰던 무명의 제왕 '샤프아이' [8] Zelazny6409 15/09/13 6409 3
60833 [일반] 앤트맨을 봤습니다. [약혐 후기 추가] [24] 켈로그김8051 15/09/09 8051 4
60698 [일반] 나무위키의 위험성 [41] 이슬먹고살죠15733 15/09/02 15733 18
59357 [일반] [EPL]괜히 다음 시즌 기대하게 만드는 리버풀의 영입 [21] 린세3749 15/06/25 3749 0
58290 [일반] 역대 최다 스크린을 확보했던 국내 개봉 영화 Top10 [27] 김치찌개7647 15/05/19 7647 1
58231 [일반] <매드맥스 : 분노의 도로> - 액션을 끌어올리는 전희 [29] 마스터충달8660 15/05/16 8660 2
57886 [일반] <차이나타운>에서 아쉬웠던 점 몇 가지. [21] 파우스트6671 15/04/30 6671 0
57745 [일반] 어밴저스2를 보고 왔습니다. [25] godspeed5512 15/04/24 5512 0
56977 [일반] 아이언맨 팔, 의수가 되다. [7] Cliffhanger10189 15/03/13 10189 3
56899 [일반] 나는 취업준비생이다. [17] 렌즈7117 15/03/09 7117 5
55971 [일반] 제 4학년 전공강좌였던 [영화비평론]에 교재로 쓰였던 영화들 소개해봅니다. [33] 요한7238 15/01/15 7238 8
55619 [일반] 내맘대로 뽑아본 생활속의 전자음악 ABC [Part 0] [13] Dj KOZE4638 14/12/25 4638 4
55564 [일반] 우리집 냉장고에는 귀신이 산다. [43] Sheldon Cooper11209 14/12/22 11209 0
55332 [일반] 어째서 우리는 동성애 혐오에 맞서야 하는가 (feat. 반기문) [121] falling_down8706 14/12/09 8706 8
54531 [일반] [MLB] 카디널스 유망주 오스카 타베라스 사망 [34] GameFictionMovie6755 14/10/27 6755 0
53788 [일반] [계층] 만화 주먹에 산다 2부 이야기 [3] 王天君15621 14/09/15 15621 0
53589 [일반] 유럽 이적시장 요약 (EPL편) [69] Ayew6783 14/09/02 678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