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6/14 23:23:07
Name swordfish
Subject [일반] 병인양요와 신미 양요 때 썼을 서양 총기
아마 19세기는 인류 역사에서 총 발전 속도 면에서 최고의 시기였습니다.

그런 모습이 조선 개화기에 썼던 총을 보면 쉽게 알 수 있죠.

일단 병인 양요 때 프랑스 군이 썼던 무기는

미니에 탄을 쓰는 미니에 총이었습니다.


이 총은 어떻게 보면 산업 혁명기 규격 통일의 총아 같은 총이었습니다.
기존의 총은 구경이 비슷은 했지만 같지 않았고 총알 즉 볼모양의 탄 역시 총구보다 크게 작았죠.
그래서 화약의 가스가 세었기 때문에 화력면에서 많이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규격이 통일 되자 모든 총의 구경은 모두 같은 크기로 만들 수 있었고 탄 역시 딱 총구에 맞게 통일해서 만들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탄이 미니에 탄이고 그 총이 미니에 총이죠.

조선군의 화승식 머스킷 총보다 장전 속도나 명중도, 연사 속도, 사거리 모두 우세였지만 단점은 여전히 탄을 총구를 통해서
집어 넣어야 했으며 장전 속도 역시 기존 라이플 총보다는 낫지만 현재 속도로는 여전히 거북이었습니다.
물론 뇌관을 썼기에 조선 같이 화승을 쓰지도 그리고 나폴레옹 때 처럼 부싯돌은 필요 없었습니다.(단 뇌관은 탄이 아니라
총에 달았지만요) 단지 종이로 된 탄피를 찟고 총안에 일부 화약을 부어야 하는 번거로운 행동은 여전히 해야 했지만요.

그러다 병인양요 다음 해 프랑스는 이 미니에 총을 샤스포 총으로 바꾸는 데 이는 나름의 혁신이었습니다.


일단 가장 큰 차이는 후장식- 총 뒤편으로 탄을 넣을 수 있었습니다. 즉 이 때부터 엎드려 쏘며 장전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탄 역시 여전히 탄피가 종이가 되었지만 탄 안에 뇌관이 들어 있어서 더 이상 종이 탄피를 찟고 화약을 붇지 않아도
되었습니다. 그냥 총 뒤로 탄을 넣고 장전후 방아쇠만 당기면 '니들- 원시적인 현대 소총의 공이 같은)이 탄을 찔러 뇌관을
쳐서 발포 하는 형태였습니다.

물론 프로이센은 이 걸 1841년 정도에 적용하여 이미 드라이어제 소총을 만들었지만 프랑스는 겨우 1867년에 도입하게 된거죠.
만약 프랑스군이 이 총을 빨리 도입했다면 정족산성에서 버티는 것도 힘들었을 겁니다. 더 정확하며, 더 빠른 발포가 가능하며
사거리도 더 미니에 총보다 우세했기 때문이죠.

이총은 보불 전쟁, 그리고 일본 무진 전쟁, 이탈리아 통일 전쟁 등 많은 곳에 쓰이게 됩니다.

한편 미국은 남북 전쟁 때문에 좀더 다양한 총을 사용하게 됩니다.
단 기본적으로 원리는 프랑스 샤스포 총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드라이어제 소총의 원리는 신대륙에 이미 널리 퍼졌기 때문
이었죠.

미국이 특이했던 건 다양한 격발 방법과 연발에 대한 욕구 였죠. 신미양요 때 미군이 정확히 무슨 소총이 썼는지 알 길은 없습니다.
스프링필드 조병창 총만 남북 전쟁 당시 5종류를 넘게 썼고 이 덕에 그냥 저 같은 초보자 수준에서 다 합쳐서 스프링필드 소총이라고 하는 거죠.
Springfield Model 1870 Remington-Navy 같은 총은 확실히 썼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총도 후장식 소총입니다. 단 격발 장치만 샤스포와 달랐을 뿐이죠.

이 니들건의 시대도 그렇게 오래 가지 못했습니다.
강화도 조약 5년 전해 1871년에는 신미양요 그해에 현대식 볼트 액션(단 흑연 화약)의 총들이 등장했습니다.
그리고 1890년대에는 무연 화약 총이 발달하기 시작했죠.

단 이런 발전은 고종 시대에만 이루어진 것이고 고종이 죽을 즈음에는 이미 기관총의 시대가 도래했을 지경이었죠.

만약 병인양요가 2년만 늦었어도 역사는 많이 바뀌었을지도 모른다는 의미에서 적어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e ne sais quoi
13/06/14 23:38
수정 아이콘
재밋군요 잘 읽었습니다~
풀빵군
13/06/14 23:40
수정 아이콘
오오, 밀덕(?)겸 역덕 분을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저도 그런 부류인지라....
미군이 신미양요 때 사용했던 화기의 후보로는 레밍턴 롤링블럭 M1867도 꽤 유력하지 않을까요...?
swordfish
13/06/14 23:41
수정 아이콘
그 총을 썼다던 블로거도 있더군요. 아마 썼겠죠. 하지만 워낙 남북전쟁 관련 총이 쏟아지다 보니 추정도 힘든게 신미 양요라 보니 말이죠.
13/06/15 00:31
수정 아이콘
재미있는 점은 이러한 신형 총기에 왜 일본에 쓰였냐 하면 그건 일본이 수입해온게 아니라, 나폴레옹 3세가 일본에 지원해준거였습니다. 만일 이러한 일본과 프랑스의 관계가 계속되었으면 프랑스 총기를 일본이 계속 수입했을텐데, 하필이면 보불전쟁이 터져서...

다만 성능 좋은 신형 총기지만 막상 일본은 잘 안 썼다고 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569 [일반] 강희제 이야기(5) ─ 삼번, 진동하다 [17] 신불해7703 13/06/17 7703 15
44568 [일반] [해축] 월요일의 bbc 가십... [54] pioren5865 13/06/17 5865 0
44567 [일반] PGR에서 자신이 쓴 글을 되돌아봅시다. [110] Cool Gray6310 13/06/17 6310 2
44566 [일반] 유니폼 나눔 후기 및 인증샷과 짤방 [15] SKMC5507 13/06/17 5507 9
44565 [일반] 간단한 영화 감상기 [25] 예바우드6494 13/06/17 6494 0
44564 [일반] '진짜 사나이'들에게 발목 잡힌 '런닝맨'의 가장 큰 문제점.. [64] 명랑11850 13/06/17 11850 0
44562 [일반] [해축] 박주영. 리그 최종전 무단불참으로 벌금... [95] pioren9486 13/06/17 9486 2
44561 [일반] [나는축빠다] 차기 대표팀 감독은 누구 [70] 시크릿전효성6241 13/06/17 6241 0
44560 [일반] 소녀시대 2nd japan tour Beep Beep wowow 방영분 [8] 효연짱팬세우실4904 13/06/17 4904 0
44559 [일반] [맨 오브 스틸]에 맞설 한국형 슈퍼히어로물의 후보자들은? [70] Neandertal6296 13/06/17 6296 0
44557 [일반] 입시비리로 시끄러웠던 영훈국제중의 현직 교감이 자살을 했다는군요. [27] 이루이8338 13/06/17 8338 2
44556 [일반]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클레이튼 커쇼 7이닝 1실점 8탈삼진 ND) [9] 김치찌개4836 13/06/17 4836 0
44555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금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 Top10 [7] 김치찌개6431 13/06/17 6431 0
44554 [일반] 한 50대의 자기관리.jpg [14] 김치찌개8336 13/06/17 8336 0
44553 [일반] <맨 오브 스틸> - 슈퍼맨 캐릭터 다시 보기 [45] 王天君8598 13/06/17 8598 2
44552 [일반] 내 인생 최고의 알바 [18] 키루신7014 13/06/17 7014 0
44551 [일반]  대의멸친(怼劓滅親) ③ 인정(人情....認定..) [12] 후추통9373 13/06/16 9373 8
44550 [일반] 강희제 이야기(4) ─ 오삼계 [13] 신불해8765 13/06/16 8765 13
44545 [일반] 이번 국정원사건은 민주당이 잘못이다? [218] 부끄러운줄알아야지8313 13/06/16 8313 3
44544 [일반] 국사교육 강화, 누구를 위한 것인가? [65] Realise7916 13/06/16 7916 9
44543 [일반] 이게 중세 유럽입니다 [18] 눈시BBbr12343 13/06/16 12343 1
44541 [일반] 여기가 중국 삼국시대야? 중세 유럽이야?? [16] 순두부14657 13/06/16 14657 0
44540 [일반] [해축] 일요일의 bbc 가십... + 지난주 EPL 오피셜(6/10~6/14) [16] pioren5553 13/06/16 555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