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0/01 23:08:12
Name swordfish
Subject [일반] 각 군계급의 기원
애초 군대 계급이라는 게 원래 서양에서 왔고 그 이름이 있었던 원래 이유가 있었습니다.
단지 우리는 번역어를 사용해서 그 뜻을 정확히 모를 뿐이죠.

우선 일단 이 당시 전쟁이 일어나면 전쟁을 하는 주체가 봉신들에게 병력을 모으라고 시킵니다.
이게 왕이 될 수도 있고 대공일 수도 공작일 수도 있죠.

그럼 해당 봉신은 자기 영지에서 병력을 모집합니다. 이게 바로 연대(Regiment)입니다.
현대 가장 그 원형을 가진 나라가 영국인데 영국의 연대는 병력 모집, 훈련, 재편성 같은 후방 임무만 하고 모집지역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보통 대륙의 경우 연대 자체가 하나의 전열부대 단위였기 때문에 그대로 전투에 투입되죠.

자기 영지에서 병력을 이 연대를 모으는 귀족을 [대령](Colonel)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병력을 모집했던 영지 이름이 연대 앞에 붙습니다.  바덴 연대, 랭카스터 연대 이런 식으로
말이죠.

이 대령을 보좌하는 사람이 바로 [대리 대령](Lieutenant colonel), 한국어 번역으로 중령이라고 하죠.
보통 대령들인 귀족들은 군사 기술면에서 부족한 경우가 있기에 실재적인 지휘를 하거나 혹은 대령을
보좌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보통 대령들은 전투의 스페셜 리스트였습니다.)

한편 연대 밑은 원래 대대가 아니라 중대였습니다. 연대의 어느 수준의 소규모 부대이자 근대에서는 최소
단위 부대였습니다. 이걸 지휘한다고 해서 바로 캡틴(Captain)인 거죠. 대신 해군의 경우 해군의 최소단위가
1개 배이기 때문에 그배의 대장이라고 해서 그게 대령이 되었지만요. 아무튼 중대 캡틴이 우리나라 번역어로
[대위]가 됩니다.

[대위]들 집단에서 우두머리가 메이저 캡틴(Major Captain)인데 바로 그게 한국어 역어로는 [소령]이 됩니다.

그리고 [대위]를 보좌한다고 해서 대리(Lieutenant)란 계급이 있었는데 이게 번역 되어서 [중위]가 되구요.

하사의 영어 단어 써전트(Sergent)의 경우 원래 기사의 지휘하에 기사에 준하여 무장한 맨엣암즈를 지칭하는
말이었는데 이시기 대위 밑의 베테랑을 활동했고 이게 부사관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즉 원래 군에는 연대를 중심으로 하위에는 중대 밖에 없었습니다. 모든 계급은 연대와 중대의 업무에서 나온 거죠.

한편 장군의 경우 초기에는 여단, 사단, 군단, 야전군, 집단군이라는 개념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개념과
장군 명칭과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유일하게 있는건 준장 뿐이죠.

일단 여러 연대를 모아 이를 지휘하는 한 지역 최고 사령관이 있습니다. 황제나 왕일 수도 있고 그의 부하일
수도 있는 인물들이었죠.
이런 사람들을 [원수](Field Marshal) 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 사람의 부하가 바로 [대장](General)
이죠. 하지만 이건 독일식이고 영어는 조금 다릅니다.

왕이 바로 General이 됩니다. 즉 왕이 [대장]이 되는 거죠.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 대통령이 General이 됩니다.
(지금은 물론 아닙니다.) 이게 깨진게 영국은 웰링턴 공작이 필드 마샬 위를 받으면서고 이고 미국은 2차 대전에나
이르러 실질적인 원수 직위가 생기죠.(그 이전 워싱턴이나 그란트, 셔먼, 퍼싱 모두 2차 대전 이후 5성 장군이 됩니다.)

그리고 실재적으로 영국의 경우 한개 군을 이끄는 건 왕을 대리한다고 대리 장군, 영어로 Lieutenant General
즉 한국어로는 [중장]이라는 계급이 탄생한 거죠.

한편 [소장]의 경우 현대 영어로 Major General인데 사실 이유는 소령의 어원이 메이져 캡틴과 똑같은 이유에서
나온 말입니다. 단지 General들의 고참이라서 쓴 말이 아니라 여단장들의 고참이라서 Major General이 된거 뿐이죠.

마지막으로 [준장]은 유일하게 장성인데 General이 안붙습니다. 그건 단순한 이유인데 가장 먼저 나온 연대 위의
새로운 편재 여단이 해당 명칭이 나오기 전에 나와서 그렇습니다. 여단(Brigade)의 장이기에 걍 Brigadier가 되고
이게 여단장이 준장이기에 이게 굳어 진거죠.

해군의 경우는 쓰고 싶은데 너무 이쪽은 어려워서 생략할까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티레브
13/10/01 23:20
수정 아이콘
우와... 좋네요
봉건사회라불리던 중세에대해 몰라도많이몰라서 그나마 이글로 알게된듯하네요 흐흐 군대의명칭이 그에 기인햇다니

해군은 언젠가 천천히라두...
ComeAgain
13/10/01 23:35
수정 아이콘
군대에서 제식 교범을 보면서, 뒤에 부록으로 나오는 받들어 총의 기원이 생각나네요;
몽크 대령의 Coldstream 연대인가 어쩌구의 충성 서약으로 무기를 위로 높이 들어 찰스 2세에게 바치는 모습을 했다...

뭐 이런 거였죠;; 쓸데없는 것만 기억에 많이 남네요;;
치토스
13/10/02 00:16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눈물이뚝뚝T^T
13/10/02 01:03
수정 아이콘
전에 호레이쇼 넬슨 제독의 전집을 보면서 해군 계급에 대해 대충 본적이 있는데, 엄청 어렵더군요
실제로 미 해군에서 쓰는 계급 명칭도 육군과 꽤 차이가 있더라구요
삼먁삼보리
13/10/02 01:54
수정 아이콘
추천드립니다.
한국군에서 쓰는 장,령,위,관의 유래도 궁금하네요.
지금뭐하고있니
13/10/02 01:57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올라갈팀은올라간다
13/10/02 02:12
수정 아이콘
이런 글 재밌어요^^
Legend0fProToss
13/10/02 04:06
수정 아이콘
오오 이런 오랜역사가있었군요 신기합니다 크크
준장도 Brigadier General 이라고 쓰지않나요?
13/10/02 07:41
수정 아이콘
좋은글 감사합니다. 병사 계급도 유럐가 궁급했는데 없네요~!
swordfish
13/10/02 08:13
수정 아이콘
병사는 계급 분화 시기에 원래 Corporal 밖에 없습니다. 병사들의 우두머리를 이렇게 불렀는데
원래 어원은 capo corporale(몸의 머리)란 이탈리아어가 영어화 하면서 이 단어가 생긴 거죠.
이게 번역어로 상병입니다.

영국 같은 나라는 병 계급은 상병과 아닌 자로 나뉘는데 원형을 잘 간직한 용법입니다.

한편 Private은 간단한 이유인데 당시 군대는 개인이 모집했기 때문에 Private soldier
즉 사병이었습니다. 그게 축약되어서 Private이 되고 이게 계급화 되어서 일병이 된거죠.
꽃보다할배
13/10/02 08:16
수정 아이콘
미군이 현재 이 계급체계에 가장 근접해 있습니다 별도 여단장이라고 준장도 존재하지만 병과 지벽집단군의 책임자가 대령이지요 대령이 군의 여단장을 겸임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별 다는게 어렵다고하나 미군은 대령입니다
wish buRn
13/10/02 10:25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추천누르고 갑니다
lupin188
13/10/02 10:58
수정 아이콘
잘 배우고 갑니다.
케이아치
13/10/02 11:37
수정 아이콘
미군 계급 처음 봤을때 뭐이리 Lieutenant 가 많나 했는데, 이런 이유였었군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820 [일반] 일본은 군국주의 부활중…'총검술' 중학생 필수과목 [41] 삭제됨8050 13/10/03 8050 0
46819 [일반] 운명을 지배하는 인간, 운명 앞에 쓰러지다 - 워털루 1815 (3) [7] 신불해5361 13/10/03 5361 12
46818 [일반] 시계 이야기: 나... 나도 가질거야!, 오마쥬 이야기 [43] 오르골31526 13/10/03 31526 6
46817 [일반] (수정)우체국 사칭 피싱전화 [9] Kirby5388 13/10/03 5388 0
46816 [일반] 벨기에는 어떻게 다시 강팀이 되었나 (3) [5] Lionel Messi6809 13/10/03 6809 3
46815 [일반] [영어 동영상] 데이빗 채머스 - 의식의 기원 [14] OrBef7279 13/10/03 7279 6
46814 [일반] [야구] 칙칙폭폭 칙칙폭폭 [54] AuFeH₂O7840 13/10/03 7840 1
46813 [일반] 벨기에는 어떻게 다시 강팀이 되었나 (2) [4] Lionel Messi8083 13/10/03 8083 10
46812 [일반] 벨기에는 어떻게 다시 강팀이 되었나 (1) [10] Lionel Messi10435 13/10/03 10435 11
46811 [일반] 톰 클랜시 선생 발할라로 [5] 트린4677 13/10/03 4677 3
46810 [일반] [계층] 오타쿠 라이프 [43] Cool Gray5658 13/10/03 5658 0
46809 [일반]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 2013 페넌트레이스 우승! [94] 칠곡스타일6765 13/10/02 6765 9
46808 [일반] 영화 '소원' 보고 왔습니다. (스포 있습니다.) [6] 키루신6482 13/10/02 6482 1
46806 [일반] 요즘 빠져있는 노래가 있습니다.!! [굿닥터] [11] 기성용4219 13/10/02 4219 1
46805 [일반] 국군의 날 시가행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18] kurt8486 13/10/02 8486 2
46804 [일반] 경상도 사투리 문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95] 곧내려갈게요9688 13/10/02 9688 4
46803 [일반] 지드래곤의 미래 [93] 절름발이이리13517 13/10/02 13517 2
46802 [일반] 커플이었던, 솔로인, 솔로가 된 그대에게 바치는 노래 [12] '3'4071 13/10/02 4071 1
46801 [일반] 뜬금없는 오늘의 정국 - 2013년 10월 2일 수요일 [127] 눈물이뚝뚝T^T6632 13/10/02 6632 1
46799 [일반] 조문근밴드/블락비/정준영/홍대광의 MV, 자우림/서인영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8] 효연짱팬세우실4219 13/10/02 4219 0
46798 [일반] <단편> 카페, 그녀 -23 (부제 : 연애하고 싶으시죠?) [19] aura4583 13/10/02 4583 0
46797 [일반] 현역중위 아이디가 '애국보수전땅끄' [71] kurt9059 13/10/02 9059 2
46796 [일반] 수영...중급반에서 초급반으로 강등되다... [39] Neandertal18476 13/10/02 18476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